$\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on Graefe법의 프리즘 세팅에 따른 사위검사의 비교
Comparisons of Phoria Test Among Prism Settings of Von Graefe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2, 2015년, pp.211 - 218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하은미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사위 측정에서 von Graefe법의 프리즘 세팅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38명(평균 $22.35{\pm}2.72$세)을 대상으로 문진, 가림검사 및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Von Graefe법의 4가지 프리즘 세팅 즉, 우안과 좌안에 각각 base-in(BI)과 base-up(BU), BI과 base-down(BD), BU과 BI, BD과 BI으로 하여 무작위 순서로 사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평과 수직사위 측정에서 4가지 프리즘 세팅별 차이는 근거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원거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거리 수평사위의 신뢰도는 좋았으나(ICC: 0.95) 근거리 수직사위의 신뢰도는 낮았다(ICC: 0.83). 각 프리즘 세팅 간의 대응비교, 95% 일치도 범위와 평균차이의 비교에서 근거리 사위검사의 경우 BU이 다른 프리즘 세팅보다 더 유용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von Graefe에 의한 사위검사는 특히 근거리 사위검사에서 BU 또는 BU을 포함하는 다른 세팅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유용한 방법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prism settings of the von Graefe technique for phoria measurement. Methods: Thirty eight healthy subjects (mean age $22.35{\pm}2.72years$) were tested with eye examination by interview, cover test, and refraction. Phori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 방법은 임상실무에서 안위 평가에 활용도가 높고 프리즘 세팅이 다양하게 주어지고 있어 세팅에 따른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안과 좌안에 각각 base-in(BI)과 base-up(BU),[5] BI과 base-down(BD),[15] BU과 BI,[16] BD과 BI[17]으로 프리즘 세팅하여 이에 따른 사위검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6] Von Graefe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최대한 활용하고, 비대칭성, 변동성을 고려하여 한 가지 세팅 방법보다 BU 세팅을 포함하는 또 다른 세팅 방법을 병행하여 사위를 평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위란 무엇인가? 사위검사는 양안시(binocular vision) 평가에서 기본적인 검사 항목으로 조절과 이향이상의 진단과 관리에 중요하다. 사위는 융합자극이 없을 때 두 눈이 주시점에서 편위 된 상태를 말하며, 융합제거 상태에서 사위(dissociated phoria)의 방향과 크기를 자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Maddox rod법, Thorington법, 수정된 Thorington법, von Graefe법, Howell사위카드법 등 다양하다.[1-4] 이러한 측정법의 신뢰도와 유용성 평가는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 왔다.
Von Graefe법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von Graefe법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친숙하며, 포롭터 상에서 추가 장비가 필요 없이 쉽게 사위를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10] Von Graefe법은 포롭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굴절검사 이후 즉시 적용 가능한 방법이며, 이향운동, 상대조절력과 같은 양안시 평가에서 포롭터 기반으로 진행되는 여러 검사 과정의 연계성으로 인하여 임상에서 선호도가 높은 방법이다.[11] 또한, Maples 등[12]은 사위도 기준으로 폭주과다와 폭주부족과 같은 양안시이상의 진단에 Howell사위카드법보다 von Graefe법을 사용하도록 제안할 만큼 유용한 방법이다.
사위 측정법에서 반복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 것은 무엇인가? 사위 측정법에서 측정자 간의 반복성(repeatability)은 수정된 Thorington법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5] Howell사위 카드법 또한 반복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6] 이에 비해 von Graefe법은 반복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4,5] 이와 같은 결과는 Lee 등[1]의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비교 분석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사위도 측정은 피검사자의 자세가 고정되거나 자유로운 상태(free space)를 유지하는 조건 즉, 포롭터 또는 시험테를 기반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KB, Jeon SW, Lee HJ, Lee SH, Park WB, Mah KC et a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distance phoria tests. Korean J Vis Sci. 2007;9(1):115-125. 

  2. Lee KS, Jung MB, Kim TH, Sung AY.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tendency of horizontal heterophoria using von Graefe method.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6;11(2):151-157. 

  3. Kim HD, Kim DN, Park EK.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horizontal phoria and vertical phori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3;8(2):13-18. 

  4. Wong EP, Fricke TR, Dinardo C. Interexaminer repeatability of a new, modified prentice card compared with established phoria tests. Optom Vis Sci. 2002;79(6):370-375. 

  5. Rainey BB, Schroeder TL, Goss DA, Grosvenor TP. Interexaminer repeatability of heterophoria tests. Optom Vis Sci. 1998;75(10):719-726. 

  6. Casillas Casillas E, Rosenfield M. Comparison of subjective heterophoria testing with a phoropter and trial frame. Optom Vis Sci. 2006;83(4):237-241. 

  7. Goss DA, Moyer BJ, Teske MC. A comparison of dissociated phoria test findings with von Graefe phorometry and modified Thorington testing. J Behav Optom. 2008;19(6):145-149. 

  8. Kang SH, Hong HK. A comparative study on quantity of phoria between new phoria measurement with 3D display and existing method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3):313-320. 

  9. Lee SH, Park SY, Kim SY, Lee DY, Kim KK, Son JS et al. Repeatability of new phoria test using color chart and color filte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15(3):269-274. 

  10. Elliott DW. Clinical procedures in primary eye care, 3rd Ed. Edinburgh: Butterworth-Heinemann, 2007;176-178. 

  11. Goss DA, Reynolds JL, Todd RE. Comparison of four disociated phoria tests: rel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symptom survey scores. J Behav Optom. 2010;21(4):99-104. 

  12. Maples WC, Savoy RS, Harville J, Golden LR, Hoenes R. Comparison of distance and near heterophoria by two clinical methods. Optom Vis Dev. 2009;40(2):100-106. 

  13. Griffin JR, Grisham JD. Binocular anomalies: diagnosis and vision therapy, 4th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002;8-10. 

  14. Enright JT. Slow-velocity asymmetrical convergence: a decisive failure of "Hering's law". Vision Res. 1996;36(22):3677-3684. 

  15. Nan Li, Seger K, Crandall M, Jiang BC. Effect of customized near addition lenses on transient myopia induced by near-work. Clinical Optometry. 2010;2:43-49. 

  16. Escalante JB, Rosenfield M. Effect of heterophoria measurement technique on the clinical accommodative convergence to accommodation ratio. Optometry. 2006;77(5):229-234. 

  17.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2;36-37. 

  18. Morgan MW. Analysis of clinical data.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1944;21:477-491. 

  19. Daum KM. Characteristics of exodeviations: II. Changes with treatment with orthoptics. Am J Optom Physiol Opt. 1986;63(4):244-251. 

  20. Raineya BB, Schroedera TL, Goss DA, Grosvenor TP. Reliability of and comparisons among three variations of the alternating cover test. Ophthalmic Physiol Opt. 1998;18(5):430-437. 

  21. Rouse MW, Borsting E, Deland PN, CIRS Group. Reliability of binocular vision measurements used in the classification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Optom Vis Sci. 2002 ;79(4):254-264. 

  22. van Rijn LJ, ten Tusscher MPM, de Jong I, Hendrikse F. Asymmetrical vertical phorias indicating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in subjects with normal binocular vision. Vision Res. 1998;38(19):2973-2978. 

  23. Schroeder TL, Rainey BB, Goss DA, Grosvenor TP. Reliability of and comparisons among methods of measuring dissociated phoria. Optom Vis Sci. 1996;73(6):389-397. 

  24. Lyon DW, Goss DA, Horner D, Downey JP, Rainey B. Normative data for modified Thorington phorias and prism bar vergences from the Benton-IU study. Optometry. 2005;76(10):593-599. 

  25. Benjamin W.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06;9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