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보상추구 여부에 따른 성격평가질문지 반응 양식의 차이
Differential Response Style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ccording to Compensation-Seeking Statu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3 no.1, 2015년, pp.12 - 19  

김연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권석준 (신세계효병원) ,  노승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백영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이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 중 금전적 보상 추구 여부에 따라 나타난 성격평가질문지(PAI) 결과의 특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PAI를 실시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추구 여부에 따라 보상집단(N=22)과 치료집단(N=14)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PAI 전체척도와 하위척도 프로파일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타당성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에 비해 부정적 인상 척도(NIM)점수는 유의하게 높았고, 긍정적 인상척도(PIM)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전체 임상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보다 신체적 호소(SOM), 불안(ANX), 불안관련 장애(ARD), 우울(DEP), 정신분열병(SCZ)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위 임 상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보다 신체화(SOM-C), 정서적 불안(ANX-A), 공포증(ARD-P), 우울(DEPC, A, P), 초조성(MAN-I), 과경계(PAR-H), 사고장애 및 정신병적 경험(SCZ-T, P),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적 부정적 관계(BOR-A, N), 자극추구(ANT-S)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보조척도에서 보상집단이 치료집단보다 자살관념(SUI), 비지지(NON), 신체적 공격(AGG-P)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치료거부척도(RXR) 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외상성 뇌손상 환자 중 보상추구 여부에 따라 PAI 상에서 타당도와 대부분의 전체 및 하위 임상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상집단은 증상을 더욱 과장하고 부정적으로 왜곡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PAI(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ile between compensation-seeking(CS) and treatment-seeking(TS)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TBI) and assessed the clinical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pro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3-25) 그러나 환자들이 보고하는 정신과적 증상에 보상 추구와 같은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MPI-2이외의 정형화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한 경우는 매우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26-29) 이에 본 연구에서는 TBI 환자들 중 금전적인 보상을 위하여 검사를 실시한 환자들과 치료 목적으로 검사를 실시한 환자들의 PAI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보상추구 환자들에서 증 상을 과장 또는 가장하는 부정 왜곡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부정 왜곡이 나타난다면 이를 어떻게 탐지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상추구가 자기보고형 성격 및 정신병리 검사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TBI 환자들의 PAI 자료를 그 실시 목적에 따라 보상을 위한 PAI와 치료를 위한 PAI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보상집단의 PAI는 치료집단의 PAI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보상집단의 PAI에서 증상을 과장하거나 가장하는 반응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왜곡반응이 있다면 어떻게 이를 탐지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성 뇌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경험하는 후유증은 무엇인가?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 이하 TBI)을 입은 많은 환자들은 그 손상의 정도와 관계없이 수상 이후 오랜 시간동안 인지기능 뿐 아니라 신체적, 정서적 및 행동증상 등 다양한 후유증을 경험한다. 1-5) TBI의 후유증에 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인지기능 장애에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정서장애나 성격변화와 같은 증상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TBI의 후유증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1-5) TBI의 후유증에 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인지기능 장애에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정서장애나 성격변화와 같은 증상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6,7) 이러한 증상들은 신체 또는 인지적 증상 들 못지않게 흔히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뇌손상 후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 병전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고 대인관계나 경제적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야기하는 등 사회직업적 기능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TBI는 보상 또는 배상을 위한 후유장애 평가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정서적 증상과 성격의 변화를 평가하는 일은 임상에서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TBI 환자들의 정서 및 성격의 기능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어떤 평가도구들이 사용되었는가? TBI 환자들의 정서 및 성격의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NEO 성격검사(Personality Inventory-Revised ; 이하 NEO-PI-R), 8) Millon 임상다축성격질문지(Mill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III ; 이하 MCMI-III),9) Minnesota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 이하 MMPI-2)10) 와 같은 평가 도구들이 주로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성격평가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 이하 PAI) 11)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ng PR, Donnelly KT, Donnelly JP, Dunnam MWG, Kittleson CJ, Bradshaw C B, Alt M, Meier ST. Psychometric study of the Neurobehavioral Symptom Inventory. J Rehabil Res Dev 2012;49(6):879-888. 

  2. Dikmen SS, Machamer JE, Powell JM, Temkin NR. Outcome 3 to 5 years after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449-1457. 

  3. Millis SR, Rosenthal M, Novack TA, Sherer M, Nick TG, Kreutzer JS, High Jr WM, Ricker JH. Long-term neuropsychological outcom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J Head Trauma Rehabil 2001;16:343-355. 

  4. Novack TA, Alderson AL, Bush BA, Meythaler JM, Canupp K. Cognitive and functional recovery at 6 and 12 months post-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2000;14:987-996. 

  5. Novack TA, Bush BA, Meythaler JM, Canupp K. Outcom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Pathway analysis of contributions from premorbid, injury severity, and recovery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300-305. 

  6. Prigatano GP. Personality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 Consult Clin Psychology 1992;60:360-368. 

  7. Christine till, Bruce KC and Robin RG. Use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 in Individual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2009;23(7-8):655-665. 

  8. Costa PT Jr, McCrae RR.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1992. p179-190. 

  9. Choca JP. Interpretive guide to the Millon Clinical Multiaxial Inventory 3rd ed.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4. 

  10. Butcher JN, Graham JR, Ben-Porath YS, Tellegen A, Dahlstrom WG, Kaemmer B. MMPI-2: Manual for administration, scoring, and interpret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2001. 

  11. Morey LC.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91. 

  12. Trobst KK. Personality chang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per presented at the 4th annual intramural scientific retreat of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 1999 Mar. 

  13. Lannoo E, de Deyne C, Colardyn F, de Soete G, Jannes C. Personality change following head injury: assessment with the NEO Five-Factor Inventory. J Psychosom Res 1997;43:505-511. 

  14. Tuokko H, Vernon-Wilkinson R, Robinson E. The use of the MCMI in the personality assessment of head-injured adults. Brain Injury 1991;5:287-293. 

  15. Golden Z, Golden, CJ. Impact of brain injury severity on personality dysfunction. Int J Neurosci 2003;113:733-745. 

  16. Bruke JM, Smith SA, Imhoff CL. The response styles of post-acute traumatic brain-injured patients on the MMPI. Brain Injury 1989;3:35-40. 

  17. Cullum CM, Bigler ED. Short-form MMPI findings in patients with predominately lateralized cerebral dysfunction. J Nerv Ment Dis 1988;176:332-342. 

  18. Leininger BE, Kreutzer JS, Hill MR. Comparison of minor and severe head injury emotional sequelae using the MMPI. Brain Injury 1991;5:199-205. 

  19. Sand P. MMPI profile characteristics in testable brain-damaged patients within several age/diagnostic categories. Rehabil Psychol 1972;19:146-152. 

  20. Wooten AJ. MMPI profiles among neuropsychological patients. J Clin Psychol 1983;39:392-406. 

  21. Cattelani R, Gugliotta M, Maravita A, Mazzucchi A. Post-concussive syndrome: Paraclinical signs, subjective symptoms, cognitive functions and MMPI profiles. Brain Injury 1996;10: 187-195. 

  22. 김영환, 오상우, 홍상황, 박은영. PAI의 임상적 해석. 서울: 학지사;2002. 

  23. Edwards DW, Dahmen BA, Wanlass RL, Holmquist LA, Wicks JJ, Davis C. Personality assesment in neuropsychology: The nonspecificity of MMPI-2 neurocorrection methods. Assessment 2003;10:222-227. 

  24. Gass CS, Russel EW. MMPI profiles of closed head trauma patients: Impact of neurologic complaints. J Clin Psychol 1991; 47:253-260. 

  25. Glassmire DM, Kinney DI, Greene RL, Stolberg RA, Berry DTR, Cripe 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MPI-2 neurologic correction factor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Assessment 2003;10:299-309. 

  26. Kurtz JE, Shealy SE, Putnam SH. Another look at paradoxical effects in head injury with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J Pers Assess 2007;88(1):66-73. 

  27. Whiteside DM, Galbreath J, Bron M, Turnbull J. Differential response patterns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in compensation -seeking and noncompensation-seek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J Exp Neuropsychol 2012;34(2):172-182. 

  28. Hopwood CJ, Morey LC, Rogers R, Sewell K. Malingering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Identification of specific feigned disorders. J Pers Assess 2007;88(1):43-48. 

  29. Morey LC. Defensiveness and malingering indices for the PAI.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93. 

  30. Rogers R, Sewell KW, Morey LC, Ustad KL. Detection of feigned mental disorders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 discriminant analysis. J Pers Assess 1996;67:629-640. 

  31. Demakis GJ, Hammond F, Knotts A, Cooper DB, Clement P, Kennedy J, Sawyer T.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in individual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rch Clin Neuropsychol 2007;22:123-130. 

  32. YH Kim, SH Hong. Detection of random response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PAI: 2. Detection indices. J Korean Clin Psychol 2001;20(4):751-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