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이 흡인성 폐렴 발생율과 일상생활 의존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Dysphagia Nursing Protocol on Reducing Aspiration Pneumonia and Improving Daily Activity Dependency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304 - 313  

한정희 (서울아산병원) ,  이지은 (서울아산병원) ,  전주현 (서울아산병원) ,  임유진 (서울아산병원) ,  윤은진 (서울아산병원) ,  김여옥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piration pneumonia (AP) is the major complication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Nursing management for dysphagia influences on patients'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Dysphagia Nursing Protocol (DNP) for patients wi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연하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교육, 확인 및 중재 과정이 포함된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이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해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는 유사 실험연구이다.
  •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본 연구 병동의 연하 장애 간호 문제점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에 대해 간호사 교육 및 훈련을 시행한 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의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일상생활 의존율과 위험도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할 것이다.
  •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의 뇌졸중 환자의 흡인성 폐렴 발생율과 위험도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회복을 악화시켜 일상생활 의존율이 증가되는 것이 초래하는 문제점은? 흡인성 폐렴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뇌졸중의 회복을 악화시켜 일상생활 의존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3]. 이로 인해 재원 일수가 증가[4], 진료비가 상승[5] 및 사망률 증가가 초래된다[6].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일상생활 의존율은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치료 지표이다[2].
흡인성 폐렴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무엇인가? 흡인성 폐렴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뇌졸중의 회복을 악화시켜 일상생활 의존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3]. 이로 인해 재원 일수가 증가[4], 진료비가 상승[5] 및 사망률 증가가 초래된다[6].
연하 장애 평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도구는 무엇인가? 연하 장애 평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도구는 ‘비디오 연하 조영 검사’이다[10]. 그러나 이 검사는 환자가 첫 경구 섭취를 시작하기 전에 항상 시행할 수 없으며 시간이 소요되고 검사비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KB. Prognosis of stroke. In: Joe KH, editor. Text book of stroke. Seoul: E-public; 2009. p. 57-63. 

  2. Hong KS, Kang DW, Koo JS, Yu KH, Han MK, Cho YJ, et al. Impact of neurological and medical complications on 3-month outcomes in acute ischaemic stroke.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08;15(12):1324-31. http://dx.doi.org/10.1111/j.1468-1331.2008.02310.x 

  3. Ickenstein GW, Hohlig C, Prosiegel M, Koch H, Dziewas R, Bodechtel U, et al. Prediction of outcome in neurogenic oropharyngeal dysphagia within 72 hours of acute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he Official Journal of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2;21(7):569-76.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1.01.004 

  4. Finlayson O, Kapral M, Hall R, Asllani E, Selchen D, Saposnik G. Risk factors, inpatient care, and outcomes of pneumonia after ischemic stroke. Neurology. 2011;77(14):1338-45. 

  5. Martino R, Foley N, Bhogal S, Diamant N, Speechley M, Teasell R. Dysphagia after stroke: incidence, diagnosis, and pulmonary complications. Stroke. 2005;36:2756-63. http://dx.doi.org/10.1161/01.STR.0000190056.76543.eb 

  6. Chang CY, Cheng TJ, Lin CY, Chen JY, Lu TH, Kawachi I. Reporting of aspiration pneumonia or choking as a cause of death in patients who died with stroke. Stroke. 2013;44:1182-5.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000663 

  7. Martino R, Pron G, Diamant N. Screening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stroke: insufficient evidence for guidelines. Dysphagia. 2000;15(1):19-30. 

  8. Middleton S, McElduff P, Ward J, Grimshaw JM, Dale S, D'Este C, et al.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treatment protocols to manage fever, hyperglycemia, and swallowing dysfunction in acute stroke(QASC):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1;378(9804):1699-706. http://dx.doi.org/10.1016/S0140-6736(11)61485-2 

  9.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efinition of index of evaluation to acute stroke 2013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3 [cited 2014 Dec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02000000&cmsurl/cms/notice/01/1316208_24974.html&subject2013%eb%85%84%285%ec%b0%a8%29+%ea%b8%89%ec%84%b1%ea%b8%b0+%eb%87%8c%ec%a1%b8%ec%a4%91+%ed%8f%89%ea%b0%80+%ec%a1%b0%ec%82%ac%ed%91%9c+%ec%88%98%ec%a0%95+%eb%b0%8f+%eb%a0%88%ec% 9d%b4%ec%95%84%ec%9b%83+%eb%93%b1+%ec%95%88%eb%82%b4#none 

  10. O'Donoghue S, Bagnall A. Videofluoroscopic evaluation in the assessment of swallowing disorders in paediatric and adult population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1999;51:158-71. http://dx.doi.org/10.1159/000021494 

  11. Reynolds PS, Gilbert L, Good DC, Knappertz VA, Crenshaw C, Wayne SL, et al. Pneumonia in dysphagic stroke patients: effect on outcomes and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 Neural Repair. 1998;12(1):15-21. http://dx.doi.org/10.1177/154596839801200103 

  12. Song YA, Beom JH, Ham YS, Kim S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ysphag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a strok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3):340-8. 

  13. Hines S, Wallace K, Crowe L, Finlayson K, Chang A, Pattie M. Identification and nursing management of dysphagia in individuals with acute neurological impairment (update). Interven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2011;9(2):148-50.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11.00211.x 

  14. Shaker R, Geenen JE. Management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2011;7(5):308-32. 

  15. Titsworth WL, Abram J, Fullerton A, Hester J, Guin P, Waters MF, et al. Prospective quality initiative to maximize dysphagia screening reduces hospital-acquired pneumonia prevalence in patients with stroke. Stroke. 2013;44:3154-60.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000204 

  16. Daniels SK, Anderson JA, Willson PC. Valid items for screening dysphagia risk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Stroke. 2012;43(3):892-7.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640946 

  17. Foley N, Teasell R, Salter K, Kruger E, Martino R. Dysphagia treatment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ge and Ageing. 2008;37(3):258-64. http://dx.doi.org/10.1093/ageing/afn064 

  18. Lee EH, Choi J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hecklist for post-stroke dysphag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2):113-2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113 

  19. Barnard SL. Nursing dysphagia screening for acute stroke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1;37(1):64-7. http://dx.doi.org/10.1016/j.jen.2010.11.002 

  20. Hinchey JA, Shephard T, Furie K, Smith D, Wang D, Tonn S. Formal dysphagia screening protocols prevent pneumonia. Stroke. 2005;36(9):1972-6. http://dx.doi.org/10.1161/01.STR.0000177529.86868.8d 

  21. Yoo SH, Kim S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d enteral nutrition protocol for dysphagia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2014;44(3):280-93. 

  22. Cichero J, Steele C, Duivestein J, Clave P, Chen J, Kayashita J, et al. The need for international terminology and definitions for texture-modified foods and thickened liquids used in dysphagia management: foundations of a global initiative. Current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Reports. 2013;1:280-91. http://dx.doi.org/10.1007/s40141-013-0024-z 

  23. Ickenstein GW, Hohlig C, Prosiegel M, Koch H, Dziewas R, Bodechtel U, et al. Prediction of outcome in neurogenic oropharyngeal dysphagia within 72 hours of acute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12;21(7):569-76.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1.01.004 

  24. van Sweiten JC, Koudstaal PJ, Visser MC, Schouten HJ, van Gijn J. Interobserver agreement for the assessment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Stroke. 1988;19:604-7. 

  25. Taylor BJ.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In; Taylor BJ, Kermode S, Roberts KL. editor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care-evidence for practice. Australia: Thomson; 2006. p. 190-1. 

  26. Brott T, Adams HP, Olinger CP, Marler JR, Barsan WG, Biller Jea. Measurement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a clinical examination scale. Stroke. 1989;20(7):864-70. 

  27. Adams HP, Bendixen BH, Kappelle LJ, Biller J, Love BB, Gordon DL, et al. Classification of subtype of acute ischemic stroke. Definitions for use in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TOAST.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Stroke. 1993;24:35-41. 

  28. Paek EK. Aspiration indicators in post-stroke dysphagi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29. Lin LC, Wang SC, Chen SH, Wang TG, Chen MY, Wu SC. Efficacy of swallowing training for residents following strok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4(5):469-78. 

  30. Lakshminarayan K, Tsa AW, Tong X, Vazquez G, Peacock JM, George MG, et al. Utility of dysphagia screening results in predicting poststroke pneumonia. Stroke. 2014;41:2849-54.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0.5970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