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울되먹임 융합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도와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Feedback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Effect of Muscle Activity and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6, 2015년, pp.205 - 212  

엄요한 (세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거울되먹임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육 활성도와 상지 기능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환자는 거울되먹임 치료군 8명과 동작관찰 훈련군 8명으로 나누어 총 8주간 주 5회, 30분간 시행하였고, 상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회복 평가와 도수 기능 검사를 이용하였다. 위등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노쪽손목굽힘근,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시스템을 이용하였고, 연구 결과 노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한 위등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와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 도수 기능 검사 점수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거울되먹임 치료가 동작관찰 훈련보다 상지 근활성도와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that muscle activity of upper extremity and functional test in the case of the stroke patient by using the feedback mirror therapy. Sixteen subjec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rained feedback mirror therap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울되먹임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력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거울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한 대조군을 8주간 중재하여 근활성도와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 도수 기능 검사를 통해 평가해 본 결과 노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한 위등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위팔두갈래근,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 성도와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 도수 기능 검사의 점수에서 거울치료를 적용한 실험군이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거울되먹임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육 활성도와 기능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 야기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뇌졸중 발생 후 운동, 인지, 지각, 감각, 언어 기능에서 장애가 발생하며, 특히 뇌손상이 한쪽에 발생하면 병변 반대쪽의 상하지와 체간 근육이 약화되는 편마비 증상이 발생되게 된다. 뇌졸중 환자들에게 근 동원능력과 근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은 약화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있으며,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2].
거울치료는 무엇인가? 거울치료는 1996년 Ramchandran에 의해 처음 소개되 었으며,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착각, 환영을 이용하여 절단 후 발현되는 사지 환상통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12]. 거울치료는 뇌신경 가소성의 원리에 기반한 뇌신경 손상 환자의 치료법 중 하나로, 운동 기능회 복과 마비측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상지의 기능회복을 촉진한다[13]. 거울을 통해 움직이는 사지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반대측 사지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일차 운동 피질(primary motorcortex)이 흥분된다는 것이 확인되었 다[14].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는 어떻게 평가하는가? 뇌졸중 기능회복 검사는 뇌졸중 이후의 운동 기능, 균형, 감각과 관절 기능의 일부를 측정하는 평가 도구이다. 점수는 수행 능력에 따라 0~2점을 부여하는 데,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0점, 부분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1점, 완전 하게 수행하는 경우 2점으로 평가한다. FMA 항목 중 상지 검사는 33항목으로 어깨/팔꿈치/아래팔 18항목, 손목 5항목, 손(손가락) 7항목, 상지 협응 능력 3항목으로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 J. Jeon, A Case Study on the SS-QOL of Stroke Patients Receiving CIM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Therapy Vol. 12, No. 2, pp. 39-48, 2004. 

  2. Park S, Patten C, Strengthening to promote functional recovery poststroke: an evidence based review. Top Stroke Rehabil. Vol. 15, No. 3, pp. 177-199, 2008. 

  3. Canning C.G, Ada L, Adams R, Loss of strength contributes more to physical disability after stroke than loss of dexterity, Clinical Rehabilitaion, Vol. 18, No. 3, pp. 300-308, 2004. 

  4. Patten C, Lexell J, Brown, H.E, Weakness and strength training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rationale, method, and efficac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1, No. 3A, pp. 293-312, 2004. 

  5. Hufschmidt A, Mauritz. K.H, Chronic transformation of muscle in spasticity: a peripheral contribution to increased t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48, No. 7, pp. 676-685, 2007. 

  6.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pp.42, Butterworth -Heinemann, 2003. 

  7. Langhorn P, Coupar F, Pollock A,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The LANCET Neurology. Vol. 8, No. 8, pp. 741-754, 2009. 

  8. Van der Lee J.H, Wagenaar R.C, Lankhorst G.J, Forced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Results from a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Vol. 30, No. 11, pp. 2369-2375, 1999. 

  9. Kwakkel G, Wagenaar R.C, Kollen B.J,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Vol. 25, No. 6, pp. 479-489, 1996. 

  10. M. K. Son, E. S. Kim, S. W. Park,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for the Stroke Patients in Inpatient Setting, J Korean Acad Rehab Med, Vol. 31, pp. 56-62, 2007. 

  11. S. Y. Park, I. S. Shin, Meta-Analysi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 in Korea, Phys Ther Kor, Vol. 19, No. 2, 2012. 

  12. Prange G.B, Jannink M.J, Groothuis-Oud shoorn, C.G,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 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3, No. 2, pp. 171-184, 2006. 

  13. Ramachandran V.S, Rogers Ramachandran D, Synaesthesia in phantom limb sinduced with mirrors. ProBiolSci,Vol. 263, No. 1369, pp. 377-386, 1996. 

  14. W. H. Soon, K. Y. Chang W. K. B. Park,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Hand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Therapy, Vol. 19, No. 1, pp. 93-103, 2011. 

  15. Garry M.I, Loftus A, Summers J.J, Mirror, mirroron thewall: viewing a mirror reflection of unilateral hand movements facilitates ipsilateral M1excitability, Exp BrainRes, Vol. 163, pp. 118-122, 2005. 

  16. Rothgangel, Bruan, Beurskens, Seitz & Wade,2011 

  17. Page S.J, Levine P, Sisto S.A, Mental practice combined with physical practice for upper-limb motor deficit in subacute stroe, Phys Ther, Vol. 81, No. 8, pp. 1455-1462, 2001. 

  18. Jack D, Boian R, Merians A.S, Virtual reality-enhanced stroke rehabilitation, Tran 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 bilitation Engineering, Vol. 9, No. 3, pp. 308-318, 2001. 

  19. Van Vliet P.M, Wulf G, Extrinsic feedback for motor learning after stroke: What is the evidence? DisabRehabil, Vol. 28, pp. 831 -840, 2003. 

  20. Rizzo A.A, Bowerly T, Buckwalter J.G, A virtual reality scenario for allseasons: the virtual classroom, CNS Spectrums, Vol. 11, No. 1, pp. 35-44, 2006. 

  21. Stevens, J.A, Stoykov M.E.P,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 bilitation, Vol. 84, No. 7, pp. 1090-1092, 2003. 

  22. M. M. Lee, H. Y. Cho, C. H. Song, The mirror therapy program enhances upper limb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 91, No. 8, pp. 689-696, 2012. 

  23. Cools A.M, Declercq G.A, Cambier D.C, Trapezius activity and intramuscular balance during isokinetic exercise in overhead with impingement syndrome, Scand J Med Sports, Vol. 17, No. 1, pp. 23-33, 2007. 

  24. Sanford J, Moreland J, Swanson L.R,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ical Therapy, Vol. 73, No. 7, pp. 447-454, 1993. 

  25.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Vol. 88, No. 3, pp. 247-55, 2009. 

  26. Yavuzer G, Selles R, Sezer N,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MedRehabil, Vol. 89, No. 3, pp. 393-398, 2008. 

  27. Karni A, Meyer G, Jezzard P, Functional MRI evidence for adult motor cortex plasticity during motor skill learning, Nature, Vol. 377, No. 6545, pp. 155-158, 1995. 

  28. Muellbacher W, Ziemann U, Wissel J, Early consolidation in human primary cortex, Nature, Vol. 415, No. 6872, pp. 640-644, 2002. 

  29. Holm T, Maria B, Marco W, Mirror therapy for patients with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ical Rehabilitation, Vol. 27, No. 4, pp. 314-324, 2013. 

  30. Sathian K, Greenspan A.I, Wolf S.L, Doing it with mirrors: A case tudy of a novel approach to neurorehabilitation, Neuroreha bilitation Neural Repair, Vol. 14, No. 1, pp. 73-76, 2000. 

  31. Stevens J.A, Stoykov M.E.P,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 bilitation, Vol. 84, No. 7, pp. 1090-1092, 2003. 

  32. Giraux P, Sirigu A, Illusory movements of the paralyzed limb restore motor cortex activity, Neuroimage, Vol. 20, pp. 107-111, 2003. 

  33. Summers J.J, Kagerer F.A, Garry M.I,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252, No. 1, pp. 76- 82, 2007. 

  34. Carson R.G, Neural pathways mediating bilateral interactions between the upper limbs, Brain Res Brain Res Rev, Vol. 49, pp. 641-662, 2005. 

  35. Cauraugh J.H, Summers J.J, Neural plasticity and bilateral movements: a rehabilitation approach for chronic stroke, Prog Neurobiol, Vol. 75, pp. 309-320, 2005. 

  36. Sutbeyaz S, Yavuzer G, Sezer N,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88, No. 5, pp. 555-55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