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치유숲공원 조성을 위한 이용선호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User Preference for Urban Healing Forest Park Planning Method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7, 2016년, pp.963 - 972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서한민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오득균 (건국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전공)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performed to present a scheme for building a healing forest park inside a c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healing forests are located in non-urban areas because of their nature, and are therefore not conveniently accessible to urban population (n=196). As a result, among 196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 치유숲공원 조성 시 필요한 시설에 대한 도입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치유의 숲 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Korea Forest Service, 2013)에 명시되어있는 14가지의 산림 치유시설을 기준으로 치유숲공원에 조성 가능한 시설을 분류하여 ‘건강증진센터’, ‘유기농 식당 및 숙박시설’, ‘운동요법을 할 수 있는 시설 및 공간’, ‘자연요법을 할 수 있는 시설’, ‘숲치유사, 공원치유사, 메디컬트레이너 이용시설’, ‘치유를 목적으로 한 산책로’, ‘명상을 위한 공간 혹은 숲’, ‘치유정원’ 등 총 8가지 항목으로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치유숲공원 조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은평구 기자촌공원을 중심으로 인근주민을 대상으로 이용선호도에 따른 도시 치유숲공원 조성방안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유의 숲 및 숲치유에 대한 인식정도와 도시 치유숲공원 필요성, 기존공원 이용행태 및 도시 치유숲공원 예상이용행태, 자연요법 및 필요시설에 대한 이용선호도, 이용객 고려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 그러나 기존 치유의 숲은 도심지에서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민에게 도시생활 속에서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장소로서 시간적, 경제적 여유를 활용해야만 접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에 치유의 숲을 공원의 형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치유의 숲 및 숲치유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분포하는지 알아보고, 공원의 이용행태 및 이용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치유숲공원 조성에 필요한 구성 및 시설, 치유요법 등 이용선호도를 이용한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치유의 숲 및 숲치유에 대한 인식정도와 도시 치유숲공원 필요성, 기존공원 이용행태 및 도시 치유숲공원 예상이용행태, 자연요법 및 필요시설에 대한 이용선호도, 이용객 고려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교차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도시 치유숲공원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지역 내 치유숲공원 조성 및 관련법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지가 제공하는 이점은 무엇인가? 녹지는 도시기온을 저감시켜주며, 공기정화효과를 통한 대기오염 완화, 증발산을 통한 습도조절 등 환경위해성을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삶에 공원이라는 형태로 휴식처 및 도피처로써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접촉을 통해 정신적 안정을 찾고, 신체적으로 질병의 예방 및 치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산림의 자연요소는 무엇인가? , 2014). 그 결과 산림치유와 관계되어 녹지는 치유의 숲이라는 대규모 녹지공간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산림의 자연요소인 피톤치드, 음이온, 소리, 햇빛, 산림경관은 우리의 심신을 건강하게 해주고, 산림 속에서의 산책은 자기성찰, 명상, 대화의 기회를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Park, 2014). 이러한 산림의 순기능 때문에 기존의 휴양기능 이외에 숲 활동을 통한 건강증진(산림치유)이나 자연 체험활동(산림교육) 등 다양한 산림복지 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산림청에 따르면 2014년 기준 25개의 국공립 치유의 숲이 조성되고 있으며 3000 ha에 달하는 면적에 ‘국립 백두대간 산림치유단지’가 조성되고 있다(Cho et al.
산림이 질병치유 및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각종 연구결과로 입증의 결과는 어떠한가? , 2014). 그 결과 산림치유와 관계되어 녹지는 치유의 숲이라는 대규모 녹지공간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산림의 자연요소인 피톤치드, 음이온, 소리, 햇빛, 산림경관은 우리의 심신을 건강하게 해주고, 산림 속에서의 산책은 자기성찰, 명상, 대화의 기회를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Park, 2014). 이러한 산림의 순기능 때문에 기존의 휴양기능 이외에 숲 활동을 통한 건강증진(산림치유)이나 자연 체험활동(산림교육) 등 다양한 산림복지 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산림청에 따르면 2014년 기준 25개의 국공립 치유의 숲이 조성되고 있으며 3000 ha에 달하는 면적에 ‘국립 백두대간 산림치유단지’가 조성되고 있다(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H. Y., Lee, G. H., 2013, Towards a working model for an MBSR-informed forest healing program: Focusing o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1-11. 

  2. Cho, T. H., Lee, Y. H., Kim, S. M., 2014,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jec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4), 630-638. 

  3. Choi, Y., Lee, G. E., 2013, An analysis on age span of first home owners in accordance with socio-demography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2), 107-120. 

  4. Kim, J. S., Kim, E. G., Kim, D. H., Shin, H. J., 2014, Valuing estimation of forest healing function of jangseong healing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453-461. 

  5. Kim, J. Y., Shin, C. S., Yeoun, P. S., Yi, J. Y., Kim, M. R., Kim, J. K., Yoo, Y. H., 2013, Forest healing program impact on the mental health recove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69-81. 

  6. Kim, K. W., Lee, Y. H., Kang, D. J., 2012, Forest management methods for enhancement of therapeutic effec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012, 89-90. 

  7. Kim, S. C., Han, Y. H., Park, K. U., Oh, H. K., 2008, Improvement methods of the forest therapeutic function in recreational for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4), 1-8. 

  8. Korea Forest Service, 2013, Forest welfare master plan, Uooko Publisher Inc., 78. 

  9. Lee, E. D., Park, S. J., Yoo, L. H., Hong, S. J., 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101-109. 

  10. Lee, J. H., Park, S. J., Park, C. W., Kim, J. J., 2013,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s of visitors in the healing forse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3, 1118-1120. 

  11. Lee, J. H., Renate, B. A., 2011, Understanding the healing function of urban forests in german cit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3), 81-89. 

  12. Nam, E. K., Lee, S. K., 2015, The influences of the tourism motivation on th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ealing forest vis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8), 79-93. 

  13. Park, B. H., Kim, S. K., Kim, S. M., Yoon, S. B., Park, M. J., 2013, Studies for using type and benefits of the visitors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59-67. 

  14. Park, H. S., Shin, C. S., Yeon, P. S., Kim, J. Y.,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recovery effect of forest therap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 13-24. 

  15. Park, J. S., 2014, Current status and expected benefits on forest therapy a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94, 44-51. 

  16. Sim, C. D., 2013, A Study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of the healing forest, Ph. D. Dissertation, Kyung-Sang University, Jin-Ju. 

  17. Shin, W. S., Kim, E. I., Lee, S. I., Kim, J. C., Song, H. S., 2001, Forest health programs and their applica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5(1), 37-44. 

  18. Shin, W. S., Yeoun, P. S., Lee, J. H., 2007, The impact that a forest experience influences on a human mental state stabi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3), 37-43. 

  19. Woo, J. M., Park, S. M., Lim, S. K., Kim, W., 2012,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4), 677-6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