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관련 요구 조사
A survey on the voice related needs of occupational voice us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2, 2015년, pp.39 - 45  

이은정 (세한대학교) ,  김화수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oice related needs of occupational voice users. The data collected from teachers(379), tele-marketers(156), therapists(50) wa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ntent, by colaizzi's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The voice related needs are classified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건강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 건강’에 대한 관련 지식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그러나 직업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는 직업군의 음성 질환 및 이로 인한 삶의 질의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사회적인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교사들이 음성사용과 관련한 지식수준은 낮으나 전문적인 도움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을 확인하고[17] 음성사용과 관련하여 요구하는 사항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본 후 음성건강 지원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적 음성사용자란 무엇인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란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목소리의 요구 및 책임 정도가 높은 사람들을 가리킨다[2]. 직 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문제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3]-[6].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문제는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이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문제는 업무 수행능력 저하[13]로 인한 사회적 비용뿐만 아니라[8]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들과 결합하여 더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4]-[16].
현대인의 건강은 단순히 질병의 유무로 결정되지 않는 이유는? 현대인의 건강은 단순히 질병의 유무로 결정되지 않는다. WHO(1948)에서 제시한 대로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안녕이 완전한 건강의 개념으로 인식된 지 오래되었으며 더불어, 개인이 스스로의 건강을 개선 및 증강시키는 과정을 강조한 ‘건강 증진’(health promotion)은 국민건강사업의 방향을 설정하는 주요 개념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이래 질병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OI: http://www.129.go.kr/news/news02_view.jsp?n7884 

  2. Koufman, J. A. (2003). What are voice disorders and who gets them? DOI: http://www.speechpathology.com. 

  3. Charn, Tze C. & Hwei Mok, P. K. (2011). Voice problems amongst prim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Voice, 26(4), e141-e147. 

  4. Da Costa, V., Prada, E., Roberts, A., & Cohen, S. (2012). Voice disorders i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barriers to care. Journal of Voice, 26(1), 69-76. 

  5. Ferreira, L. P., Latorre, M., Giannini, S., Ghirardi, A., Karmann, D., & Silva, E. (2010). Influence of abusive vocal habits, hydration, mastication, and sleep in the occurrence of vocal symptoms in teachers. Journal of Voice, 24(1), 86-92. 

  6. Piwowarczyk, T. C., Oliveira, G., Lourenco, L., & Behlau, M. (2011). Vocal symptoms,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of call center operators. Journal of Voice, 26(2), 194-200. 

  7. Kim, J. M., Park, H. W., Lee, S. W., Park, H. S., Kim, S. Y., Yoo, S. J., & Nam, S. Y. (2001). Voice Analysis of Chronic & Daily Voice Burden in Professional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2(1), 17-21. 

  8. Pemberton, C. (2010). Voice injury in teachers: voice care prevention programmes to minimize occupational risk. 

  9. DOI: http://www.kfta.or.kr/news. 2011. 5. 19. 

  10. Stemple, J. C., Jennifer, S., & Lee, L. (1995). Objective measures of voice production in normal subjects following prolonged voice use. Journal of Voice, 19(2), 127-132. 

  11. Jeong, O., Yu, J. Y, Lee, O. B., Choi, H. S., Kim, M. Y., Shin, M. S., Ahn, J. B., & Park, S. H. (2002). Occupational voice user. Daegu: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12. Rogerson, J., & Dodd, B. (2004). Is there an effect of dysphonic teachers' voices on children's processing of spoken language? Journal of Voice, 19(1), 47-60. 

  13. Sapir, S., DeRosier, E., Simonson, A. M., & Wohlert, A. (1990). Effects of frequency modulated tones and vowel formants on perioral muscle activity during isometric lip rounding. Journal of Voice, 4(2), 152-158. 

  14. Hogikyan, N. D. & Rosen, C. A. (2002). A review of outcome measures for voice disorders. Otolaryngeal Head & Neck Surgery, 126, 562-569. 

  15. Rodriguez-Parra, J.A. Adrian, & J.C. Casado(2009). Voice Therapy Used to Test a Basic Protocol for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Dysphonia. Journal of Voice, 23(3), 304-318. 

  16. Song, Y. K., Jin, S. M, Sim, H. S., Lee, K. C., Lee, Y. B., & Kwon, K. H. (2000). The Effect of Voice Disorders on Quality of Life(QOL) in the Korea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11(1), 51-63. 

  17. Lee, E. J. & Kim, W. S (2011). A Survey o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Voice Therapy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Science conference. 13-14. 

  1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19. Van Houtte, E., Van Lierde, K., & Claeys, S. (2011).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Voice, 25(2), 202-207. 

  20. Sodersten, M., Granqvist, S., Hammarberg, B., & Szabo, A. (2002). Vocal Behavior and Vocal Loading Factors for Preschool Teachers at Work Studied with Binaural DAT Recordings. Journal of Voice, 16(3), 35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