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 및 실천 영향요인
Impact factor of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3, 2015년, pp.363 - 369  

정호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이정화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20 dental hygienists in Busan and Gyeongnam from August 1 to 31, 2014. The questionnaire was adapted from Na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 감염관리에 있어 멸균 및 소독 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를 비교분석하여 치과진료실 환경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 감염관리에 있어 멸균 및 소독 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를 비교분석하여 치과진료실 환경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종사자들의 b형감염 이환율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는 B형간염 이환율이 높은 지역으로, B형간염 만성 보균자가 많아 치과종사자들의 B형간염에 대한 감염이 우려 된다. 특히 치과종사자들의 경우 치과의사 15.9%, 치과위생사 16.9%로 나타나 일반 국민이 2.5∼5%인 것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6) .
치과위생사들에게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 그리고 소비자및 종사간의 감영방지에 대한 인지와 실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치과진료실은 내부의 오염으로 인한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함께 존재하고 있으며 4) B형 간염과 HIV와 같은 감염성질환의 교차감염 위험이 높아 치과종사자들은 또 하나의 감염의 매개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들은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 그리고 치과의료소비자 및 치과종사자간의 감염 방지에 대한 인지와 실천에 대한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5) .
치과감염률이 점점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과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치과종사자들의 대부분은 각종 진료행위를 통하여 혈액을 원인으로 하는 감염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고 감염에 쉽게 이환될 수 있는 환자군과 치과관련종사자들이 증가하여 치과감염률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1) . 특히 치과진료는 환경적으로 시술자, 보조자, 치과의료소비자가 가까운 동선 안에 있어 감염위험성이 높고 2) , 치료과정 중 혈액이나 타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들이 에어로졸과 분진 형태로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진료실 내 환경을 오염시키며, 사용기구들이 날카롭고, 대부분의 시술과정이 출혈성으로 비교적 높은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3)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ang JK, Kim ES, Kim KM.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J Dent Hyg Sci 2002; 2(2): 105-13. 

  2. Yoon MS, Choi MS. The analysis of the prevention against virus infection in dental hygienist at medical treatment. J Dent Hyg Sci 2007; 7(2): 101-6. 

  3. Cho YJ, Yoon SJ, Ahn HS, Kim SD, Park HK. A study 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mong dental hygienist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03; 10(2): 190-203. 

  4. Su J, Deng XH, Sun Z. A 10-year survey of compliance with recommended procedures for infection control by dentists in Beijing. Int Dent J 2012; 62(3): 148-53. http://dx.doi.org.10.1111/j.1875595x.2011.00107. 

  5. Kim HG, Lee SJ. The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 dental practice in Seoul, Korea. J Dent Korea Assoc 1995; 33(4): 291-96. 

  6. Moon HS.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dentist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2; 16(1): 53-73. 

  7. Nam YS. Analysis on relevant factor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in dental clinics-(focusing on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08; 8(3): 189-98. 

  8. Park JH, Heo NS, Song HJ. A study of current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sts and related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6): 993-1003.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1-10. 

  10. Lee JH. A survey of cognition on infection control of the clients in dental hospital.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2): 249-60. 

  11. Park JH, Jang KA. Th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953-61. 

  12. Woo SH, Kwag JS, Ju OJ, Lim KO.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at dental offices. J Korean Acad Dent Hyg Edu 2009; 9(3): 282-93. 

  13. Nam YS, Park MS. A study on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 34(2): 187-97. 

  14. Eom S, Kim GW. Infection control realities and relevant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2): 37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