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Levels among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2, 2016년, pp.183 - 192  

장경애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정현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년 8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일부 지역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관리 구조 체계 요인을 조사하여 체계적인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원내 감염관리에 대한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은 장비 및 시설 지원(r=0.434, p<0.01), 진료기술 및 정보 지원(r=0.231, p<0.01), 감염관리 교육 지원(r=0.266, p<0.01), 감염관리 인지도(r=0.354,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42, p<0.01)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장비 및 시설 지원은 진료기술 및 정보 지원(r=0.418, p<0.01), 감염관리 교육 지원(r=0.422, p<0.01), 감염관리 인지도(r=0.404,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54, p<0.01)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원내 감염관리에 대한 감염관리 교육 지원은 감염관리 인지도(r=0.348,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05, p<0.01)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감염관리 인지도는 감염관리 실천도(r=0.879, p<0.01)와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감염관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 장비 및 시설 지원, 진료 기술 및 정보 지원, 감염관리 교육 지원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 장비 및 시설 지원, 감염관리 교육 지원, 진료 기술 및 정보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치과위생사의 치과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감염관리 구조체계를 구축하여 활성화해야 한다.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구조체계의 엄격한 평가제도가 마련되어 바람직한 치과의료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228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s were surveyed between August 1, 2015, and October 15, 2015. The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levels among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중매체와 정보전달이 스마트한 시대로 변화하면서 건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료 환경에도 관심이 증가하여, 특히 진료실 내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28명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구조 체계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 차이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관리 구조 체계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 진료가 감염 질환의 전염 위험성이 높은 이유는? 의료기관의 진료환경 중 치과 진료실은 광범위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혈액, 타액 및 체액 등의 분비물과 치과 진료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에어로졸과 분진이 치과 내부를 오염시켜 감염의 매개 장소가 될 수 있다1). 특히 치과 진료는 환경적으로 시술자, 환자, 보조자가 서로 가까운 동선 안에 있어 감염 질환의 전염 위험성이 높다2). 그러므로 치과 진료실에서 환자와 치과 의료종사자의 안전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감염관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2010년 의료법 개정에 따라 치과병원은 어떻게 운영되나? 이에 2006년 보건복지부는 환자와 환자 간의, 혹은 환자와 의료진과의 교차감염을 예방할 목적으로 치과진료실 내에서 사용되는 치과재료, 진료기구 및 장비 등에 관한 멸균과 취급방법을 마련하여 감염예방에 노력하고 있다3). 2010년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기관인증제에 따라 치과병원에 맞는 인증 기준을 제시하여 2014년부터 치과병원에 대한 인감염관리가 포함되어, 감염 관리체계, 수관 및 표면관리, 부서 감염관리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다4). 병원감염관리는 안전한 진료와 함께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의 기본과정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한다.
치과 의료기관의 감염관리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리고 의료기관의 감염관리는 의료 소비자의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고5) , 환자의 만족도 및 의료기관의 신뢰도 증대에 직결된다6) . 그러나 치과진료실 내에서 감염방지 실천의 번거로움과 진료시간 연장으로 인한 시간 부족이 감염관리 실천율을 저조하게 하였고7), 감염관리를 위한 비용은 진료비 상승과 연결되므로 적극적인 감염관리활동을 어렵게 하였다. 또한 인증평가제 적용대상은 치과병원에 국한되어 치과의원 감염관리 평가 규제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치과의료기관의 환경이나 치과 의료종사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지에 따라 의료기관마다 감염관리 실태는 차이를 보인다. 감염관리는 의료진들과 환자, 기관의 경영자와 감염관리자 모두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때 효과를 거둘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ardie J: Concern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dental practice. J Can Dent Assoc 58: 337-386, 1992. 

  2. Haley RW, Morgan WM, Culver DH, et al.: Update from the SENIC project. Hosptial infection control: recent progress and opportunities under prospective payment. Am J Infect Control 13: 97-108, 1985.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line on infection control in dental treatmen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1-3, 2006.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standar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107-117, 2013. 

  5. Cho MJ: A study on re-use intention through external stimuli and infection control of dental office perceived by medical consumer. J Korean Soc Dent Hyg 11: 571-580, 2011. 

  6. Lee JH: A survey of cognition on infection control of the clients in dental hospital. J Korean Dent Hyg Sci 13: 129-260, 2013. 

  7. Nam SM: A study 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by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11: 137-148, 2011. 

  8. Choi DR, Kim SH: The study on organization, infection controller, patient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in certain areas. J Korean Dent Hyg Sci 15: 399-406, 2015. 

  9. Bae S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1. 

  10. Kim SH, Kim YB, Kang HK, et al.: Infectious diseases. Koonja, Seoul, pp.3-4, 2011. 

  11. Kim BY, Park JM, Park EJ: A study on the impac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s for hepatitis type B and their practices to prevent infec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52: 287-297, 2014. 

  12. Park JH, Heo NS, Song HJ: A study of current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sts and related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11: 993-1003, 2011. 

  13. Bae SS, Lee MS: Study on elements for effective infection control at dental hospitals. J Korean Soc Dent Hyg 11: 557-569, 2011. 

  14. Cha SR, Kim KJ: Protocol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dental clinic. J Korean Dent Assoc 51: 130-137, 2013. 

  15. Yun KO: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J Korea Soc Health Inform Stat 38: 23-35, 2013. 

  16. Lee JH: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impressions. J Dent Rehabil Appl Sci 29: 183-192, 2013. 

  17. Kim JH, Kim JK: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xperiences. J Korean Soc Dent Hyg 11: 547-556, 2011. 

  18. Moon SE, Hong SH: The correlation of dental hygienist’s educational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with the activity ratio of infection control in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Dent Hyg Sci 15: 430-436, 2015. 

  19. Yoon HY, Lee SY: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nd effective control method of dental unit water system. J Korean Dent Hyg Sci 15: 383-392, 2015. 

  20. Bae SS, Lee M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and its validity verification. J Korean Dent Hyg Sci 13: 254-26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