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식과 수행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4, 2017년, pp.621 - 630  

이향님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st.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239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from September 7 to 18, 2016 in Gwangju city & Jeonnam region after ex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치과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 수행과 상관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치위생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수준 향상으로 사람 수명의 변화 추세는 어떠한가? 경제발전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의 수명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이다[1]. 건강하게 오래살고 싶은 욕구가 더 높아지면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횟수나 비용도 함께 증가하였다[2].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횟수나 비용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경제발전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의 수명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이다[1]. 건강하게 오래살고 싶은 욕구가 더 높아지면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횟수나 비용도 함께 증가하였다[2].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국민의 수가 많아질수록 의료기관 근무자들과의 접촉이 잦아진다.
치과위생사가 치과진료 시 노출되어 있는 환경 특성은 무엇인가? 임 등[7]은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에 대한 노력은 의무라고 주장하면서 환자가 어떤 기준으로 치과감염관리를 인식하는지를 알아 진료실 환경 개선에 반영하면 경쟁력을 갖출 수도 있다고 하였다. 치과진료는 혈액이나 타액 내 병원성 미생물들이 공기 중에 퍼져서 진료실을 오염시키고, 날카로운 기구와 출혈성 시술이 많아 감염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8]. 치과위생사는 이런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서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보호장구를 착용하여야 하고,기구를 다룰 때는 주의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ang BU, Go JM, Gwoen TS, Kim GS, Kim MS, Kim SY, et al. Public health. 7th ed. Seoul: Chung gu; 2017: 57-9. 

  2. Kim DJ, Youn HM, Lee JA, Chae HR. Measurement of inequal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using Korea health pan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4;34(3):33-58.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33. 

  3. Eom S, Kim GW. Infection control realities and relevant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 Hyg 2012;12(2):379-89. 

  4. Peter RW. Prevent cross-infection in dentistry. Seoul. KMS; 1998: 1. 

  5. Korean Dental Association. 2013 Korean dental medical yearbook. Seoul: Jaru; 2014: 133. 

  6. Jung MK, Lee JY, Kang YJ.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J Korean Soc Dent Hyg Sci 2010;10(5):935-45. 

  7. Yim HK, Jung WG, Yoo JH, Kim NH. The patient’s perception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3):441-50. 

  8. Nam SM. A study 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by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 Hyg 2011;11(1):135-46. 

  9. Yun KY, Park HJ, Son BS. A study on bacterial concentrations in dental office. J Environ Health Soc 2014;40(6):469-76. https://doi.org/10.5668/JEHS.2014.40.6.469. 

  10. Yoon MS, Choi MS. The analysis of the prevention against virus infection in dental hygienist at medical treatment. J Dent Hyg Sci 2007;7(2):101-6. 

  11. Lim HJ. Influence of the infection control's recognition level of a dental hygienist on an practice degree[Master's thesis]. Seoul: Univ. of Chungang. 2009. 

  12. Cho YJ, Yoon SJ, Ahn HS, Kim SD, Park HK. A study on infection control practies among dental hygienists. J Korean Quali Heal Cur 2003;10(2):190-204. 

  13. Jung HJ, Lee JH. Impact factor of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3):363-9. https://doi.org/10.13065/jksdh.2015. 15.03.363 

  14. Lee JH. A survey of cognition on infection control of the clients in dental hospital. J Korean Soc Dent Hyg 2013;13(2):249-60. 

  15. Kim JH, Lee GY. A study on the infection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09;9(1):129-36. 

  16. An SH. Management of infection and hygiene control in dental care in some dental clinics [Doctoral dissertation]. Cheonan: Univ. of Dankook, 2010. 

  17. Kim EK. Recognition and practice on infection control of dental personnel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Chungang, 2000. 

  18. Nam YS, Park MS. A study on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J Korean Aca Oral Heal 2010;34(2):187-97. 

  19. Choi YS, Jun BH, Cho YS. Effect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on exposure prevention of dental hygienist. J Dent Hyg 2010;10(2):255-68. 

  20. Jeon JS. Status of infection control behaviors of dental hygienists[Master's thesis]. Daegu: Univ. of Kyungbook National, 2012. 

  21. Bae SS, Lee M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and its validity verification. J Dent Hyg Sci 2013;13(3):254-63. 

  22. Ministry of Legislation Internet][cited 2017 Apri 19].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 lsInfoP.do?lsiSeq188411&lsId001788&chrClsCd010202&urlModelsEfInfoR&viewCls lsPtnThdCmp#0000 

  23. Kim BY, Park JM, Park EJ. A study on the impac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s for hepatitis type B and their practices to prevent infection. J Korean Acad Prosthod 2014;52(4):287-97. https://doi.org/10.4047/jkap.2014.52.4.287. 

  24. Lee YE, Cho MJ, Bae JY, Park HS.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s in dental office. J Dent Hyg Sci 2007;7(4):26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