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시대 고문헌 분석을 통한 소고기 연화법 고찰
Study on Tenderizing Method of Beef Based on Old Literature from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3, 2015년, pp.284 - 295  

차경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전통식품산업학과) ,  김승우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전통식품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rds regarding beef cuisine and its tenderization were identified in 38 publications. Old cookbooks, agricultural texts, and Joseon's encyclopedias addressed the subject 411 times. The beef recipe was as follows: cutting 184 times, seasoning 112 times, moist heat cooking 196 times, dry heat cook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조리서(古調理書)와 조리관련 내용이 기록된 백과사전과 농서류를 통하여 조선인들이 소고기를 이용한 음식은 무엇이 있으며, 소고기는 음식의 조리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특히 맛있고 연한 고기를 먹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디족과 한국인은 소고기를 몇 부위로 분리해 먹는가? 육식이 주식인 영국이나 미국인들은 소고기를 40부위 정도로 분류한다. 그러나 보디족은 51개 부위로, 우리민족은 한우 부위를 고기와 머리, 내장 등을 포함해 무려 120여 부위로 분리해 먹는다(Han 2005). 그래서인가 흔히 한우(韓牛)를 일두백미(一頭百味)라 한다.
인류는 사육을 언제 시작하였는가? 소는 우리민족을 비롯하여 인류가 가장 애용하는 식량자원이며,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고기이다. 인류가 정착생활을 하면서 약 1만년전부터 소는 서아시아인들에 의해 사육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가축 사육은 중국의 북방민족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Science generation ed.
소는 처음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 소는 처음에는 식용보다 농경의 수단이나 제사의 희생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삼국에 이어 고려 초기에는 호국신앙(護國信仰)으로 불교를 숭상하였으므로, 수렵이나 가축의 도살을 즐겨 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ndong Lee (안동 장씨, 安東 長氏). 1670. Emsikdimibang (음식디미방, 閨?是議方), In: Han BR, Han BS, Han BJ editor. 2010. Royal Institute of Food, Seoul, Korea 

  2. Anonymous, 1680, Yorok (요록, 要錄), Korea 

  3. Anonymous, The late 1600's, Jubangmun (주방문, 酒方文), Korea 

  4. Anonymous, The late 1700's, Soolmandeneunbub (술만드는법), Korea 

  5. Anonymous, The late 1700's, Eumsikbo (음식보, 飮食譜), Korea 

  6. Anonymous, 1800's, Jubang (주방, 酒方), Korea 

  7. Anonymous, 1856, Jeongildangjabji (정일당잡지, 貞一堂雜識), Korea 

  8. Anonymous, 1800's, Baghaetonggo (박해통고, 博海通攷), Korea 

  9. Anonymous, The early 1800's, Jusikbang (酒食方) Kyugonyoram (규곤요람, 閨?要覽) (Korea Univ.), Korea 

  10. Anonymous, The early 1800's, Wueumjebang (우음제방, 禹飮諸方), Korea 

  11. Anonymous, 1829, Yeokjabnok (역잡록, 曆雜錄), Korea 

  12. Anonymous, 1841, Jabji (잡지, 雜誌), Korea 

  13. Anonymous, 1770, Yeokjubangmun (역주방문, 歷酒方文), Korea 

  14. Anonymous, 1854, Eumsikbub (음식법, 飮食法)-Yoon's, Korea 

  15. Anonymous, 1860, Kim, Seung-Ji's Jubangmun (김승지댁 주방문, 酒方文), Korea 

  16. Anonymous, 1894, Kyugonyoram (규곤요람, 閨要覽) (Yonsei Univ.), Korea 

  17. Anonymous, The late 1800's, Soolbitneunbub (술빚는법) 

  18. Anonymous, 1880, Jusikbangmun (주식방문, 酒食方文), Korea 

  19. Anonymous, 1880, Eumsikbangmun (음식방문, 飮食方文), Korea 

  20. Anonymous, The late 1800's, Jusiksiui (주식시의, 酒食是儀), Korea 

  21. Anonymous, The late 1800's, Eumsikbub (음식법, 飮食法)-Lee's, Korea 

  22. Anonymous. The late 1800's. Juchan (주찬, 酒饌). In: Yoon SK editor. 1998.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197-301 

  23. Anonymous. The late 1800's. Siuijeonseo (시의전서, 是議全書). In: Lee HG, Cho SH, Jung NW, Kim HS, Choi YJ, Kim EM, Baek SE, Won SI, Kim SY, Cha GH, Baek HN editor. 2010.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206, 284 

  24. Cha GH. 2012. Food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Jusiksiui (酒食是儀). J. Korean Soc. Food Cult. 27 (6):553-587 

  25. Choi HG (최한기, 崔漢綺). 1830. Nongjeonghuiyo (농정회요, 農政會要).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282-294 

  26. Han BJ. 2005. 100 kinds of Korean food. Hyeonamsa, Seoul, Korea, pp 561-616 

  27. Heo J (허준, 許浚). 1610. Donguibogam (동의보감, 東醫寶鑑). In: Literature of Dongui editor. 2012. Bubinmunhwasa, Seoul, korea 

  28. Heo K (허균, 許筠). 1611. Domundaejak (도문대작, 屠門大嚼), Korea 

  29. Hong MS. 1715. Sanlimgyeongje (山林經濟). In: National Culture Promotion editor. 2007. Korean Studies Information, Paju, Korea, pp 224-229 

  30. J.C. Brock. 1981. Domesticated Animals. In: Science generation editor. 1996. Saenal, Seoul, Korea, pp 115-129 

  31. Jeon SE (전순의, 全循義). 1459. Sangayorok (산가요록, 山家要錄). In: Han BR editor. 2007. Royal Institute of Food, Seoul, Korea, pp 128, 130 

  32. Kang HM (강희맹, 姜希孟). 1492. Sasichanyocho (사시찬요초, 四時纂要抄), Korea 

  33. Kim CH, Yoon CN, Han HG, Jung OS, Lee DH, Kim SJ. 2001. Chemical dictionary. Chemistry Academy Club. Seoul. Korea. p 327 

  34. Kim SW, 2014, Content of beef and comparative study of tenderizing in Choseon Dynasty, Master's degree thesis, Jeonju University, Korea, pp 37-55 

  35. Kim TH, 1995a,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VI. Roasted beef, J. Korean Soc. Food cult., 10 (4):291-300 

  36. Kim TH, 1995b,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V. Roasted skewered beef, J. Korean Soc. Food cult., 10 (4):301-310 

  37. Kim TH, 1995c,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V. Boiled beef (熟肉) and sliced of boiled beef (片肉), J. Korean Soc. Food cult., 9 (5):499-507 

  38. Kim TH, 1995d,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II. Steaming, J. Korean Soc. Food cult., 9 (5):489-497 

  39. Kim U (김유, 金綏). 1540. Suunjapbang (수운잡방, 需雲雜方). In: Yoon SK editor. 1998.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146, 157 

  40. Lee SP (이시필, 李時弼). 1720. Somunsaseol (소문사설, ?聞事說). Korea 

  41. Oh HS, 2002, A bibliographical study on meat food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4-175 

  42. Park CL, Kwon YS, Chung HJ. 2011. A Historical Study on Changes in a Roasted Beef Recipe through Sulhamyukjuk (Part I)-Focus 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until 1950-, J. Korean Soc. Food Cult., 26 (6):599-613 

  43. Pinghugak Lee (빙허각 이씨, 憑虛閣 李氏). Kyuhapchongseo (규합총서,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1987. Bojinjae, Seoul, Korea, pp92-93 

  44. Pingheokak Lee (빙허각 이씨, 憑虛閣 李氏). 1869. Kanponkyuhapchongseo (간본규합총서, 刊本閨閤叢書), Korea 

  45. Pinghugak Lee (빙허각 이씨, 憑虛閣 李氏). 1910. Buinfilji (부인필지, 婦人必知). In: Lee HG, Han BR, Jung GJ, Cho SH, Jung NW, Kim HS,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editor, 2010. Gyomunsa, Paju, Korea. pp 169 

  46. Seo HS (서호수, 徐浩修). 1799. Haedongnongseo (해동농서, 海東農書).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82-83 

  47. Seo MU (서명응, 徐命膺). 1737. Gosasibiejib (고사십이집, 攷事十二集).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251-253 

  48. Seo MU (서명응, 徐命膺). 1771. Gosasinseo (고사신서, 攷事新書). In: Lee HY editor. 1994. Orom system, Seoul, Korea, pp 254-257 

  49. Seo UG (서유구, 徐有?), 1827. Limwonsibyukji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 In: Lee HG, Cho SH, Jung NW, Cha GH editor. 2007. Gyomunsa, Paju, Korea, pp 286-287, 292-293 

  50. Yecheon Kwon (예천 권씨). The late 1700's. Onjubub (온주법, ?酒法), Korea 

  51. Yoon SS, 19999, The History of Korea food culture,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272-277 

  52. You JR (유중림, 柳重臨). 1766. Jeungbosanlimgyeongje (증보산림경제, 增補山林經濟).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212-217 

  53. Moon KS. 1999. Component and the use of herbs. Ilwulseogak publisher, Seoul, Korea, pp 179-180 

  54. Wimmer. R. D., Dominick. J. R. 1994, Research methods of mass media, In: Yu JC, Kim DK editor, 1995, Nanam, Seoul, Korea, p 197 

  55. Institutes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Korean Classics Database 2013, Available from: http://www.itkc.or.kr, [accessed 2013. 10. 1-11. 30] 

  56.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Joseon Dynasty 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accessed 2013. 5. 6-25] 

  57.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orean research memory 2013, Available from: http://krm.or.kr, [accessed 2013. 10. 1-11. 30] 

  58.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Available from: https://www.ekape.or.kr, [accessed 2015. 3. 2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