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학궤범(樂學軌範)』 도식화의 '둥근깃형 포류(袍類)' 연구
Study on the 'Round Collar Po(袍類)' Illustrations of 『Akhak-gwebeom(樂學軌範)』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4, 2015년, pp.1 - 18  

고윤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 of study is about the illustrations of the round collar Po(袍類) in the Akhak-gwebeom(樂學軌範) which was published in 1493. These illustrations are painted records of what musicians and dancers in the palace were wearing during performances. While each illustration of the Po is similar in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출토유물의 묘주와 여기, 동기는 신분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의 복식을 입을 수 없도록 구성상의 차이점을 두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악학궤범」이 제작된 1493년 전후의 다중안주름형 무모양을 한 여자의 둥근깃형 포류를 丹衣의 무형태를 비교하여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자의 둥근깃형 포류 출토유물은 임진왜란 전후 시기의 것이 대부분인데, 현재 학계에 발표된 유물 중 묘주의 생몰년대와 지위가 명확하게 나타나있는 유물 4점을 선정하였다.
  • 그 중 둥근깃형 포류는 9건 13점으로 綠綃衫, 緋鸞衫, 紅綠紬衣, 藍紬衣, 衣, 丹衣, 黑團領 등 다양한 명칭들로 보여지며 출토유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구조상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둥근깃형 포류 도식화 별로 다르게 사용된 명칭과 세부구조에 주목하여 각각의 명칭이 사용된 기준을 제시하고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악학궤범」의 둥근 깃형 포류 도식화에 대하여 기록된 명칭 중 의복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 衫, 衣, 團領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명칭과 구조적인 특징을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구조 및 당시의 복식문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대의 문헌자료, 회화자료 및 출토유물 등을 참고하였다.
  • 이것으로 보아 의복을 나타내는 명칭인 衫, 衣, 團領이 도식화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므로 구체적인 고찰을 위하여 9건의 도식화를 衫, 衣, 團領의 세 종류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명칭에 속하는 둥근깃형 포류의 형태, 종류, 착용자, 착용상황과 직급과 역할에 따라 다르게 착용하였던 관(冠) 등 『악학궤범』에 제시된 기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둥근깃형 포류의 명칭사용에 대한 정의와 조형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악학궤범」의 권2에는 악기진설의 종류에 따른 복식착용 내용이 설명되어 있고, 권9에는 권2에서 설명되었던 복식이 도식화와 세부내용으로 나타나있다. 이 중 문무와 무무에서 악생이 입는 겉옷은 권2에서 皂紬衣, 권9에서는 皂紬衫으로 기록되었고,18) 문소전 친행 전상악(文昭殿親行殿上樂)에서 악공이 입는 겉옷은 권2에서 紅紬衫과 綠紬衫으로, 권9에서는 紅綠 紬衣로 나타나있어 19) 명칭이 혼동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착용상황과 착용자가 동일하므로, 결국 皂紬衣와 皂紬衫 그리고 紅紬衫․綠紬衫과 紅綠紬衣는 같은 의복이라 할 수 있다[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團領(단령)은 어떤 형태와 종류는? ‘團領’은 배래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窄袖形에상부가 삼각형인 무가 있는 모습으로, 형태는 같으나색이 다른 黑團領, 土紅團領, 鴨頭綠團領, 綠紬團領의 4종류가 있다. 악사, 악공, 관현맹인이 연향(宴享)에서 입었던 黑團領과 鴨頭綠團領은 면포(綿布)로 만들었고, 모화관친열(慕華館親閱)이나 관사(觀射)에서가동이 입었던 綠紬團領은 주(紬)로 만들었다.
衫으로 분류되는 둥근깃형 포류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衫’으로 분류되는 둥근깃형 포류(袍類)는 綠綃衫, 紅綃衫, 緋鸞衫, 靑鸞衫, 皂紬衫, 紅紬衫으로 총 6종 류이고, 靑鸞衫은 세종대에는 사용되었지만 「악학궤범」이 제작된 성종대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6) 도식화는 두 가지 형태로 제시되는데 廣袖形으로 수구 끝에 작은 끝동이 덧붙여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둥근깃형 포류의 기원은 무엇인가? 둥근깃형 포류(袍類)는 曲領, 上領, 圓領, 盤領, 團 領 등의 명칭으로 불리던 겉옷류이다. 기마유목민족인 선비족(鮮卑族)의 복식에서 기원하여(Ko, 1990) 중국에서는 隋代부터 明代까지 착용하였다. 한국에서는 이미 예(濊)에서 남녀 모두 曲領을 입었고 고구려와 발해의 벽화, 신라의 토용에서도 깃이 둥근 포 (袍)를 착용한 것이 확인되며(Ryu, 1998), 남국신라 시기 진덕여왕 2년(648)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 국말 까지는 관복(官服)으로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khak-gwebeom [樂學軌範] (1493). 

  2. Andong National Univ. Museum. (Ed.) (2000).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Kosong Yi graves at Chongsang-dong, Andong. Andong, Republic of Korea: Andong National Univ. Museum. 

  3. Cho, O. S. (1986). A Study on 'dan-ryoung' (Unpublished doctoral disse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 Choi, E. S. (2007). The official's dallyeong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5.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Editorial Board. (Ed.) (2004).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Vol 4 historical costumes. Tianjin, China: Tianjin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6. Daejeon Prehistoric Museum. (Ed.) (2009). Traditional costume of Joseon dynasty. Daejeon, Republic of Korea: Daejeon Prehistoric Museum. 

  7. Dankook Univ. (Ed.) (1998). Korean Costume, 16. Seoul, Republic of Korea: Dankook Univ. Seok Juseon Memorial Museum. 

  8. Goryeo-sa [高麗史] (1451). 

  9. Gukjo-orye-seorye [國朝五禮序例] (1474). 

  10. Gwangju Folk Museum. (Ed.) (2000). Hacheon Ko Un excavated artifact [霞川高雲출토유물]. Gwangju, Republic of Korea: Gwangju Folk Museum. 

  11.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06). Excavated costumes from Jinju Ryu's common grave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Yongin, Republic of Korea: Gyeonggi Provincial Museum. 

  12.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05). Excavated costumes from Yeonan Kim's grave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Yongin, Republic of Korea: Gyeonggi Provincial Museum. 

  13.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14). Special trip of prince Seonseong and his mother of Joseon royal family.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14. Gyeonguk-daejeon [經國大典] (1485). 

  15. Han, H. (2012). Music thought of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악(樂) 사상]. Seoul, Republic of Korea: Sonamu. 

  16. Huang, N. F., Chen, J. J., & Huang, G. (2011a). Seven thousand years of Chinese costumes No. II. Beijing, China: Tsinghua University Press. 

  17. Huang, N. F., Chen, J. J., & Huang, G. (2011b). Seven thousand years of Chinese costumes No. III. Beijing, China: Tsinghua University Press. 

  18. Jin, H. J. (2006). Study on the formation and sewing method of danryeong first term of Josheon dynasty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dankook.ac.kr/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104 

  19. Jeong, K. H. (1984). A study on sewing of dallyeoung and changeu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8, 69-73. 

  20. Kim, E. & Kang, S. (2003). A study of the clothing's culture in Choseon period with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ng into clothing's names-focused on the names of unisex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4), 149-162. 

  21. Kim, K. (2002). The costume of young girls dancers in yon wha dae moo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6), 1-13. 

  22. Kim, M. J. (1980). A study of Chinese dallyeou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 47-65. 

  23. Kim, M. J. (1991). A study of Japanese dallyeou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7, 71-82. 

  24. Kim, Y. J. (1998). A study on chinese round neckline: in reference to the five hundred thieves to become buddhist mon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6, 97-107. 

  25. Ko, G. L. (1979). The study of dan roung, The Research Journal, 14, 113-161. 

  26. Ko, G. L. (1990), The hats and clothes of Korea [韓國의 冠服]. Seoul, Republic of Korea: Hwaseongsa. 

  27. Kweon, J. & Lee, S. (1999). A Study on sibok in Choson dynasty(1)- centering around sibok of king and pr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8, 71-81. 

  28. Lee, E. (1998). A case study of dan-ryung construction in early 16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2), 279-292. 

  29. Lee, E. (2005). Development process of sibok and sangbok for officer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6), 38-50. 

  30. Lee, G. C. & Lee, M. N. (2003). A historical figure portrait dictionary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Seoul, Republic of Korea: Hyunamsa. 

  31. Lee, J. (2003). A Study of the pobaekcheok of akhakgwebeom, Journal of the Natio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15, 75-94. 

  32. Lee, J. S. (1998). Joseon dynasty's rituals and court music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Seoul, Republic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3. Lee, S. J. (1981). A study of the musicians' costumes in Yi dynasty specialized in master musician?jeona g?agsang and aggo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 83-101. 

  34. Lim, J. Y. (1984). A study on dan-ryo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8, 31-42. 

  35. Moon, K. H. (1987). A study on comparision of Korea, Chinese dan-ryeong (Unpublished doctoral disse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36. Moon, K. (2004). A study on dress codes and actural samples of "dan-ryung" in the time of Chosu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7. Mungyongsaeje Museum. (Ed.) (2005). Where did she go that wearing gumseondan chima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디 다녀오셨을까].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38. Na, Y. (2012). 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danryeong form observed in oryun haengsil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9. National Gukak Center. (n.d.). Sound of the Heaven, Music of King Sejong :[Brochure]. Seoul, Republic of Korea. 

  40. Park, J. & Cho, W. (1997). A study on the costumes of ch'oyong dance(1) focus on the structure and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1), 129-143. 

  41. Park, S. S. (1992). Study on exhumed clothing of the early Chosu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2. Ryu, D. S. (2010), A pictorial guide to the history of Chinese music. (S. H. Kim & H. R.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43. Ryu, H. K. & Kim, M. J. (2000). Cultural history of Korean costume [한국복식문화사] (5th ed.).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44. Ryu, S. O. (1998). History of Korean costume [韓國服飾史]. Seoul, Republic of Korea: Suhaksa. 

  45. Sejong-sillok [世宗實錄] (1397-1450). 

  46. Seoul Museum of History & Dankook Univ. Seok Juseon Memorial Museum. (Ed.) (2006). An exhibition of excavated Korean costumes, Seoul, Republic of Korea: Seoul Museum of History & Dankook Univ. Seok Juseon Memorial Museum. 

  47. Sim, Y. O. (2006). 2000 years of Korean textile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I.S.A.T. Publications. 

  48. Song, M. (2002). Study of Joesun dynasty danryoung worn by wom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8), 151-160. 

  49. Shin, H. & Park, S. (2007).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wearing the danryung of the tongshin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10), 99-111. 

  50.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d.) (2000). Exhibition of excavated remains donated by Byeon family. Seoul,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51. Yingzao-fashi [營造法式] (1103). 

  52. Youngju-si. (Ed.) (1998). Research reports of pankyulsa Kim Heumjo common grave excavated artifact. Youngju, Republic of Korea: Youngju-s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