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자치구 무슬림계 소수민족 여성쓰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Women's Headgear of Muslim Ethnic Minority in Xinjiang Uygur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4, 2015년, pp.124 - 136  

강수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is the area with the most Muslim populations in China and the costume of this ethnic minority group was influenced from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ligion. Headgear is one of the important costume elements of Muslim ethnic minority such as Kazakh, Kirghiz, Uz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점차 다양한 상징성을 가지고 발달하였으며, 특히 민족의 종교 신앙에 따른 영향이 쓰개 발달에 크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무슬림인구가 많은 신장자치구에 거주하는 무슬림계 소수민족의 여성쓰개를 종교적 영향에 중점을 두고 주변 환경과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장자치구 무슬림계 소수민족 여성쓰개의 착용 동기를 살펴보고, 형태별로 분류하여 쓰개에 나타난 민족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무슬림인구가 많은 신장자치구에 거주하는 무슬림계 소수민족의 여성쓰개를 종교적 영향에 중점을 두고 주변 환경과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장자치구 무슬림계 소수민족 여성쓰개의 착용 동기를 살펴보고, 형태별로 분류하여 쓰개에 나타난 민족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네 민족 쓰개의 특징을 통하여 착용만으로 민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각 민족별 쓰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중국 신장웨이얼자치구에 거주하는 무슬림계 소수민족 카자흐·키르기스·우즈베크·타지크족의 여성쓰개에 관한 고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슬람교란 무엇인가? 이슬람교는 중동과 터키, 중앙아시아와 중국 서북 지역, 유럽과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 걸쳐 존재하고 있으며, 약 18억 내외의 인구가 믿는 세계 3대 종교중 하나이다(Islam, n.d.
우즈베크족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게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즈베크족은 중앙아시아에서 신장자치 구를 오가던 우즈베크 상인들 중 일부가 중국내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민족이다(Jeong, 2007). 이들은 8~9세기에 강화된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민족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게 되었다(Son, 2004). 타지크족은 2~3세기 파미르고원 동부 일대에 거주하던 유럽인종인 이란부족이 그 선조이다.
쓰개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가? 쓰개는 우리가 착용하는 복식 중에서 신체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머리를 가리고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점차 다양한 상징성을 가지고 발달하였으며, 특히 민족의 종교 신앙에 따른 영향이 쓰개 발달에 크게 작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lbum. (1996). Kazakh costume [kа3аk knimi]. Almaty, Kazakhstan: Oner. 

  2. Battolga. (2009). Kazak custom.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40, 77-102. 

  3. China. (n.d.).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nline. Retrieved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hina 

  4. Cho, S. (1993). The study for mongolian hat: A point of view for u yadamsuren's hat pai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5. Choi, S. B. & Cho, W. H. (2000). A comparative study of headgear among the eastern slavs; focus on the unmarried and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1), 33-49. 

  6.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Editorial Board. (Ed.) (2005).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Vol 5: clothing of national minorities. Tianjin, China: Tianjin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7. Dabata, H., Kanamaru, Y., Sinmen, Y., Majjeuoka, M., Swo, W., Christian, D. (2006). Chinese minority introduction [중국소수민족 입문]. (J. S. Won, & Y. J.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yunhaksa. 

  8. Elechek (n.d.). Karakalpak online. Retrieved from http://karakalpak.com/index.html 

  9. Frances, K. & Caroline, M. (1994). World dress. London, England: Mitchell Beazley. 

  10. Gong, B. J., Lee, K. I. & Cho, Y. K. (2011). A book to read chinese culture [한 권으로 읽는 중국문화] (2nd ed.). Busan, Republic of Korea: Sanzini. 

  11. Han, S. & Cho, O. (1997). A study on the costumes of the minority peoples of west-north in china,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Human Ecology. first issue, 23-52. 

  12. Hong, N. Y. (1987). A study of woman's veil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42 

  13. Hua, M. (1992). China history of costume [중국복식사]. (S. S. Park, & S. W.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chun Publishing Co. 

  14. Hua, Z. (2014). The use of chinese traditional elements in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5. Hwang, B. H. (2009). A study on the history of islam in xinjiang and china's policy on islam, Korea Association of the Middle East Studies, 30(1), 107-140. 

  16. Ileki (n.d.). Retrieved from http://karakalpak.com/index.html 

  17. Islam (n.d.). In do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5007&cid40942&categoryId31600 

  18. Jabeurieba, M., Jeong, I. H. & Cho, Y. J. (2008). Culture of uzbekistan who according to the costume adaptation mechanism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1, 205-205. 

  19. Jang, J. (2010). A study on folk festival "navruz" of central asia,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43, 149-186. 

  20. Jeong, J. N. (2007). Chinese ethnic studies; china based on the ethnic minorities [중국 소수민족 연구: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1st ed.). Paju, Republic of Korea: KSI. 

  21. Jeong, J. N. (2008). Chinese minorities [중국의 소수민족] (1st ed.). Paju, Republic of Korea: Sallim publishing house. 

  22. Jeong, H. R. (2008). Stepping into the xinjiang [중국으로 들어서다] (1st ed.). Urumuqi, China: Xinjiang- Photographing art publishing houses publishing. 

  23. Johannes, K. & Margareta, P. (2003). Uzbekistan: heirs to the silk road. Thames & Hudson. 

  24. Kang, S. & Jeon, H. (2003).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ostume of Isla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Journal of Human Science, 23(1), 137-152. 

  25. Kim, B. M. (1998). Secret of the gold crown; Locate korea and kim's headwaters antiquities [금관의 비밀: 한국고대사와 김씨의 원류를 찾아서]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Pureunyeoksa. 

  26. Kim, I. H. (2010). 1300 years old, diaspora goguryeo migrants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Pureunyeoksa. 

  27. Kim, I. (2002). The analysis of nationality headgear: emphasis area?gender?symbo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ty, Daejeon, Republic of Korea. 

  28. Kim, I. S., Kwak, J. I., Im, Y. G., Kwak, J. O., Kim, G. W., Kim, N. W., . . . Lee, S. B. (2008). Central asia's giants, kazakhstan [중앙아시아의 거인, 카자흐스탄]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Gungri-publishing. 

  29. Kim, S. K. (2008). Center on the silk road, uzbekistan [실크로드의 중심지, 우즈베키스탄] (2nd ed.). Seoul, Republic of Korea: Myeongseongseorim. 

  30. Kim, S. H. (2003). Hobok; Costume of the silk road [호복: 실크로드의 복식]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31. Kim, S. J. (2007). Chinese minorities [중국소수민족] (1st ed.). Daejeon, Republic of Korea: Baejae University Press. 

  32. Kim, Y. M. (2000). The costume of tajik and korea, The central music research, 8-9, 85-106. 

  33. Kim, Y. S. (2002). Koran (5th ed.). Seoul, Republic of Korea: Myungmundang. 

  34. Kwon, H. J. (1995). Ethnic minorities' costumes in and around silk road; nationalities of the xinjiang uighur autonomous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4, 103-120. 

  35. Li, B. (2012). A study on the ethnic costumes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of the chinese musli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6. Lyachek (n.d.). Retrieved from http://karakalpak.com/index.html 

  37. Macheumoto, T. (1985). Ethnic clothing in the world 2. Osaka, Japan: Kwanseo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38. Min, B. H. (1999). Western turkestan religious denominations ruins and excavated relics; Focus on buddhism and zoroastrianism, The Association of Art History, 13, 153-180. 

  39. Oh, E. K. (2006). Inside the islamic veil and woman [베일 속의 이슬람과 여성]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Phronesis. 

  40. Oh, C. J. (1990). Etude de la costume 1'asie centrale; costume de tadzhik, Chungnam Journal of human ecology, 3(1), 1-26. 

  41. Park, C. S. (1995). A study on the minorities in china costumes 1: focusing on ethnic minorities in northeast, northw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175-207. 

  42. Park, C. S. & Cho, W. H. (2002). Chinese minority costume [중국 소수민족 복식]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43. Park, H. Y. & Cho, W. H.(2006). A study on the folk of uzbekistan's costumes,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 57-60. 

  44. Park, J. W. (2006). China's religious history: In taoism to falun gong [중국 종교의 역사: 도교에서 파룬궁까지] (1st ed.). Paju, Republic of Korea: Sallim publishing house. 

  45. Park, S. N. (2010). Central asia (1st ed.). Osan, Republic of Korea: Hanshin University Press. 

  46. Patricia, R. (2009). The worldwide history of dress.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Trans.). Goyang, Republic of Korea: Wisdom House, Yedam. 

  47. Seo, B. H. (2014).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asian traditional costumes: emphasis on buddhist, hindu and islamic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57-59. 

  48. Seong, D. K. (2013, Sep). Central Asia's traditional hat makes it distinct ethnic identity [PDF document]. Chindia plus. 84. Retrieved from https://www.posri.re.kr/issue/download_ajax/file_id/5705 

  49. Shanghai academy comedy Chinese people balsik Editional board. (Ed.) (1999). Chinese people balsik [中國民族髮飾]. Chengdu, China: Sacheoninminpublishing house. 

  50. Shim, H. C. (2006). A study on impact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on religious change in northwestern ethnic minorities: weiwuer and yugu,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38, 227-242. 

  51. Shin, I. S. & Je, Y. (2001). A study on the kazakh, kirgiz, tajik tribe costume and textile, Fashion & Textile Reserch Journal. 3(2), 105-114. 

  52. Shin, T. S. (2009). Muslim uighurs and china [위구르와 중국 이슬람]. (1st ed.). Deajeon, Republic of Korea: Jongryeonamu. 

  53. Soh, H. O. & Kim, Y. H. (2008). Chinese minority and costume [중국 소수민족과 복식].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chun Publishing Co. 

  54. Sohn, K. K. (1998). Islam in china, The Korean Muslim Society, 8(1), 165-181. 

  55. Son, K. J. (1991). Dusikko of mongolian[蒙古族의 頭飾考],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7, 247-248. 

  56. Son, M. R. (2004). Chinese minority religious stud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Gyeongsan, Republic of Korea. 

  57. Wang, F. (1986). Ethnic Costumes And Clothing Decorations From China. Shanghai, China: Hai Feng Publishing Co. 

  58. Wang, H. Y. (2013). A Study on the women's headdress of yi nationality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59. Yoo, T. S., Cho, G. Y., Kim, Y. R., Jeong, Y. H., Hwang, Y. J., Cho, E. Y. & Kim, H. H. (2006). Folk costumes of the world (1st ed.). Seoul, Republic of Korea: Sinjeong. 

  60. Yoo, T. & Kim, J. (1999). Geographical of the world folk headdress types, Fashion & Textile Reserch Journal, 1(3), 246-2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