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3, 2015년, pp.63 - 76  

이원명 (한국도로공사)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종엽 (환경생태연구재단)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에 설치된 고속도로 휴게소 5개소를 대상으로 휴게소 공간 및 환경 특성,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휴게소 조경공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 및 환경 특성에서는 토지이용, 녹지 배치, 토지피복과 환경영향 요인으로 소음 현황, 분리녹지대 지형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식재현황에서는 식재개념, 식재구조, 식생경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현황은 건물 등 시설지가 81.6%, 녹지는 18.4%이었으며, 녹지는 경관공간 5.4%, 완충공간 9.1%, 녹음공간 0.7%이었다. 녹지 배치는 분리녹지대, 건물 좌 우측, 진 출입부, 휴게소 건물 후면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다. 토지피복 현황으로 평균 불투수포장율은 79.3%, 평균 투수포장율은 20.7%이었다. 소음 측정 결과는 소음원인 고속도로와 휴게소의 배치, 분리녹지대의 유형 및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재개념 현황은 경관식재 6.7%, 기타녹지 3.4%, 완충식재 4.6%, 완충+경관식재 2.0%, 녹음식재 1.1%, 경관+녹음식재 0.5%로 조경공간 대부분이 감상을 위한 공간 위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이용자의 휴식, 위락 공간 등 적극적 이용 가능 공간은 부족하였다. 식재구조는 교목층식재 52.2%, 관목층식재 11.8%, 교목층+관목층식재 9.4%로 대부분 단층구조이었다. 식생경관은 조사지점에 따라 식재밀도, 식재구조, 생육상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은 기반환경 개선, 공간기능 개선, 식재기능 개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휴게소 소음 개선을 위한 분리녹지대 기능 강화, 물순환 체계 개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개선은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건물 좌우측에 조성되는 녹지를 건물 전면에 배치하는 휴게공간 배치 개선과 주차장 내 녹지섬 조성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및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식재 및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재기능에서는 분리녹지대 완충기능 강화를 위하여 다층형 수림대 조성, 외곽녹지 완충기능 확보를 위한 상록교목+낙엽교목+관목층의 식재구조를 제시하였다. 건물 전면과 이용 선호도가 높은 건물 좌측공간에 녹음공간을 조성하고, 주제 설정을 통한 경관공간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s with the landscape areas of highway service areas. The survey factors were land use, placement of green area and land coverage in terms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roperty. Noise and topographic structure in detached green are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기능 개선에서는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휴게공간을 당초 건물 좌․우측에 배치하는 기준을 변경하여, 건물 전면에 휴게공간, 건물 측면에 주차공간을 배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물 주변 녹지는 녹음공간으로 조성하여 휴게공간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주차장 내 녹음공간 조성으로 열섬현상 완화, 차량의 저속운행 유도를 통해 안전한 휴게소 이용환경 조성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식재기능 개선에 서는 휴게소 조경식재개념을 확대 발전시켜 분리녹지대는 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의 다층형 수림대로 조성하여 소음 및고속도로 오염물질의 휴게소 유입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부고속도로내 죽전(서울)휴게소와 만남(서울)휴게소, 서해안고속도로 내화성(목포)휴게소, 영동고속도로 내 여주(강릉)휴게소와 덕평휴게소를 대상으로 공간 및 환경특성과 식재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고속도로 휴게소의 기반환경, 공간기능, 식재기능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해 공간 및 환경특 성과 식재현황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개선방안을 기반환경 측면, 공간기능 측면, 식재기능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분리녹지대 기능 향상을 위하여 신설 휴게소는 한국도 로공사 설계 기준인 볼록형 분리녹지대 폭 30m, 높이 3m 이상 으로, 비탈형 분리녹지대는 폭 10m, 높이 5m 이상으로 조성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최초 고속도로 휴게소는 어디인가? 고속도로 휴게소는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생리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차량 정비 및 주행상의 안전 등을 위해 설치된 시설이다(Moon, 2000). 국내 최초 고속도로 휴게소는 1971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추풍령 휴게소가 개소하였으며, 2012년 목포광양 고속도로에 보성녹차 휴게소가 개소하여 현재 175개소가 운영 중이다(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2b). 고속도로 휴게소는 관광과 여가를 위한 시설, 문화교류를 위한 시설로 개념이 확대되고 있지만(Kwon et al.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에서 기반환경 개선을 위해 무엇을 제시하였나?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은 기반환경 개선, 공간기능 개선, 식재기능 개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휴게소 소음 개선을 위한 분리녹지대 기능 강화, 물순환 체계 개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개선은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건물 좌우측에 조성되는 녹지를 건물 전면에 배치하는 휴게공간 배치 개선과 주차장 내 녹지섬 조성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및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식재 및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속도로 휴게소란? 고속도로 휴게소는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생리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차량 정비 및 주행상의 안전 등을 위해 설치된 시설이다(Moon, 2000). 국내 최초 고속도로 휴게소는 1971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추풍령 휴게소가 개소하였으며, 2012년 목포광양 고속도로에 보성녹차 휴게소가 개소하여 현재 175개소가 운영 중이다(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2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iablame, L. M., B. A. Engel, and I. Chaubey(2012)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ater, Air, & Soil Pollution 223(7): 4253-4273. 

  2. Andrade, H.(2007) A climatic study of an urban green space: The Gulbenkian Park in Lisbon (Portugal). Finisterra: Revista Portuguesa de Geografia 42(84): 27-46. 

  3. Cho, H. G.(2010)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Highway Resting Place in Green Desig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Korea. 

  4. Han, B. H., J. H. Bae, J. S. Kim and K. J. Lee(2008) Planting characteristics of Pyeonghwa park in World Cup Park,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 42-52. 

  5. Hwang, S. H.(2003) A Study on the Green Arrangement and Planting Method of Neighborhood Parks by the Location and Function in Gangnam-gu.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6. Jang, J. H.(2008) A Study on Planting Structure Improvements Considering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Function in Asia-Park.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7. Kim, D. Y.(1999) Alternative Models of Yangjae Citizen's Park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8. Kim, J. Y.(2007)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for the Urban Green Space in the Metropolitan Aarea, the Middle Temperate Zones. Doctor of Philosophy's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9. Kim, J. H., H. M. Kang and S. O. Ko(2010) Evaluation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highway rest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2(4): 131-137. 

  10.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01) Research on Separation Green Belt Types for Comfortable Rest Space. 

  11.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1a) Highway Construction Standards. 

  12.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1b) Research Report to Inner Resources. 

  13.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2a) Research Report to Behavior Analysis in Highway. 

  14.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2b) Research Report to Highway Public Design Manual - Rest Part. 

  15.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3) Research Report to Inner Resources. 

  16. Kwon, Y. I., C. W. Lee, J. K. Lim and B. D. Jung(2010) A study on user's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factors of the highway service area.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17(4): 75-84. 

  17. Lee, H.(2002) Design of Outdoor (Rest) Space in Rest Areas of Expressways for Promoting Local Identity - A Case Study of 'Kunwi' Rest Area, Joong-Ang Expressway.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18. Lee, Y. N. and S. W. Kim(2011) A study of improving the spatial design components of the green-space in the Yongdong expressway service station. Jour.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1): 466-481. 

  19. Ma, D. U.(2004) Study on the Evaluation on the Remodeling of Outdoor Space of Expressway Service Area - Focused on the Kum-Gang Service Area.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Ministry of Environment(2013) Manual Applic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 Moon, K. S.(2000) A Study on the Plans to Improve the Facilities of Highway Service A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2. Upmanis, H., I. Eliasson and S. Lindqvist(1998) The influence of green areas on nocturnal temperatures in a high latitude city (Goteborg,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8(6): 681-700. 

  23. Suh, J. H. and Lee, I. K.(2013)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5): 68-77. 

  24. Yoo, K. S., S. G. Kim, J. B. Park(1997) Improved design models of the layout of freeway service area. Research Report to Korea Road and Transportation Association. 

  25. Yoon, C. W.(2003)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lanning Criteria for the Outdoor Space in Expressway Service Area - at Chung Cheong area -.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