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n Authoring Tool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using Mobile Device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3 no.3, 2015년, pp.123 - 132  

강영옥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조나혜 (Department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자율과 창의 교육을 중심으로 현장체험학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현장체험학습의 중요도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장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관련 앱의 출시가 증가하고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체험학습의 특징과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바탕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저작도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적 설계를 진행하였다.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는 사전, 현장, 사후단계 활동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위치기반의 체험활동 저작이 가능하고, 역사, 과학, 지리 등 현장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저작기능이 요구된다. 특히 현장체험활동 이후 탐구활동 결과물들이 재활용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both the importance and the interests of field-experience learning have kept increasing since the Education of Ministry encourages students to take a field-experience learning with the self-driven and creative education as the main issue in the 7th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 모바일기반의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쉽게 현장체험학습 활동을 저작하고, 자료를 저장하며, 이를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는 첫째, 사전, 현장, 사후 단계의 활용이라는 현장체험의 전 영역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면서, 둘째, 현장체험활동의 특성이 다른 교과의 탐구활동 저작기능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셋째 이와 함께 다양한 참여자에 의한 탐구활동 목록의 제작 및 공유, 재활용이 가능한 플랫폼 개념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현장체험학습의 특징과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바탕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저작도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적 설계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저작도구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3장에서는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저작도구와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4장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기반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의 개념적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학습단계란 무엇인가? 사전단계에서는 현장과 관련된 학습개념을 살펴보고, 현장과 관련된 탐구주제를 선별하며, 코스설계, 탐구문제 제작 등의 활동이 이뤄진다. 현장학습단계는 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학습개념을 습득하게 되는 단계라 할 수 있는데 교사는 학생 활동 관리 및 통솔, 학생들은 탐구문제를 개인적으로 혹은 팀별 활동을 통해 해결하게 되며, 탐구한 결과물들은 저장이 필요하다. 사후 단계는 교실내에서 이루어지며 현장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피드백이 이뤄진다.
사전 단계는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사전 단계는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며, 현장체험이 이루어질 장소에 대한 사전학습이 이루어진다. 해당 장소에서 탐구할 주제를 정하게 되고, 교사와 학생은 탐구활동 문제나 퀴즈, 관련 정보를 저작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졌는가?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은 2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의 전반적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현장체험학습 경험이 많은 교사 2인과 교과교육분야의 대학원생 13명을 대상으로 현장학습 시 필요한 요소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학습의 질문에 어려워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개발된 앱 가운데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 있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내손안의 경복궁’앱을 사용하도록 하고 집중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전반적인 요구사항 분석은 현장체험학습의 단계별 활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을 도출하기 위함이었다. 둘째는 저작도구의 저작단계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기능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과정이다. 이를 위해 창덕궁을 대상으로 역사, 과학, 지리영역에서 창덕궁의 장소별 현장체험활동을 구상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작도구에 포함될 구체적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OLTER, J. D; BLAIR M. 2007, Is it live or is it AR ?, IEEE Spectrum Magazine, August 1: 30-35. 

  2. Butchart, B; Pope, A; King, M; Hamilton, G; Terzis, P; Koutroumpas, M. 2013, Fieldtrip GB: Creating a customisable mapping and data capture app for the HEFE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GISRUK 2013, Liverpool, United Kingdom. 

  3. Cho, H. J. 2003,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Wire & Wireless Internet, Korea National University. 

  4. Dawson, S; McWilliam, E. 2008, Investigating the application of IT generated data as an indicator of lear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Canberra: Australian Learning and Teaching Council. 

  5. Elias, T. 2011, Learning analytics: Definitions, processes and potential. Creative Commons. 

  6. Giemza, A. 2013, Mobilogue-A Tool for Creating and Conducting Mobile Supported Field Trips, QScience Proceedings, 12th World Conference on Mobile and Contextual Learning. 

  7. Giemza, A; Bollen, L; Seydel, P; Overhagen, A; Hoppe, H. U. 2010, LEMONADE: a flexible authoring tool for integrated mobile learning scenarios. In Wireless, Mobile and Ubiquitous Technologies in Education (WMUTE), 2010 6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73-80. 

  8. Han, S. M; Kang, Y. O. 2013, A Design for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World Heritage Site Changdeokgung from the viewpoint of Geograph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7(3):645-666. 

  9. Hyun, D. L.; Kim, J. H. 2011, Development of a Field-Experience Learning Support Android LB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4):579-587. 

  10. Kang, Y. O; Nam, Y. H; Shin, D. H; Oh, Y. C; Park, S. S. 2013, Discovery of the Value of Interdisplinary Education about the World Heritage in Korea: A Research on Framework of Smart Tour Program on World Heritage. A Report o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1. Lee, S. Y. 2004, M-learning supporting System based on S-XML for Field-oriented Learning, Inha University. 

  12. Lee, S. A. 2010, Develop the field experience support system based on the smart phone, Ewha Womans University. 

  13. Martin, S; Diaz, G; Plaza, I; Ruiz, E; Castro, M; Peire, J. 2011, State of the art of frameworks and middleware for facilitating mobile and ubiquitous learning development.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84:1883-1891. 

  14. Raessens, J. 2007, Playing history. Reflections on mobile and location-based learning. In T. Hug(Ed.), Didactics of Microlearning. Concepts, Discourses, and Examples. Waxmann Verlag, 200-217. 

  15. Shuler, C; Winters, N; West, M. 2013, The Future of Mobile Learning: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Planners, UNESCO Working Paper Series on Mobile Learning. 

  16. Spikol, D; Milrad, M; Maldonado, H; Pea, R. 2009, Integrating Co-design Practices into the Development of Mobile Science Collaboratories, Proceedings of the 9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14-18. 

  17. Wichmann, A; Giemza, A; Hoppe, U. 2009, Effects of awareness support on moderating multiple parallel E-discussions,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Volume1, 646-6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