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room? :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5년, pp.499 - 508  

박준형 (서울대학교)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수업 문화 분석을 위한 분석틀과 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초등학생들의 개방형 서술 응답 분석을 통하여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으로 하여 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소재 6개 학교의 초등학생 4학년과 6학년 총 571명이 작성한 응답을 3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분석틀의 6가지 범주(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 공동체의 권력구조, 과학 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 관심대상, 수업의 분위기, 참여형태)를 도출하였다. 각 범주에 따른 세부 분석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수업에서 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은 실험, 재미, 교사, 그리고 공동체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실 공동체의 권력구조는 학급 친구, 교사, 개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과학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과학교실 공동체에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은 교사의 가르침, 실험, 지식과 의견의 이해, 지식과 의견의 공유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수업 분위기의 형태는 장난치고 시끄러운 분위기와 재미있고 즐거운 분위기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의 참여 형태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 자율적인 참여, 협동적인 참여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모습과 그 특징에 바탕을 두어 과학수업 문화를 분석하는 질적인 분석틀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학수업의 문화적인 측면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classroom through an analysis of students' answer to an open-ended question and to suggest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as the first step to develop an analysis tool for qualita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주요 축은 모두 학생들 응답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과학수업 문화를 바라보는 학생의 관점을 반영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과학수업 문화를 학생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Figure 1)을 고안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 분석틀의 6가지 측면(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 공동체의 권력구조, 과학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 관심대상, 수업의 분위기, 참여형태)을 통해 과학수업 문화를 살펴본다면, 각 공동체별 문화를 분석하고 각각의 공동체별 문화를 비교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둘째, 과학수업에서부터 정의적인 영역에 보다 관심을 쏟을 필요에 대해 시사한다. TIMSS와 같은 국제 수준의 비교 연구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예: Kim, & Cho, 201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과학수업 문화 분석을 위한 분석틀과 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하여 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수업 문화 분석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과학수업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방형 서술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수업의 특징을 바탕으로 과학수업 문화를 분석할 수 있는 질적인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비록 연구대상이 초등학생에 한정되어 있었다는 한계점을 갖지만, 추후 더 심도 있고 구체적인 질문에 의한 질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좀 더 보완될 수 있을 것이고, 정량적 도구와 상호보완적 분석 등 국내 과학수업 문화 관련 연구들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에게 과학수업의 특징에 대한 개방형 서술 문항을 통해서 과학수업 문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에서 응답지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의 빈도수 분석 결과 ‘실험’, ‘재미’, ‘교사’, ‘공동체’ 등이 많이 언급되었고, 이들을 ‘과학수업에서 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으로 해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개방형 서술 응답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이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인식을 조사하고 또 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소재 6개 학교의 초등학생 4학년과 6학년 총 571명이 작성한 응답을 3가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과학수업 문화 분석을 위한 분석틀과 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하여 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수업 문화 분석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과학수업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실 문화를 분석하는 정량적인 도구의 장점은 무엇인가? 다만, 이들 도구들은 대부분 정량적인 도구로 과학수업을 문화적으로 세부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질적인 분석 도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정량적인 도구는 대규모 표집을 통해 과학수업 문화의 경향성을 찾아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복잡하고 다층면적으로 작동하는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심층적 해석의 기준이 되는 질적인 분석의 도구가 추가로 필요한 것이다.
분석틀의 6가지 범주의 세부 내용은 무엇인가? 각 범주에 따른 세부 분석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수업에서 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은 실험, 재미, 교사, 그리고 공동체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실 공동체의 권력구조는 학급 친구, 교사, 개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과학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과학교실 공동체에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은 교사의 가르침, 실험, 지식과 의견의 이해, 지식과 의견의 공유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수업 분위기의 형태는 장난치고 시끄러운 분위기와 재미있고 즐거운 분위기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의 참여 형태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 자율적인 참여, 협동적인 참여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모습과 그 특징에 바탕을 두어 과학수업 문화를 분석하는 질적인 분석틀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겠다.
문화는 무엇인가? 즉, 교실에서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교사와 학생은 역동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Song, & Na, 2014), 그 관계 속에서 공동체의 규범과 문화를 형성한다. 문화는 한 집단의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정신적 프로그래밍이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그 공동체의 고유한 것으로서(Hofstede, 1980), 과학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에서는 그 자체의 과학수업의 문화를 형성한다고 볼 수가 있다. 학습자의 학습은 교실 수업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학생의 학습은 과학 교실 공동체가 어떤 문화를 갖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Joung, & Chu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brahams, I., & Millar, R. (2008). Does practical work really work?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work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4), 1945-1969. 

  2. Chang, J., Park, J., & Song, J. (2014). Featur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cience Subject Teacher's Experimen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217-230. 

  3. Chen, Y., & Hoshower, L. B. (2003).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effectiveness: An assessment of student perception and motivation.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8(1), 71-88. 

  4. Cho, H., & Choi, K.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5. Cho, H., Yang, I., Jeong, J. -H., Shin, A. -K. (2008).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ab-base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117-133. 

  6. Cho, J. Y., & Lee, E. H. (2014). Reducing confusion about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Qualitative Report, 19(32), 1-20. 

  7. Chun, E., Na, J., Joung, Y. J., & Song,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31-142. 

  8. Deal, T. E., & Peterson, K. D. (1990). The Principal's Role in Shaping School Culture. Washington, Superintendent of Document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Retrieved from http://files.eric.ed.gov/fulltext/ED325914.pdf. 

  9. Elo, S., &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10. Fisher, D. L., & Waldrip, B. G. (1999). Cultural factors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nd student outcome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7(1), 83-96. 

  11. Fraser, B. J. (1998). 5.1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Assessment, Effects and Determinants. In Fraser, B., Tobin, Kenneth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Volume 1), (pp. 527-564). Boston: Kluwer Academic. Retrieved from http://surveylearning.moodle.com/cles/papers/Handbook98.htm. 

  12. Fraser, B. J. (2012).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Retrospect, context and prospect. In Fraser, Barry J., Tobin, Kenneth, McRobbie, & Campbell J. (Eds.),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1191-1239). Dordrecht: Springer. 

  13.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 (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14.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Vol. 5). London: Sage. 

  15. Hofstede, G., Hofstede, G. J., & Minkov, M. (1991). Cultures and organisations-software of the mind: intercultural cooperation and its importance for survival. New York, NY: McGraw-Hill. 

  16. Jeong, K. -S. & Jeong, S. -H. (2010). A description on the formation of an elementary classroom culture. Korean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13(2), 1-27. 

  17. Joung, Y. J., & Chun, E. (2014).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 Focused on Implications for Stud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464-478. 

  18. Ju, E. Y., Lee, S. -Y., Kim, J. G., & Lee, J. J. (2009). Analysis of Images of Scientists and Science Learning Drawn by Third Grade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1), 35-45. 

  19. Kang, H., & Lee, J. (20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es of Science Clas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9-531. 

  20. Kim, H. B., Fisher, D. L., & Fraser, B. J. (1999). Assessment and investigation of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7(2), 239-249. 

  21. Kim, M., & Cho, J. (2013).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IMS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33(1), 46-62. 

  22. Kim, Y., & Yang, I. -H. (2005). The Factor Analysis of Affecting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ttitude Chang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3), 292-900. 

  23. Krippendorff, K. (1989). Content analysis. In E. Barnouw, G. Gerbner, W. Schramm, T. L. Worth, & L. Gross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Vol. 1, pp. 403-407).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from http://repository.upenn.edu/asc_papers/226/. 

  24. Kwak, Y. (2005). Research on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ystem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eaching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25(4), 313-325. 

  25. Kwak, Y., Kim, C. -J., Lee, Y. -R., & Jeong, D. -S.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26. Kwak, Y., & Kim, J.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23(2), 313-325. 

  27. Kwon, N. -J. (20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1), 59-67. 

  28.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94-130). New York, NY: MacMillan. 

  30. Lee, J, C., & Kim, B. K. (1998).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 Generated by Science Teachers in the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Science Education, 18(3), 313-325. 

  31. Mayring, P. (200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28 paragraphs]. 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 /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On-line Journal], 1(2). Retrieved from http://www.qualitative-research.net/index.php/fqs/article/view/1089/2386. 

  32. McComas, W. F., Clough, M. P., & Almazroa, H. (2002).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McComas, W. F.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3-39). Springer Netherlands. 

  33. Ministry of Education.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34. Schank, R, C. (1982). Dynamic memory: A theory of reminding in people and computer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Schweingruber, H. A., Duschl, R. A., & Shouse, A. W.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National Academies Press. 

  36. Seo, H. -J., Park, J. -W., Won, J. -A., & Paik, S. -H. (2007).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valuation Regarding Science Classes o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12-23. 

  37. So, K. -C., & Kim, J. -G. (2001). the Development of Synthesized Korean Data Processor(SynKDP).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2, 257-384. 

  38. Song, J., & Na, J. (2014). Meanings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Comments on Science Classroom Cultur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827-845. 

  39. Squire, K. D., MaKinster, J. G., Barnett, M., Luehmann, A. L., & Barab, S. L. (2003). Designed curriculum and local culture: Acknowledging the primacy of classroom culture. Science education, 87(4), 468-489. 

  40. Thorndyke, P. W. (1977). Cognitive structures in comprehension and memory of narrative discourse. Cognitive psychology, 9(1), 77-110. 

  41. Tobin, K. (2012).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science education. In Fraser, Barry J., Tobin, Kenneth, McRobbie, & Campbell J. (Eds.),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3-17). Dordrecht: Springer. 

  42. Van Dijk, T. A., Kintsch, W., & Van Dijk, T. A. (1983).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New York: Academic Press. 

  43.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4.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