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동해 남부해역에서 양식된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 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reared in the Southern East Sea원문보기
해만가리비는 남해 해역에서 양식이 되고 있는 품종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남부 해역에서 해만가리비 양식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란 유도를 위해 간출자극과 $23^{\circ}C$로 조정된 수온자극을 실시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산란량은 총 105,58 만 개 이였다. 수정률은 91.3%로 9,394 만 개가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으로 $54.1{\pm}0.04-67.4{\pm}0.12{\mu}m$로 평균 직경이 $61.7{\pm}0.05{\mu}m$이였다. 약 5일 후에는 초기원각 (prodissoconch shell) 을 형성하여 각정기 유생기 (umbo stage larva) 가 시작되며 각정 (umbones) 이 형성되었다. 약 8일후에는 $150.4-204.8{\mu}m$ (평균 $179.7{\pm}8.4{\mu}m$) 크기의 부유유생이 되어 섬모가 있고 발 (foot) 과 안점 (eye spot) 이 생성되었다. 수정 후 10일 후에는 평균 각장 $235.4{\pm}9.7{\mu}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 패가 되었다. 치패 각장 성장은 22.71 mm 이였으며, 8월에 47.19 mm, 10월에 60.43 mm, 12월 72.40 mm 로 성장하였다. 전중량은 6월 이식 당시에는 2.0 g 이였으나 10월에 32.7 g으로 증가하였으며 12월에는 46.6 g 으로 증가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일간 성장률은 각장의 경우, 4-6월이 0.35 mm/day, 6-8월 0.41 mm/day로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해만가리비는 남해 해역에서 양식이 되고 있는 품종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남부 해역에서 해만가리비 양식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란 유도를 위해 간출자극과 $23^{\circ}C$로 조정된 수온자극을 실시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산란량은 총 105,58 만 개 이였다. 수정률은 91.3%로 9,394 만 개가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으로 $54.1{\pm}0.04-67.4{\pm}0.12{\mu}m$로 평균 직경이 $61.7{\pm}0.05{\mu}m$이였다. 약 5일 후에는 초기원각 (prodissoconch shell) 을 형성하여 각정기 유생기 (umbo stage larva) 가 시작되며 각정 (umbones) 이 형성되었다. 약 8일후에는 $150.4-204.8{\mu}m$ (평균 $179.7{\pm}8.4{\mu}m$) 크기의 부유유생이 되어 섬모가 있고 발 (foot) 과 안점 (eye spot) 이 생성되었다. 수정 후 10일 후에는 평균 각장 $235.4{\pm}9.7{\mu}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 패가 되었다. 치패 각장 성장은 22.71 mm 이였으며, 8월에 47.19 mm, 10월에 60.43 mm, 12월 72.40 mm 로 성장하였다. 전중량은 6월 이식 당시에는 2.0 g 이였으나 10월에 32.7 g으로 증가하였으며 12월에는 46.6 g 으로 증가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일간 성장률은 각장의 경우, 4-6월이 0.35 mm/day, 6-8월 0.41 mm/day로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has been farmed only in the South Sea of Korea.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ESFRI) has developed bay scallop aquaculture technologies to extend its aquaculture area to the Southeast Sea of Korea. For the artificial spawning,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has been farmed only in the South Sea of Korea.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ESFRI) has developed bay scallop aquaculture technologies to extend its aquaculture area to the Southeast Sea of Korea. For the artificial spawning,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3^{\circ}C$. Over 100,000,000 eggs were spawned through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s, such as air exposure and thermal shock by rising the water temperature. The fertilization rate was over 91% with nearly 94,000,000 fertilized eggs. The shape of fertilized eggs was spherical with an average diameter of $61.7{\pm}0.05{\mu}m(54.1-67.4{\mu}m)$. Five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eggs developed into prodissoconch shell, and continuously grew into umbo stage and then umbones stage. After 8 days of fertilization, the size of larva became $179.7{\pm}8.4{\mu}m$ on average ($150.4-204.8{\mu}m$), and the larva formed a foot and an eye spot. The larvae grew to $235.4{\pm}9.7{\mu}m$ in 10 days and attached to adherence material, becoming juvenile bay scallop. The shells grew from 22.71 mm to 72.40 mm in 6 month (June-December). The total weight increased from 2.0 g to 32.7 g at the same period. The daily growth rates of young scallop were $0.35mm\;d^{-1}$ (Apr. to Jun.) and $0.41mm\;d^{-1}$ (Jun. to Aug.),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found in the South S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y scallop aquaculture may be suitable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and may provide an additional crop to aquaculturists.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has been farmed only in the South Sea of Korea.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ESFRI) has developed bay scallop aquaculture technologies to extend its aquaculture area to the Southeast Sea of Korea. For the artificial spawning,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3^{\circ}C$. Over 100,000,000 eggs were spawned through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s, such as air exposure and thermal shock by rising the water temperature. The fertilization rate was over 91% with nearly 94,000,000 fertilized eggs. The shape of fertilized eggs was spherical with an average diameter of $61.7{\pm}0.05{\mu}m(54.1-67.4{\mu}m)$. Five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eggs developed into prodissoconch shell, and continuously grew into umbo stage and then umbones stage. After 8 days of fertilization, the size of larva became $179.7{\pm}8.4{\mu}m$ on average ($150.4-204.8{\mu}m$), and the larva formed a foot and an eye spot. The larvae grew to $235.4{\pm}9.7{\mu}m$ in 10 days and attached to adherence material, becoming juvenile bay scallop. The shells grew from 22.71 mm to 72.40 mm in 6 month (June-December). The total weight increased from 2.0 g to 32.7 g at the same period. The daily growth rates of young scallop were $0.35mm\;d^{-1}$ (Apr. to Jun.) and $0.41mm\;d^{-1}$ (Jun. to Aug.),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found in the South S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y scallop aquaculture may be suitable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and may provide an additional crop to aquaculturis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동해안은 가리비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사질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어 자연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양호한 조건이 된다. 이에 동해수산연구소는 종묘생산기술 개발과 더불어 동해남부에서 해만가리비 양식 시험을 통하여 산업화 가능성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해만가리비는 남해 해역에서 양식이 되고 있는 품종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남부 해역에서 해만가리비 양식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어미 200마리를 2톤 수조에 수용하여 방정을 유도한 후 약 1시간 후 산란행위가 줄어들면 어미를 제거하고 수정 후 30 μm Muller gauze를 사용하여 수정란을 약 3차례 정도 세척 후 사육 수조에 수용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산란 자극 방법으로는 햇빛에 1시간 동안 노출시키는 간출자극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육수는 1 μm필터로 여과한 후 자외선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클로로필-a 농도 분석은 해수 2 리터를 0.45 μm pore membrane filter (Whattman 47 mm) 로 여과 후 여과지를 5 ml 의 90% 아세톤 용액에 넣어 4℃의 암실에서 24시간 색소를 추출한 후 형광분광광도계 (Turner Designs 10-Au Fluorometer) 로 분석하였다 (MLTM, 2010).
가리비 어장의 환경조사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동해 연안어업 및 환경생태 조사” 사업의 어장환경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고, 해만가리비 성장 조사 대상 해역인 포항시 장기면 해역의 내측 연안 정점에서 2014년 2월부터 2014월 12월까지 격월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정점의 수온, 염도, 용존산소량 등은 국립수산과학원 시험 조사선 탐구 12호에 장착된 CTD (SBE 9 plus)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클로로필-a 시료 채취는 채수기 (Niskin sampler) 를 이용하여 표층과 저층에서 이루어졌다. 클로로필-a 농도 분석은 해수 2 리터를 0.
먹이생물은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calcitrans, Pavlova lutherii, Phaeodactylum tricornutum을 1일 2회 ml당 100,000 cells 기준으로 2:1:1로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사육 수조는 매주 1회 바닥의 저질을 사이폰으로 완전 제거하였고, 환수는 1일 50%를 실시하고 에어를 공급하였다. 광도는 형광등을 이용하여 약 1000 lux, 광주기는 14L:10D를 유지하였다.
각 시험 대상의 가리비 치패는 10단 채롱 (185 × 50 cm) 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수심 5-10 m에 양성하였다.
채묘이후 1개월간 실내에서 양성 관리하였다. 양성관리기간 중에는 먹이생물 5종을 약 50,000-100,000 mL/Day 밀도로 일일 3회로 나누어 공급 했다. 먹이공급 시에는 약 2시간 정도 정치하였으며 수온은 23℃를 유지했다.
각 시험 대상의 가리비 치패는 10단 채롱 (185 × 50 cm) 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수심 5-10 m에 양성하였다. 30일 경과 후 팜사에서 치패를 분리, 10단 채롱에 각 칸당 평균 1000마리씩 수용하였으며 20-30일 경과 후 치패를 칸당 100-200마리 밀도로 중간망에 수용하였다. 각장 3 cm이상 될 때에 본양성기에 칸당 20-30개체 밀도로 양성하였다.
일간 성장률 (daily growth rate, DGR) 은 다음의 계산식으로 측정하였다.
패각이 열리지 않을 때는 끝이 가는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패각 부근을 건드려주면 패각이 열리므로 상태 확인이 가능하였다. 해만 가리비의 산란 유도를 위해 직접 햇빛과 통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1시간 동안 간출 자극을 실시하였으며, 이 이후 수온을 3℃ 상승하여 수온 자극을 실시하였다. 간출자극 이후 23℃ 로 조정된 2톤 수조에 수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리비의 산란 유도를 위해 직접 햇빛과 통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1시간 동안 간출 자극을 실시하였으며, 이 이후 수온을 3℃ 상승하여 수온 자극을 실시하였다. 간출자극 이후 23℃ 로 조정된 2톤 수조에 수용하였다.
산란 유도를 위해 간출자극과 23℃로 조정된 수온자극을 실시하였다. 해만가리비의 산란량은 총 105,58 만 개 이였다.
대상 데이터
가리비 어장의 환경조사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동해 연안어업 및 환경생태 조사” 사업의 어장환경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고, 해만가리비 성장 조사 대상 해역인 포항시 장기면 해역의 내측 연안 정점에서 2014년 2월부터 2014월 12월까지 격월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4년 2월의 사육수의 자연수온은 5℃ 이었으며, 성성숙 유도를 위하여 23℃로 상승하여 유지하였다. 먹이생물은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calcitrans, Pavlova lutherii, Phaeodactylum tricornutum을 1일 2회 ml당 100,000 cells 기준으로 2:1:1로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사육 수조는 매주 1회 바닥의 저질을 사이폰으로 완전 제거하였고, 환수는 1일 50%를 실시하고 에어를 공급하였다.
1. Location of the experiment sites on the East Sea coast.
통영산 해만가리비의 실내수용은 1월에 실시하였으며 수용 당시 각장 7.1 ± 2.7 cm 내외였다.
팜사에 부착된 각장 2 mm의 해만가리비 치패는 양파망에 넣어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시험어장 (Fig. 1) 으로 이송하였다. 이송 시에는 냉장차를 이용하였다.
시험 샘플은 각각 30마리를 버니어 갤리퍼스를 이용하여 각장, 각고를 mm 단위로 측정하였고, 전 중량은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g 단위로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간출자극 이후 23℃ 로 조정된 2톤 수조에 수용하였다. 약 1시간 뒤부터 산란이 시작되어, 해만가리비의 산란 유도에 간출자극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2)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표층 시험구 (수심 2 m) 에서 각고의 경우, 7월에 일간 성장률이 가장 양호 하였으나 8월부터 성장 감소하여 9월부터는 거의 정체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8월 이전까지는 급속한 성장을 보였으며 시험 종료 시점인 12월까지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Oh et al.
49 mm까지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각장의 성장증가는 49.69 mm 이었고, 12월에는 각장의 성장이 72.40 mm까지 증가되었다. 평균 각고 성장증가는 47.
수정 후 10일 후에는 평균 각장 235.4 ± 9.7 μ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패가 되었다.
동해 남부 해역의 수온은 남해안에 비하여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먹이생물의 척도인 Chlorophyll-a 값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해남부에 양식 시험결과, 성장 및 생존율에서 남해안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보여 양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동해산 해만가리비는 수확까지 패각 외형에 이물질과 부착동물이 거의 없어 상품성이 뛰어나고 이식 이후 10월에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해 양식품종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해남부에 양식 시험결과, 성장 및 생존율에서 남해안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보여 양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동해산 해만가리비는 수확까지 패각 외형에 이물질과 부착동물이 거의 없어 상품성이 뛰어나고 이식 이후 10월에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해 양식품종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해만가리비 양식 기술이 보급된다면,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 각정기 유생은 성숙하여 약 8일 후에는 150.4 ± 5.4-204.8 ± 11.5 μm (평균 179.7 ± 8.4 μm) 크기의 부유유생이 되어 섬모가 있고 발 (foot) 과 안점 (eye spot) 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pediveliger 시기를 2-3일 동안 거쳤으며, 수정 후 10일 후에는 평균 각장 235.4 ± 9.7 μ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패가 되었다 (Table 3).
따라서 해만가리비 유생은 수온 23 ±1.2℃에서 10 ± 2일간의 부유유생 시기를 거치므로 채묘 시기는 안점이 나타나고 발이 출현하는 유생이 50% 정도 출현하는 시기인 15일경에 채묘기를 투입하는 것이 적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7 μm 로 성장 하였으며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패가 되었다 (Table 3). 해만 가리비 유생의 성장과정 동안 각장 (SL) 에 대한 각고 (SH) 의 성장은 직선적이었으며, 상대 성장식은 SH= 0.9789SL (r2= 9949) 였다 (Fig. 9). 따라서 해만가리비 유생은 수온 23 ±1.
7). 생존율은 이식 시험 후 2개월인 8월에 94.5%, 10월 91.7%, 12월에 90.3%를 유지하였다 (Fig. 8).
47였다. 저층 염분의 평균은 34.06이었고, 최소 염분은 8월 33.73이었고, 최대 염분은 2월 34.23로 해만 가리비 성장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후속연구
또한, 동해산 해만가리비는 수확까지 패각 외형에 이물질과 부착동물이 거의 없어 상품성이 뛰어나고 이식 이후 10월에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해 양식품종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해만가리비 양식 기술이 보급된다면,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해만가리비 양식의 중심이 되는 지역은?
우리나라의 해만가리비 양식은 주로 남해안 통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남해해역의 해만가리비 생산량은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고 고밀도 양식으로 폐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동해수산연구소에서 동해남부에서 해만가리비 양식 시험을 진행하는 배경은?
우리나라의 해만가리비 양식은 주로 남해안 통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남해해역의 해만가리비 생산량은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고 고밀도 양식으로 폐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동안 동해안은 수온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해만가리비의 양식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양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동해안은 광범위한 양식면적을 가지고 있어 해만가리비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하게 되어,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는 해만가리비의 종묘생산기술 개발과 아울러 동해 남부에서의 양식시험을 포항에서 추진하였다. 동해안은 가리비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사질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어 자연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양호한 조건이 된다. 이에 동해수산연구소는 종묘생산기술 개발과 더불어 동해남부에서 해만가리비 양식 시험을 통하여 산업화 가능성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국내 가리비과 중 산업적으로 주요 종은?
국내 가리비과 (Pectinidae) 에는 24종이 서식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Lee and Min, 2002), 산업적으로 주요 종은 큰가리비, 비단가리비, 해만가리비가 있다 (Oh et al., 2003).
참고문헌 (32)
Andi, A. (1993) Differential growth characteristics of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1791) in suspended culture. pp. 95. Degree of master of science (Biology). Acadia University.
Barber, B.J. and Blake, N.J. (1985) Substrate catabolism related to re-production in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concentricus, as determined by O/N and RQ Physiological indexes. Mar. Biol., 87: 13-18.
Belding, D.L. (1931) The scallop fishery of Mass-achusetts common wealth. Mar. Fish. Ser., 3: 51.
Castagna, M. and Chanley, P. (1973) Salinity tolerance of some marine bivalves from in shore and estuarine environments in Virginia waters on the western mid-Atlantic coast. Malacologian, 12: 47-96.
Chang, Y.J. (1991) Seasonal varitiations of digestive diverticula i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Korean Journal of Aqualture, 4: 19-30.
Chang, Y.J., Mori, K. and Nomura, T. (1985) Studies o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sowing cultures in Abashiri waters- Reproductive periodcity. Tohoku J. Agr. Res., 35: 91-105.
Gibbons, M.C. and Castagna, M. (1984) Serotonin as an inducer of spawning in six bivalve species. Aquaculture, 40: 189-191.
Hur, Y.B. (1994) Comparative Studies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Larvae of Eight Bivalve Species. pp. 56. Master of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in Korean]
Iwata, K.S. (1971) Spawning of Mytilus eudlis, acid-inhibition of spawning by KCI. Bulletin of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17: 91-93.
Kanno, H. (1962) Artificial dis charge of reproductive substance of Mollusca caused by repeated stimulation of temperature. Bulletin of Tohoku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20: 114-120.
Kirby-Smith, W.W. (1972) Growth of the bay scallop: the influence of experimental water current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8: 7-18.
Kirby-Smith, W.W. and Barber, R.T. (1974) Suspension feeding aquaculture system: effects of phytoplankto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of the bay scallop. Aquaculture, 3: 135-145.
Lee, J.S. and Min, D.J.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 93-217. [in Korean]
Loosanoff, V.L. and Davis, H.C. (1950) Conditioning V. Mercenaria for spawning in winter and breeding its larvae in the laboratory. Biological Bulletin, 98: 60-65.
Mercaldo, R.S. and Rhodes, E.W. (1982) Influence of reduced salinity on the Atlantic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Lamarck) at various temperatures. J. Shellfish. Res., 2: 177-181.
MLTM. (20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arine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pp. 495.
Oh, B.S. and Jung, C.G. (1999) Studies on the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winter season in south s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5 (2): 71-79. [in Korean]
Oh, B.S., Jung, C.G., Kim, S.Y. and Chung, E.Y. (2002) Reproductive cycle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ransplanted from Chin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5 (3): 201-206. [in Korean]
Oh, B.S., Jung, C.G., Yang, M.H. and Kim, S.Y. (2000) Effect of rearing density in culture cage on the growth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58: 88-95. [in Korean]
Oh, B.S., Yang, M.H., Jung, C.G., Kim, J.I., Kim, Y.S. and Kim, S.Y. (2002) Effect of selected spat on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during aquaculture. Journal of Aquaculture, 15(3): 123-129. [in Korean]
Oh, B.S., Jung, C.G. and Kim, S.Y. (2003) Aritificial spawning, larval and spat development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9 (1): 19-24. [in Korean]
Rhodes, E. W. and J. C. Widman. (1980) Some aspects of the controlled production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Proc. World Maricult. Soc., 11: 235-246.
Sastry, A.N. (1966) Temperature effects in reproduction of the bay scallop, Aquipecten irraadians Lamarck. Biol. Bull., 130: 118-134.
Sastry, A.N. (1968) Relationships among food, temperature and gonad development of the bay scallop, Aquipecten irraadians Lamarck. Physiol. Zool., 41: 44-53.
Segara, J. (1958) Artificial discharge of reproductive elements of certain bivalves caused by treatment of seawater and in jection with $NH_4OH$ . Bulletin of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23: 505-510.
Simpson, R.D. (1982) Reproduction and lipids in the sub-Antartic limpet, Nacella (Patinigera) mac-quariensis Finlay, 1927. J. Exp. Mar. Biol. Ecol., 56: 33-48.
Son, P.W. (1997)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of the sun and moon scallop, Amusium japonicum japonicum. pp. 128. Ph.D. thesis. University of Jeju. [in Korean]
Tettelbach, S.T. (1991) Seasonal changes in a population of northern bay scallop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Lamarck, 1819). p. 164-175 (in) An Inter-national Compendium of Scallop Biology and Cul-ture, (eds.) Shumway, S. E. and P. A. Sandifer. World Aquaculture Society, Baton Rouge, LA.
Turner, H. and Hanks, J.H. (1960) Experimental stimulotion of gemetogenesis in Hydroides dianthus and Pecten irradians during the winter. Biol. Bull., 119: 145-152.
Urban, E.R. and Langdon, C.J. (1984) Reduction in cost of diets for the American oyster, Crassostrea (Gmelin), by the use of non-algae supplements. Aquaculture, 38: 277-291.
YSFRI (Yellow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1991) Training manual on breeding and culture of scallop and sea cucumber in China. Regional sea farming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project (RAS/90/002) pp. 84.
Zhang, F., Jianghu, M., Yichao, H., Xiangsheng, L., Shuying, L. and Lingxin, Q. (1991) A study on the meat condition of the bay scallop in Jiaozhou bay.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22 (2): 97-10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