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정보역량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on Job-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1, 2015년, pp.109 - 122  

이전마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  강인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유수정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arries out a declarative survey research designed to ascertai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보다 실무능력을 통합한 간호정보역량을 이끌어내고 나아가서는 간호사의 직무생활에 긍정적인 감정을 고취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보다 실무능력을 통합한 간호정보역량을 이끌어내고 나아가서는 간호사의 직무생활에 긍정적인 감정을 고취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현장에서 간호정보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좀 더 실무능력을 통합한 간호정보역량을 이끌어내고, 나아가서는 간호사의 직무생활에 긍정적인 감정을 고취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가 가속됨에 따라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역량은 무엇인가?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선도하는 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가 가속화되면서 간호사들이 전문가로서 보다 나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간호 실무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지식, 기술, 판단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며[1], 다양한 정보화 활용을 통한 정보역량을 갖추어야만 한다[2][3]. 병원간호사들이 현장에서 직면하게 되는 수많은 상황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먼저,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활용기술이 필요하고, 정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적절히 검색 및 활용할 수 있어야하며, 간호 실무를 위해 만들어진 임상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전반적인 정보처리 역량이 필요하다[4].
간호정보역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정보역량은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근거기반 실무를 가능하게 하여 간호의 질을 높이고 환자의 생명과 관련된 정보를 다루는 간호사로서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 준다[12][13][14]. 또한 간호사가 수행하는 직무의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이끌어내어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간호업무성과를 증대시켜 환자만족도 향상과 함께 병원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간호정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간호정보역량이란 무엇인가? 간호정보역량이란 간호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컴퓨터와 네트워크, 병원 전산시스템 등의 정보 활용 기술과 다양한 간호정보를 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반적인 실무능력을 말하며[2][3], 간호 전문직 단체는 간호정보역량을 간호사들이 갖춰야 할 역량이라고 손꼽고 있다[5][6]. 간호정보역량은 정보화 수준에 따라 초보자, 유경험자, 전문가, 혁신가의 4가지 단계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으며[2][3], 대부분의 연구에서 간호정보역량의 하위영역인 컴퓨터기술역량, 정보학지식역량, 정보학 기술 역량 집합체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역량수준을 나타내었다[7][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 Campbell, G. Mackay(2001), Continuing competence: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Nursing Administration Quaterly, Vol.25(2);22-30. 

  2. N. Staggers, C.A. Gassert, C. Curran(2001), Informatics competencies for nurses at four levels of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0;303-315. 

  3. N. Staggers, C.A. Gassert, C. Curran(2002), A delphi study to determine informatics competencies for nurses at four levels of practice, Nursing Research, Vol.51(6);383-390. 

  4. http://www.nursingworld.org 

  5. J. Foster, J. Bryce(2009), Connecting health and humans, Australia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project, proceedings of NI 2009: 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ursing informatics,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 Informatics, Vol.146;556-560. 

  6. S.E. Smith, L.E. Drake, J-G.B. Harris, K. Watson, P.G. Pohlner(2011), Clinical informatics: A workforce priority for 21st century healthcare. australian Health Review, Vol.35(2); 130-135. 

  7. M.S. Kim(2010),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16(2);172-179. 

  8. S.Y. Chung(2012),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1-68. 

  9. H. Kim, M.Y. Kim(2013),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of Public Health Nurses in Chungcheongnam-do, Journal Korea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es, Vol.24(1);20-28. 

  10. S.H. Jeong(2004),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o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10(1);141-159. 

  11. N.M. Solomons, J.A. Sprose(2011), Evidence-based practice barriers and facilitators from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erspective: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9(1);109-120. 

  12. J.I. Hwang, H.A. Park(2011),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formatics competency. CI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29(4);256-262. 

  13. M. Bloomresen, D.E. Detmer(2010), Informatics, evidence-based care,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national policy: A report of an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health policy con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Vol.17(2);115-123. 

  14. J. Chang, M.R. Poynton, C.A. Gassert, N. Staggers(2011),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required of nurses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Vol.80(5);332-340. 

  15. M.H. Kim, M.S. KIM, S.W. Chae, Y.S. Kim(2007),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13(2);176-183. 

  16. M.S. Kim(2009),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9(5);731-740. 

  17. C.J. Bickford, K. Smith, M.J. Ball, G. Frantz, T.L. Panniers, S.K. Newbold et al.(2005), Evaluation of a nursing informatics training program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nurses' perception of their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Health Informatics Journal, Vol.11(3);225-235. 

  18. S.K. Lee, J.H, Park(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Group Cohesiveness Perceived by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tivation and Intend to stay on job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2(1);1-15. 

  19. S.A. Park(199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in Korean Nursing Uni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Vol4.(1);45-61. 

  20. S.A. Park(199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in Korea nursing uni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Vol.4(1);45-61. 

  21. J.E. Lee, M.H. Park(2011), Nurses' Access &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Korean Journal Adult Nurses, Vol.23(3);255-266. 

  22. J.Y. Choi, E.K. Kim, S.Y. Kim(2014), Effect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20(4);426-436. 

  23. K.H. Cho(2003),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pp.1-45. 

  24. N.S. Ha, J. Choi(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16(3);286-294. 

  25. D.Y. Cho(2014),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Training Reaction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Staff,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4);57-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