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 유산균 발효물의 항균 활성과 ACE 저해능
Antimicrobial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Citrus unshiu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7, 2015년, pp.1084 - 1089  

최소연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시경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윤은영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강대욱 (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  최낙식 (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  문미선 (제주담아)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품질 감귤 가공품 개발을 위하여 감귤에 7종의 유산균을 각각 접종하여 10일간 배양하면서 0, 3, 5, 7, 10일째의 발효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감귤 발효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CL-1과 CL-2의 발효물이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강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각 감귤 발효물의 항고혈압 활성을 AC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을 때 CL-1과 CL-2의 발효물이 발효기간이 길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L-1과 CL-2 균주를 16S rRNA gene의 구조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한 결과 각각 Pediococcus acidilacticiLactobacillus sakei와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감귤을 P. acidilactici와 Lac. sakei로 발효하여 항균력과 항고혈압능이 증진된 가공품의 제조에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high quality citrus products, seven lactic acid bacteria were innoculated onto ground citrus (Citrus unshiu) and cultured for 10 days. On culture days 0, 3, 5, 7, and 10, citrus ferments were withdrawn, and their antimicrobial and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품질 감귤 가공 제품 개발에 활용한 목적으로 감귤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리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KCTC), Daejeon, Korea)로부터 분양한 유산균 5종과 김치에서 분리한 2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감귤을 발효시켰고, 발효 과정 중의 항균 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은 어떤 작용을 해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가? 또한 발효식품을 통하여 인체 내로 섭취한 유산균은 장내로 유입되어 유익 균주의 생육을 부양하고 유해 세균을 억제하여 장내 유용 미생물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면역 활성화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작용이 있어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10). 유산균의 이러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근래 오미자 유산균 발효물(11),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12), 유산균 발효 밤송이 추출물(13) 등이 연구되었다.
온주밀감은 무엇인가? 감귤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과실을 총칭한 명칭이며, 식용으로 이용되는 종류는 감귤속(Citrus)에 많고 오렌지류, 레몬류, 유자류 등의 많은 종류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온주밀감(Citrus unshiu)에 주로 한정하여 부르고 있다. 온주밀감은 주요 감귤 중 가장 낮은 온도에 견디는 품종으로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1). 감귤에는 carotenoid, flavonoid, cellulose, pectin, limonoid, 비타민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항암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2).
감귤에는 어떤 생리활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온주밀감은 주요 감귤 중 가장 낮은 온도에 견디는 품종으로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1). 감귤에는 carotenoid, flavonoid, cellulose, pectin, limonoid, 비타민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항암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2). 감귤은 생과 형태로 주로 소비가 되고 일부는 착즙하여 주스 가공으로 이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1998. Food nutrition dictionary.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Seoul, Korea. p 39. 

  2. Silalahi J. 2002. Anticancer and health protective properties of citrus fruit components. Asia Pac J Clin Nutr 11: 79-84.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stat 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292&vw_cdMT_ZTITLE&list_idF1H&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accessed Feb 2015). 

  4. Jejuilbo.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68308 (accessed Feb 2015). 

  5. Oh SW, Chung KH. 2014.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uffins with added powdered tangerine peel. Food Eng Prog 18: 177-185. 

  6. Yi MR, Hwang JH, Oh YS, Oh HJ, Lim SB.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mmature Citrus unshiu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50-257. 

  7. Cha MA, Chung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freeze-dried Citrus mandar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8: 488-494. 

  8. Lee EJ, Ju HW, Lee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itrus mandarin pee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8: 27-39. 

  9. Kanmani P, Satish Kumar R, Yuvaraj N, Paari KA, Pattukumar V, Arul V. 2013. Probiotics and its functionally valuable products -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53: 641-658. 

  10. Masood MI, Qadir MI, Shirazi JH, Khan IU. 2011. Benefici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human beings. Crit Rev Microbiol 37: 91-98. 

  11. Lee JH, Kim JI, Choi HJ, Lee JH. 2014. Anti-wrinkle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J Soc Cosmet Sci Korea 40: 365-371. 

  12. Lee HS, Lim WC, Choi JH, Yu HJ, Kim KH, Lee SH, Cho HY. 2014.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762-768. 

  13. Jun DH, Cho WA, Lee JB, Jang MJ, You MS, Park JY, Kim SH, Lee JT. 2014.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et Z.) bur fermented by Lactobacillus casei. J Life Sci 24: 1193-1199. 

  14.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5. Cho EK, Cho HE, Choi YJ. 2010.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J Appl Biol Chem 53: 212-218. 

  16. Sun TS, Zhao SP, Wang HK, Cai CK, Chen YF, Zhang HP. 2009. ACE-inhibitory activity and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of fermented skim milk by Lactobacillus helveticus isolated from Xinjiand koumiss in China. Eur Food Res Technol 228: 607-612. 

  17. Lee JB, Bae JS, Son IK, Jeon CP, Lee EH, Joo WH, Kwon GS. 2014.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 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4: 671-676. 

  18. Fujita H, Yokoyama K, Yoshikawa M. 2000. Classification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food proteins. J Food Sci 65: 564-569. 

  19. Choi SY, Jung BM, Kim HJ, Seong SH, Kim WJ, Park WS. 2000.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59-61. 

  20. Kwon SJ, Ahn TY, Shon JH. 2012.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J Life Sci 22: 232-238. 

  21. Kwon DY, Koo MS, Ryoo CR, Kang CH, Min KH, Kim WJ. 2002.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sp. in kimchi and its characteristics. J Microbiol Biotechnol 12: 96-105. 

  22. Elegado FB, Kim WJ, Kwon DY. 1997. Rapid purification,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spectrum of the bacteriocin, Pediocin AcM, from Pediococcus acidilactici M. Int J Food Microbiol 37: 1-11. 

  23. Anastasiadou S, Papagianni M, Filiousis G, Ambrosiadis I, Koidis P. 2008. Pediocin SA-1, an antimicrobial peptide from Pediococcus acidilactici NRRL B5627: production condition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Bioresour Technol 99: 5384-5390. 

  24. Moretro T, Aasen IM, Storro I, Axelsson L. 2000. Production of sakacin P by Lactobacillus sakei in a completely defined medium. J Appl Microbiol 88: 536-545. 

  25. Kim HK, Lee KH, Kim JH. 2004.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Agric Life Sci 38: 15-24. 

  26. Drider D, Fimland G, Hechard Y, McMullen LM, Prevost H. 2006. The continuing story of class II a bacteriocins. Microbiol Mol Biol Rev 70: 564-582. 

  27. Cleveland J, Montville TJ, Nes IF, Chikindas ML.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71: 1-20. 

  28. Sablon E, Contreras B, Vandamme E. 2000. Antimicrobial peptides of lactic acid bacteria: mode of action, genetics and biosynthesis. Adv Biochem Eng Biotechnol 68: 21-60. 

  29. Oh SJ, Lee JH, Kim GT, Shin JG, Baek YJ. 2003.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sp. HY 449. Food Sci Biotechnol 12: 9-12. 

  30. Shan J, Ogawa Y, Watanabe T, Morimoto R, Oota S, Seiki M, Miyamoto T. 2007.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surimi by lactic acid bacteria.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54: 160-166. 

  31. Castellano P, Aristoy MC, Sentandreu MA, Vignolo G, Toldra F. 2013. Peptides with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generated from porcine skeletal muscle proteins by the action of meat-borne Lactobacillus. J Proteomics 89: 183-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