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lood has been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resulting in numerous damages for humans and properti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flood vulnerability using Potential Flood Damage (PFD) concept. To evaluate the PFD at a spatial resolu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방재적 측면에서 잠재적인 홍수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홍수위험 잠재능은 특정한 유역 또는 치수단위구역에 한정되어 있어 시군별로 이루어지는 치수 계획과 대책 수립에 직접 가용하기 쉽지 않으며, 산정 방법론이나 관련인자의 이론적 근거도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 홍수피해주 기를 고려하여 홍수위험잠재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전국 162개 시군의 치수대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위험잠재능 (PFD)의 개념을 도입하고 PFD의 주요 요소인 피해대상, 피해가능성, 그리고 방어능력별로 평가요소를 선정하였으며, 홍수피해주기와 요소 간 상관계수를 가중치로 적용함으로써 전문가의 오판을 배제시키고,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가중계수를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피해잠재능는 어떤 필요성에 의해 개발되었는가? 홍수피해잠재능 (PFD)는 수문요소뿐만 아니라 사회 · 경제적 요소까지 포괄하여 특정 치수단위구역의 홍수에 대한 잠재적인 취약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단위구역별 치수대책과 투자우선순위를 차별화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개발되었다 (Jang and Kim, 2009). 본 연구는 수정 PFD의 개념을 도입하여 지역별 잠재적인 홍수위험성을 평가하고 치수대책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으로 접근하였으며 그 과정은 Fig.
홍수피해잠재능이란? 홍수피해잠재능 (PFD)는 수문요소뿐만 아니라 사회 · 경제적 요소까지 포괄하여 특정 치수단위구역의 홍수에 대한 잠재적인 취약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단위구역별 치수대책과 투자우선순위를 차별화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개발되었다 (Jang and Kim, 2009). 본 연구는 수정 PFD의 개념을 도입하여 지역별 잠재적인 홍수위험성을 평가하고 치수대책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으로 접근하였으며 그 과정은 Fig.
본 연구에서 홍수피해잠재능을 산정할때 구성요소는 무엇으로 분류하였는가? 먼저, 지역별 홍수발생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부지표들을 관련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일부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선정하였으며, 행정구역 단위별 세부지표들의 객관적인 통계자료들을 수집하고 피해대상, 피해가능성, 방어능력 3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이후 세부지표들과 홍수피해주기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성이 높은 지표들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고 여기서 산출된 상관계수를 가중계수로 부여하여 지역별 홍수피해잠재능을 산정 ·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 H., D. S. Kang, and Y. N. Yoon, 2006. An Improvement of Estimation Technique on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6 Annual Conference KSCE 2040-2043 (in Korean). 

  2. Jang, O. J. and Y. O. Kim, 2009. Flood Risk Estimation Us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9(4): 71-80 (in Korean). 

  3. Kim, J. H. and Y. O. Kim,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3 Annual Conference KSCE 2373-2378 (in Korean). 

  4. Kim, J. H., 2004. Estimation of the Basin Flood Control Safety. Master's thesis, Seoul Ind.: Seoul University (in Korean). 

  5. Kim, S. J., S. M. Kim, and S. M. Kim, 2013.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1): 31-38 (in Korean).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White Paper on Changma. Seoul, Korea (in Korean). 

  7.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iements (KRIHS), 2005.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Anyang, Korea (in Korean). 

  8. Lee, M. H., I. W. Jung, and D. H. Bae, 2011. Kore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8): 653-666 (in Korean). 

  9. Lee, S. J., Y. O. Kim, J. H. Lee, and Y. Y. Lee, 2006.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for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Level. 2006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26-230 (in Korean). 

  10. Lim, K. S., S. J. Choi, D. R. Lee, and H. W. Moon,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1): 61-70 (in Korean). 

  11.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1. Long-term plans for water resources (2011-2020). Gwacheon, Korea (in Korean). 

  1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4. Annual Report on Disasters. Seoul, Korea (in Korean). 

  13. Moon, S. R., S. M. Yang, and S. H. Choi, 2014.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Journal of the Korean of Safety 29(1): 64-69 (in Korean). 

  14.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3. Management guideline of Natural disaster hazardous areas. Seoul, Korea (in Korean). 

  15. Park, S. G., 2006. Estimation of Potential Risk for Flood Damage Occurrence. Master's thesis, Incheon Ind.: Inha University (in Korean). 

  16. Park, S. G., K. H. Lee, M. S. Kyung, and H. S. Kim, 2006. Risk of Flood Damage Potential and Design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5): 489-499 (in Korean). 

  17. Park, T. S., C. G. Yeo, M. H. Choi, and S. O. Lee, 2010. Flood Damage Index regard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4): 361-366 (in Korean). 

  18. Park, T. S., M. H. Choi, C. G. Yeo, and S. O. Lee, 2009. Analysis of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9(5): 87-92 (in Korean). 

  19. Song, I. H., J. H. Song, S. M. Kim, M. W. Jang, and M. S. Kang, 2012. Spatial Distribu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amages to Agricultural Far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6): 45-52 (in Korean). 

  20. Song, J. H., 2012. Study on Flood Risk Assessment in Medium and Small River Watersheds for Flood Protection Alternatives, Master's thesis, Gyeongsan Ind.: Yeungnam University (in Korean). 

  21. Song, J. H., S. D. Kim, M. J. Park, and H. I. Choi, 2013. Estimation of Flood Risk Index for the Nakdong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 35-4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