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환자의 눈을 통한 간호의 질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for Hospitalized Child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31 - 140  

조해련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evaluated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for hospitalized child (QUOTE-Child),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Preliminary items were reviewed through expert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To tes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QUOTE-Child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아동 간호의 철학인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QUOTE를 개념적 기틀로 두었고, DeVellis (2012)의 도구개발 지침의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에 의해 병동에서 제공되는 아동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DeVellis (2012)의 도구개발 지침에 근거하여 설계하였다.
  • 본 연구는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QUOTE-Child)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 우선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아동의 입원 간호를 경험한 보호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였다. 본 도구의 문항은 환아의 보호자가 표현한 진술을 토대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만족도보다 실제 간호의 질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었다(Oh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입원한 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아동과 가족 중심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QUOTE-Child)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DeVellis (2012)는 측정도구의 문항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풀어내는 진술이므로 이론과 문항이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예비 문항은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속성을 반영하였고 내용적 측면에서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안면 타당도를 충분히 검토하여 이상적인 문항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성과 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QUOTE를 개발하는 것은 아동과 가족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고, 나아가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를 지향하는 아동 간호의 질을 개선 및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와 QUOTE를 이론적 기틀로 삼아 병동에서 간호사가 제공하는 아동과 가족 중심 간호의 질을 아동의 보호자가 평가하는 QUOTE-Child를 개발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입원은 아동과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아동의 입원은 환아에게는 권태감, 무료감, 불안과 공포를, 가족에 게는 아동의 질병과정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유발하는 위기상황으로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킨다(Kwon, Seo, & Kim, 2012). 가족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며 그 자체만으로도 건강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아동 간호의 대상자는 아동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을 포함해야한다(Kwon et al.
아동 간호가 간호사 중심이 아닌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를 기본 철학으로 삼는 이유는? 아동의 입원은 환아에게는 권태감, 무료감, 불안과 공포를, 가족에 게는 아동의 질병과정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유발하는 위기상황으로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킨다(Kwon, Seo, & Kim, 2012). 가족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며 그 자체만으로도 건강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아동 간호의 대상자는 아동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을 포함해야한다(Kwon et al., 2012).
간호사가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이유는? 간호사는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의 질을 평가한다(Pelander, Leino-Kilpi, & Katajisto, 2008).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서비 스의 질을 평가하는 SERVQUAL (SERVice QUALity) 모델을 간호학에 접목하여 간호에 대한 대상자의 기대와 제공받은 간호의 격차로 간호의 질을 평가하였고,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SERVQUAL을 사용하고 있다(Lee, Gong, & Cho,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raham, M., & Moretz, J. G. (2012). Implement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rt 1-understanding the challenges. Pediatric Nursing, 38(1), 44-47. 

  2. Choi, M., & Kim, J. (2014).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 176-184. http://dx.doi.org/10.4094/chnr.2014.20.3.176 

  3. Comarow, A. (2007, September). Birth of a new methodology. We've added death rates, nursing, and other ways to look at care, US News and World Report, 143(7), 58-60. 

  4. DeVellis, R. F. (2012).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 Grove, S. K., Burns, N., & Gray, J. (2013).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7th ed.). St. Louis, Mo.: Saunders/Elsevier. 

  6. Gutteling, J. J., de Man, R. A., Busschbach, J. J. V., & Darlington, A. E. (2008). Quality of health car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liver diseases: Th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QUOTE-Liver questionnaire. BioMed Central Gastroenterology, 8(25). http://dx.doi.org/10.1186/1471-230X-8-25 

  7.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8. Jeong, Y. S., & Kim, J. (2005). Parent satisfaction with inpatient hospital services in children's hospital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3), 273-281. 

  9. Johnson, B., Abraham, M., Conway, J., Simmons, L., Edgman-Levitan, S., Sodomka, P., et al. (2008). Partnering with patients and families to design a patient- and family-centered health care system: Recommendations and promising practices. Bethesda, MD: Institute for Family-Centered Care. 

  10. Kang, H.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5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11. Kim, H., Kim, M., Kim, Y., Yu, M., & Oh, J. (2007). A study on moth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concerning child's hospitaliza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0(2), 136-146. 

  12. Korean Hospital Association. (2013). Pediatrics performance analysis for each regional classification status. Retrieved August 20, 2014, from http://www.kha.or.kr/inform/statistics/results/area 

  13. Kuethe, M. C., Sixma, H. J., Vanessen-Verberne, A. A. P. H., Booij, J. C., & van Aalderen, W. M. C. (2012). Assessing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asthma: Applicability of a revised version of the QUOTE-CNSLD questionnaire. Journal of Asthma, 49(9), 966-976. http://dx.doi.org/10.3109/02770903.2012.721434 

  14. Kwon, I., Seo, Y., & Kim, J. (2012). Trends in research on caregivers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 - focus on knowledge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3), 101-10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1 

  15. Lamkaddem, M., Spreeuwnberg, P. M., Deville, W. L., Foets, M. M., & Groenewegen, P. P. (2012). Importance of quality aspects of GP care among ethnic minorities: Role of cultural attitudes, language and healthcare system of referenc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0(1), 25-34. http://dx.doi.org/10.1177/1403494811425710 

  16. Lee, B. S. (1996).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of caring to evaluate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3), 653-667. 

  17. Lee, M., Gong, S., & Cho, S. (2012). Relationship among nursing service quality,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hospital revisit int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1), 96-105.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1.96 

  18. Martin, L., van Dulmen, S., Spelten, E., de Jonge, A., de Cock, P., & Hutton, E. (2013). Prenatal counseling for congenital anomaly test: Parental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midwife performance. Prenatal Diagnosis, 33(4), 341-353. http://dx.doi.org/10.1002/pd.4074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2014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Issue Brief No. 11-1352000-000137-10). Sejong: Author. 

  20.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21. Oh, J., Kim, Y. Y., Kim, H., Park, H., & Cho, H. (2014).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283-293.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283 

  22. Pelander, T., Leino-Kilpi, H., & Katajisto, J. (2008). The quality of paediatric nursing care: Developing the Child Care Quality at Hospital instrument for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2), 443-45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875.x 

  23. Sixma, H. J., Kerssens, J. J., van Campen, C., & Peters, L. (1998). Quality of car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From theoretical concept to a new measuring instrument. Health Expectations, 1(2), 82-95. http://dx.doi.org/10.1046/j.1369-6513.1998.00004.x 

  24. Vasudevan, A., Arachchi, A., & van Langenberg, D. R. (2013). Assessing patient satisfact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the QUOTEIBD survey: A small step for clinicians, a potentially large step for improving quality of care. Journal of Crohn's and Colitis, 7(9), e367-e374. http://dx.doi.org/10.1016/j.crohns.2013.0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