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판단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2, 2015년, pp.160 - 167  

심가가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for use with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was used to validate the rubric developed by Lasater to assess clinical judgment during nursing simulation. Participants were 34 nursing students at 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시뮬레이션실습에서의 간호학생들이 보이는 임상 판단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LCJR의 한국어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LCJR을 이용한 간호학과 대학생의 임상판단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대학병원에서 근무 경력 3년 이상인 대학원 박사 과정 생 1인을 선정 하여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였다. 1단계로 LCJR의 각 항목별 배점의 근거를 각자 작성 하여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기준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임상적 판단을 평가하는 도구인 LCJR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의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간호의 필수 영역인 정서적 영역 외에 인지적, 기술적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여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 즉 임상판단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간호학실습교육에 시뮬레이션 교수법을 도입하기 시작한 한국의 간호학실습에서의 학생의 임상판단평가에 LCJR을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 실습 평가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측정에 참여한 전문가 집단은 누구인가? 본 도구의 간호학 실습 평가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측정하고자 전문가 집단을 이용해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하였다(Table 2). 전문가 집단은 간호학 교수 7인(성인간호학, 아동간호학, 기본간호학, 간호관리학)의 CVI를 구한 합의율은 83% (CVI = 0.75)였다.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란? 최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도입은 환자 안전에 기여하고 임상 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방안으로 추천되고 있다(McCaughey & Traynor, 2010).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학습증진과 임상판단능력 향상 및 동료 학생들과의 디브리핑(debriefing)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경험을 반영하고 새로운 인지적 학습을 통합하는 교육방법으로, 학습 만족도와 자신감을 향상시키고(Shin, Shim, & Lee, 2010), 학생의 지식(Nehring & Lashley, 2004) 및 비판적 사고 향상 (Kim, Nam, & Kim, 2014; Lasater, 2007), 문제해결능력 향상(Rauen, 2004)과 임상수행능력(Haskvitz & Koop, 2004)을 향상시키는 교수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수 방법이 실습역량 증진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으로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의 임상판단능력에 대한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제한적이어서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Cannon-Diehl, 2009; Nehring & Lashley, 2004).
임상 실습의 의의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임상 실습은 문제 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으로(Kim, 2006), 간호지식을 현장에서 적용하여 살아있는 지식으로 창조해 낼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간호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Seo, Ahn, & Park, 2009). 이렇듯 간호학 교육에서 임상실무능력을 키우는 실습교육은 유능한 간호사를 키워내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나, 간호 대상자들이 학생들의 실습대상이 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크고, 환자안전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의료현실에서 학생의 임상실습의 여러 어려움들이 보고되고 있다(Kw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on, K. A. (2011).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simulation evaluation instruments used in nursing education: A test of concept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shington State University, Washington, USA. 

  2. Adamson, K. A., Gubrud, P., Sideras, S., & Lasater, K. (2012). Assessing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se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Three approach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2), 66-73.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1130-03 

  3. Cannon-Diehl, M. R. (2009). Simulation in healthcare and nursing: State of the science.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32(2), 128-136. http://dx.doi.org/10.1097/CNQ.0b013e3181a27e0f 

  4. Costello, A. B., & Osborne, J. W.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5. Davis, A. H., & Kimble, L. P. (2011). Human patient simulation evaluation rubrics for nursing education: Measur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11), 605-611.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0715-01 

  6. Haskvitz, L. M., & Koop, E. C. (2004). Students struggling in clinical? A new role for the patient simulato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4), 181-184. 

  7. Jeffries, P. R. (2005).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ew York, NY: National League for Nursing. 

  8. Kardong-Edgren, S., Adamson, K. A., & Fitzgerald, C. (2010).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6(1), 25-35. http://dx.doi.org/10.1016/j.ecns.2009.08.004 

  9. Kim, M. W. (2006).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2), 389-402. 

  10. Kim, S. H., Nam, H. A., & Kim, M. O. (201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imulation-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294-303.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294 

  11. Kwon, I. S. (2002). An analysis on clinical education of pediatric nursing.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3), 344-356. 

  12. Lasater, K. (2007).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11), 496-503. 

  13. Lasater, K. (2011). Clinical judgment: The last frontier for evalua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2), 86-92. 

  14. Lee, J. H., & Choi, M. N. (2011).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1), 1-9. 

  15. Lee, J. H., Kim, S. S., Yeo, K. S., Cho, S. J., & Kim, H. L.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83-193.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2.183 

  16. Mariani, B., Cantrell, M. A., Meakim, C., P., & Dreifuerst, K. T. (2012).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5), e147-e155. http://dx.doi.org/10.1016/j.ecns.2011.11.009 

  17. McCaughey, C. S., & Traynor, M. K. (2010). The rol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30(8), 827-832. http://dx.doi.org/10.1016/j.nedt.2010.03.005 

  18. Moskal, B. M., & Leydens, J. A. (2000). Scoring rubric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10), 71-81. 

  19. Nehring, W. M., & Lashley, F. R. (2004). Current use and opinions regarding human patient simulators in nursing education: An international surve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5(5), 244-248. 

  20.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21. Rauen, C. A. (2004).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ical Care Nurse, 24(3), 46-51. 

  22. Rhodes, M. L., & Curran, C. (2005).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3(5), 256-262. 

  23. Seo, Y. O., Ahn, Y. H., & Park, K. S. (2009). Content analysis of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judgment during nurs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2), 245-256. 

  24. Shin, H., & Kim, M. J. (2014). Evaluation of an integrated simulation courseware in pediatric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3(10), 589-594.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40922-05 

  25. Shin, H., Park, C. G., & Shim, K. (2015). The Korean version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A validation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5(1), 68-72. http://dx.doi.org/10.1016/j.nedt.2014.06.009 

  26. Shin, H., Shim, K., & Lee, Y. N. (2010). Nursing activities identified through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9(2), 111-119.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111 

  27. Shin, H., Shim, K., Lee, Y. N., & Quinn, L. (2014). Validation of a new assessment tool for a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modul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3(11), 623-629.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41023-04 

  28. Sideras, S. (2007). An Examin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a Clinical Judgment Evaluation Tool in the Setting of High-Fidelity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 

  29. Suzie, K. E., & Cynthia, F. (2010).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6(1), 25-35. http://dx.doi.org/10.1016/j.ecns.2009.08.004 

  30. Tanner, C.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