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임상적 추론, 임상적 판단 개념의 고찰
A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3, 2019년, pp.378 - 387  

이동숙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  박지연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which still lack a consensus and are of mixed use. Methods: Norris's method of concept clarification was used to review concepts that have no clear definition or...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종설은 Norris의 방법(Lackey, 2000)을 근간으로 간호교육에서 혼용되고 있는 비판적 사고, 임상적 추론, 임상적 판단의 개념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고찰은 각 개념 간 유사성과 차별성을 확인하여 개념들을 분리하고 명료화함으로써 혼용되고 있는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적 판단의 정의란 무엇인가? , 2016). Tanner (2006)는 임상적 판단 모델을 개발하면서 ‘간호사처럼 사고하는 것, 즉, 환자의 요구나 건강문제에 대한 해석이나 결론, 그리고 적절한 중재에 대한 의사결정’을 임상적 판단이라고 정의하였다. Paul (Rhodes & Curran, 2005에 인용됨)은 임상적 판단이란 ‘무엇을 사정해야 하는지, 어떤 자료를 제안하고, 우선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누가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정의 속에는 임상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이라는 특성이 반복적으로 기술되고 있다.
임상수행능력이란? 임상수행능력(clinical competency)이란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로 유능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Barret & Myrick, 1998). 임상수행능력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중에서 ‘지식’이나 ‘기술’에 비해 ‘판단’ 능력은 아직까지도 무엇을 ‘판단’ 능력이라고 할 것인가와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임상적 추론(clinical reasoning), 임상적 판단(clinical judgment)과 같은 개념들이 사용되고 있다.
간호교육과정에 성과중심 교육체제를 도입한 목적은 무엇인가? 이는 졸업생이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로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결정하며 중재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수행하는 간호교육 인증평가 프로그램 역시 간호교육을 통해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직 간호사의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한다는 목적 하에 간호교육과정에 성과중심 교육체제를 도입하고 교육성과를 측정하도록 하였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 2019). 이에 따라 간호학생이나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와 어떻게 그것을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faro-LeFevre 2014 

  2. Banning, Maggi. Clinical reasoning and its application to nursing: Concepts and research studi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8, no.3, 177-183.

  3. Barrett, Celeste, Myrick, Florence.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7, no.2, 364-371.

  4. Berman 2016 

  5.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D'Zurilla 156 1990 

  6. 1995 

  7. Facione 1990 

  8. Fonteyn 235 2008 

  9. Hawkins 2013 

  10. 허혜경, 노영숙.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5, 574-584.

  1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nurs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scale Joung 304 2017 

  12. 김정아, 고자경.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3, 1874-1883.

  13. Kuiper, Ruth Anne, Pesut, Daniel J.. Promot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flective reasoning skills in nursing practice: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5, no.4, 381-391.

  14. Lackey 193 2000 

  15.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Lasater 496 2007 

  16.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Lee 1 2011 

  17. Liou, Shwu‐Ru, Liu, Hsiu‐Chen, Tsai, Hsiu‐Min, Tsai, Ying‐Huang, Lin, Yu‐Ching, Chang, Chia‐Hao, Cheng, Ching‐Yu.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a theory‐based instrument to evaluate nurses’ perception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2, no.3, 707-717.

  18. 오인숙, 김정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업무환경이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3, 304-315.

  19. 10.22329/il.v34i4.4141 

  20. RHODES, MATTIE L., CURRAN, CYNTHIA.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 CIN, vol.23, no.5, 256-262.

  21. A study on class design of clinical critical thin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nursing education Seo 317 2013 

  22. Concept analysis on the clin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nursing Shin 707 2008 

  23. Clinical reasoning: Concept analysis Simmons 1151 2010 

  24. Sommers, Christine L..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n culturally diverse nursing students – A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30, 91-100.

  25.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 based model of clinical judgement in nursing Tanner 204 2006 

  26. Critical thinking versus clinical reasoning versus clinical judgment: Differential diagnosis Victor-Chmil 34 2013 

  27.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Yoon 2004 

  28. 유소영, 김남초.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4, no.2, 129-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