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577 - 587  

이숙경 (순천제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S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2학년 시뮬레이션 실습교과목을 수강한 45명의 학생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과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추후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모듈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clinical judgm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5 second grade nursing students who parti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임상 판단력과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일관되지 않으며, 임상판단력 측정을 위한 구조화된 디브리핑 도구인 Lasater[15]의 임상판단 루브릭을 활용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실습교육과정에 포함된 구조화된 디브리핑이 임상판단력에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고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시행한 후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 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S 시에 있는 S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설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교과과정에서 수술 후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시행 한 후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교육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간호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통합하고 실제 대상자에게 간호를 수행하는 기회를 얻음으로써 간호문제 해결능력을 증진시키고 대상자에게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통합과 조정의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1].
임상실습을 통하여 간호문제 해결능력을 증진시켜야 하지만 실태는 어떠한가? 그러나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 환경과 환자의 안전 및 권리에 대한 문제로 간호학생들의 직접간호 수행 기회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관찰 위주의 임상실습으로 운영되고 있다[2]. 특히 임상실습 시 환자들에게 위험도가 높은 간호활동에 대한 실습은 더욱 제한되고 있어,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 전 기간 동안 신규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실습경험을 하지 못하고 있다[3].
임상판단력이란 무엇인가? 임상판단력이란 대상자의 요구나 건강문제에 관한 해석이나 결론, 행동하기 위한 결정, 표준화 간호 지침을 사용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결정, 대상자의 반응에 대한 접근법을 개선하기 위한 결정이며 임상 실무현장에서 경험과 지식에 근거하여 대상자 간호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의견을 전개하는 것이다[33].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임상판단력을 평가하기 위해 Lasater[15]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심가가[18]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수행 여부를 관찰하여 평가한 점수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미원, 핵심간호수행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 목표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 허혜경, 박소미, 신윤희, 임영미, 김기연, 김기경, 최향옥, 최지혜,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28-240, 2013. 

  3. 조미혜, 권인수,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간호활동 경험 정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43-154, 2007. 

  4. 송정희, 문명자, "신규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직무수행도 및 중요도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기본간호학회, 제15권, 제1호, pp.22-33, 2008. 

  5. 김윤희, 장금성,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제41권, 제2호, pp.245-255, 2011. 

  6. 김덕희, 이윤정, 황문숙, 박진희, 김희선, 차혜경,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499-509, 2012. 

  7. W. F. Bond and L. Spillane,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9, No.11, pp.1295-1299, 2002. 

  8. J. W. Rudolph, R. Simon, D. B. Raemer, and W, J. Eppich, "Debriefing as formative assessment: closing performance gaps in medical education,"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15, No.11, pp.1010-1016, 20008. 

  9. 김미옥, 김희정, "1:1 디브리핑 시뮬레이션 학습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03-309, 2015. 

  10. 김순희, 박인숙,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과정 및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제3권, 제2호, pp.1-11, 2015. 

  11.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MicroSim $^{(R)}$ 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4-32, 2010. 

  12. 이명선, 한숙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26-234, 2011. 

  13. C. A. Blum, S. Borglund, and D. Parcells,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7, No.1, pp.1-14, 2010. 

  14. 강희영, 김은정, 오윤정,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12-321, 2013. 

  15. K. Lasate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11, pp.496-503, 2007. 

  16. 정경인,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 적용이 임종간호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7. 하이경, 고진강, "중환자간호 기계환기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간호의 지평, 제9권, 제2호, pp.119-126, 2012. 

  18. 심가가, 간호 시뮬레이션 평가 도구(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 A. Bandura(Ed),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86. 

  20. 김연하, 황선영, 이애영, "신규졸업간호사가 지각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7-46, 2014. 

  21. P. R. Jeffries and M. A. Rizzolo,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site, multi-method Study [Summary Report], Washington DC: National Leagues for Nursing and Laerdal Medical, 2006. 

  22. D. Del Bueno, "A crisis in critical think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6, No.5, pp.278-282, 2005. 

  23. 고상진, 최은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학습몰입, 학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016. 

  24. 채민정, 최순희,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8권, 제4호, pp.447-458, 2016. 

  25. C. Barrett and F. Myrick,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7, No.2, pp.364-374,1998. 

  26. 장선주, 권은옥, 권영옥, 권희경, "시뮬레이션 교육이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75-383, 2010. 

  27.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28. 하이경,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 지식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김정숙, 간호대학생을 위한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서울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0. 권은옥, 심미영, 최은하, 임상희, 한경민, 이은준, 장선주, 이미미, "완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훈련이 전문심장소생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8권, 제1호, pp.126-135,2012. 

  31. 정지수,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2. P. R. Jeffries,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New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33. C. A. Tanner,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m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5, No.6, pp.204-211, 2006. 

  34. 유지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실습몰입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5. M. Todd, K. Hawkins, M. Hercinger, J. Manz, and M. Tracy, Creighton Competency Evaluation Instrument, Creighton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2014. 

  36. 서연희, The Outcome-Present State-Test (OPT) Model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7. 박경민, 권인수, 김경덕, 김영희, 박현숙, 소향숙, 장금성, 정복례, 최은희,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시뮬레이션교육, 현문사, 2013. 

  38. 허혜경, 박소미,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1-119, 2012. 

  39. 오혜경, "수술 후 재활 사례에 적용한 임상 판단력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Source)," 재활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45-152, 2015. 

  40. 조은정, "네 개의 팀 기반 고위험 신생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수행력, 만족도 및 임상적 판단력 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9권, 제2호, pp.13-31, 2014. 

  41. J. Mould, H. White, and R. Gallagher, "Evaluation of a critical care simulation serie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ontemporary Nurse, Vol.38, No.1, pp.180-190,2011. 

  42. L. Baillie and J. Curzio, "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 Education in Practice, Vol.9, No.5, pp.297-306, 2009. 

  43. S. Decker, S. Sportsman, L. Puetz, and L. Billings, "The evoluation of simul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ompetency,"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Vol.39, No.2,pp.74-80, 2008. 

  44. 전인희, 조주연,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다문화건강학회지, 제6권, 제1호, pp.9-15, 2016. 

  45. 이외선,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93-100, 2017. 

  46. 김효연, 김해란, "대장내시경 사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35-145, 2015. 

  47. 송영아,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7-44, 2013. 

  48. 김정희, 박인희, 신수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한국간호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07-319, 2013. 

  49. 김신향, 함연숙,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08-319,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