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 교수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개발 프로그램 만족도의 차이
Variation in Professors' Teaching Efficac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7 no.2, 2015년, pp.88 - 93  

전수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천경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  이영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  김세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김유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김성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tion in professors' satisfaction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in their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a medical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학년도의 경우에는 24차 세미나가 진행되었고, 회당 평균 60명의 교수가 교수개발 세미나에 참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 소속 교수(professor)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개발 프로그램만족도가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프로그램 참여횟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고, 추후 교수개발 프로그램 개발 시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ilkerson & Irby (1998)은 교수개발이 어떤 역할을 한다고 하였는가? , 1990), 또한 조직의 능력과 풍토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습관적 행위들을 향상시키고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계획된 프로그램이기도 하다(Bligh, 2005). Wilkerson & Irby (1998)는 학문적 조직의 생동감은 교수의 관심과 전문성에 달려 있으며, 교수개발은 학문적 수월성과 혁신을 진작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전통적인 고등교육분야의 교수는 어떻게 일을 종사해왔는가? 전통적으로 고등교육 분야에서는 특정 분야의 내용 전문가들이 교수(professor, faculty)로서의 역량을 자연스럽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없이도 학생들을 지도하는 일에 종사하여 왔다. 하지만 학습자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최근에 대학가에서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교수를 대상으로 교수(teaching)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교수개발 프로그램 참여도에 따른 교수효능감과 리더십, 자신감과 조절감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 정도가 현재 교수들의 교수효능감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그리고 참여하는 것이 곧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다는 의미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수준으로 분석했을 때, 참여수준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수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참여도가 높은 교수들이 높은 교수효능감과 리더십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감 및 조절감에서는 참여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과 교수효능감이 관계가 있는 것을 바탕으로, 참여도 많이 하고 효능감도 높은 그룹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2. Bland, C. J., Schmitz, C. C., Stritter, F. T., Henry, R. C., & Aluise, J. J. (1990). Successful faculty in academic medicin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3. Bligh, J. (2005). Faculty development. Med Educ, 39(2), 120-121. 

  4. Centra, J. A. (1978). Types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J High Educ, 49(2), 151-162. 

  5. Denham, C. H., & Mic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Educ Res Q, 6(1), 39-63. 

  6. Enochs, L. G., & Riggs, I. M. (1990).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 Educ, 79(1), 63-75. 

  7. Hackett, G., & Betz, N. E. (1995).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In J. E. Maddux (Ed.), Self-efficacy, adaptation, and adjust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p. 249-280). New York: Plenum. 

  8. Han, S. S., & Im, M. H. (2003). A study on identifying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J Korea Early Child Educ, 10(1), 207-240. 

  9. Harden, R. M., & Crosby, J. (2000). AMEE guide no 20: The good teacher is more than a lecturer-the twelve roles of the teacher. Med Teach, 22(4), 334-347. 

  10. Hwang, E. Y. (2006). A study on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faculty. Korean Soc Educ Psychol, 20(1), 73-98. 

  11. Kim, S. (1998).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J Med Educ, 10(2), 293-306. 

  12. Kim, H. J., & Lee, B. R. (1999).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J Korean Teach Educ, 16(1), 161-181. 

  13. Kim, Y. I. (2006). Impeding factors again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and its perspective views. Korean J Med Educ, 18(1), 3-12. 

  14. Lee, Y. H. (2014). Long for wonderful leadership in a new era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orean J Med Educ, 26(3), 163-165. 

  15. Nugent, K. E., Bradshaw, M. J., & Kito, N.(1999). Teacher self-efficacy in new nurse educato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5(4), 229-237. 

  16. Park, Y. I., Yoo, K. H., Bang, K. S., An, K. J., & Lee, S. O.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a clinical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faculty and teaching efficacy.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8(2), 353-361. 

  17. Sheets, K. J., & Schwenk, T. L. (1990). Faculty development for family medicine educators: An agenda for future activities. Teach Learn Med, 2(3), 141-148. 

  18. Steinert, Y., Mann, K., Centeno, A., Dolmans, D., Spencer, J., Gelula, M., & Prideaux, D. (2006). A systematic review of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designed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in medical education: BEME Guide No. 8. Med Teach, 28(6), 497-526. 

  19. Vasil, L. (1992). Self-efficacy expectations and causal attributions for achievement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faculty. J Vocat Behav, 41(3), 259-269. 

  20. Wilkerson, L., & Irby, D. M. (1998).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practic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Acad Med, 73(4), 387-3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