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댄스스포츠 운동이 폐경 후 우울증 비만 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 spor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 post-menopausal depression obese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423 - 429  

김지연 (고려대학교) ,  심영제 (군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우울증을 겪고 있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참가하는 대상자들은 1년 이상 월경이 없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정도에 따라 중정도 우울, 가벼운 우울 그리고 대조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댄스스포츠를 주 3회 하루에 60분씩 12주 총 36회를 실시하였고 운동강도는 예비심박수의 50~80%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가벼운 우울증을 겪고 있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운동 전 후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정도 우울증을 겪고 있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경우 12주간 댄스스포츠 운동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댄스스포츠는 폐경기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우울과 같은 정신적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이용되고 나아가 스포츠과학분야와 의학분야들간의 융복합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nce sports for twelve weeks on physical self-efficacy in post-menopausal depression obese women. A total 38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ild-depression group(n=9), light-depression group(n=1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의 하나인 댄스스포츠를 12주간 실시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우울증이 없는 폐경기 비만 여성과 우울증 초기 단계의 폐경기 비만 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다소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만큼의 상승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신체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가족의 구심점인 폐경 후 우울증을 겪고 있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음악과 함께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동작들로 구성된 댄스스포츠를 실시해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기의 특징은? 폐경기는 심리적, 환경적인 특성에 따라 긍정적으로 수용할 경우 폭 넓은 성숙으로 발전하기도 하는 반면,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로 작용하거나 다양한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 폐경기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은 신경과민, 집중력 장애, 기억력 감퇴, 두통, 공격성, 긴장, 불면, 우울, 불안, 짜증, 의욕상실, 우유부단함, 자신감의 상실 등이 있으며, 여성의 약 25~50%에서 나타난다[2].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척도 중 우울증 척도는 누가 개발하였는가? 우울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척도를 사용하였다. BDI의 우울증 척도는 Beck[10]이 개발하였고, 임상적인 우울증상을 토대로 만든 것으로 우울증의 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며, 이 연구는 이영호와 송종용[11]에 의해 번안된 한국판 Beck의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이 척도의 Cronbach's ɑ 계수는 .
폐경기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은 무엇이 있는가? 폐경기는 심리적, 환경적인 특성에 따라 긍정적으로 수용할 경우 폭 넓은 성숙으로 발전하기도 하는 반면,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로 작용하거나 다양한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 폐경기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은 신경과민, 집중력 장애, 기억력 감퇴, 두통, 공격성, 긴장, 불면, 우울, 불안, 짜증, 의욕상실, 우유부단함, 자신감의 상실 등이 있으며, 여성의 약 25~50%에서 나타난다[2]. 폐경기의 정신·심리적 장애 중 특히 우울은 단순 한 슬픔이나 우울한 기분에서부터 지속적인 상실감이나 무기력, 그리고 낮은 신체적 자아존중감(self-esteem)을 가져올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View statistics of women's lives, http://www.kostat.go.kr, 2010. 

  2.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Management of menopausal women. Seoul: Calvin, 1994. 

  3. M. Y. Cha, Y. K. Na, & H. S. Hong, An effect of optim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laughter therapy of menopausal women.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8, No. 4, pp.248-256, 2012. 

  4. O. S. Ki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Y. J. Sakano, Trans). Hana Medical Publishers, 2005. 

  5. C. K. Kim, A qualitative study on depression experiences of middle aged depressed wome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1, No. 4, pp.1783-1806. 

  6.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191-215, 1977. 

  7. J. H. Shin, & S. H. Jun, The effect of students'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ir self-efficiency and satisfaction in school lif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 26, No. 3, pp.1-14, 2012. 

  8. S. O. Hong,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nt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change of gender-role types. Ph.D. unpublished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1996. 

  9. J. Y. Kim, The study on physical self-efficacy by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 club. M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2014. 

  10. D. Beck, Indication for psychoanalytic short time. Zeitschrift fur Psychosomatische Medizin and Psychoanalyse, Vol. 13, No. 4, pp.257-265, 1967. 

  11. Y. H. Lee, & J. Y.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98-113, 1991. 

  12. R. M. Rychman, M. A. Robbins, B. Thornton, & P. Cantrel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24, No. 5, pp.891-900, 1982. 

  13. Y. M. Nam,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girl's dance activity on physical self-efficiency. MS. dissertation, Seowon University, 2001. 

  14. American college of sports and medicine, ACSM's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 & Wilkins, 2006. 

  15. A. R. Song,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Vol. 7, No. 2, pp.308-322, 2001. 

  16. R. Michel, G. Sophie, L. Sophie, G. Isaelle, C. Laurie, A. Gerard, & M. Pascale, Influence of a walking program on the metabolic risk profile of obese postmenopausal of obese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Vol. 16, No. 3, pp.566-575, 2009. 

  17. M. J. Kim, & W. K. Kim, Exercise effects on the metabolism-related hormone and arterial stiffness of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 17, No. 4, pp.273-280, 2009. 

  18. H. E. Manus, & M. R. Killeen, Maintenance of self-esteem by obese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Vol. 8, No. 1, pp.17-27, 1995. 

  19. S. W. Kim, Influence of exercise on brain activity and emotion in female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5, No. 1, pp.193-205, 2006. 

  20. S. H. So, H. J. Kim, H. Y. Ha, & N. S. Kim,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therapy on anxiety,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climacteric women,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Vol. 25, No. 2, pp.154-173, 2012. 

  21. P. McCullagh, T. C. North, & D. Mood, Exercise as a treatment for depression: A meta-analysi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 1988. 

  22. M. S. Ahn, The study concerning difference of the physical-self efficacy with dance sports participants. MS. dissertation, Yonnsei University, 2002. 

  23. T. S. Nam,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resistance exercise on physical self-efficacy of women. MS. dissertation, Kunkok University, 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