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가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and Brand Image on their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2, 2015년, pp.185 - 206  

서환석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대학원 식품경영전공) ,  황재현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식품산업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solution necessary for boosting th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ositively reflecting consumers' opinions that expect supplies of safe agricultural products to secure the domestic farms produc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친환경농산물의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가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태도가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 간에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의 안정적 소득보장과 동시에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도모하기 위하여 안전한 농산물공급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필요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브랜드 이미지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있어서 객관적 지식보다 주관적 지식이 더 강력한 변이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미지 평가의 중요성은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을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친환경농산물 특성을 반영한 내용 보완 및 분류의 체계성을 확보함으로써, 분석결과의 시사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국내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한 마케팅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첫째, 친환경농산물의 주관적 지식은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브랜드 이미지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 가설 1-3. 주관적 지식의 사용지식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 가설 1-1. 주관적 지식의 제품지식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 지식에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의미하는 것은? 객관적 지식은 제품과 관련된 사실적인 정보가 실제로 소비자의 기억 속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정리되었는가와 관련된 개념(Bettman and Park 1980; Brucks, 1986)이며, 반면, 주관적 지식은 소비자가 그 제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 또는 확신으로 소비자가 실제로 축적한 정보의 양과는 차이가 있다(Alba and Hutchinson 1987; Rao and Monroe, 1988). 소비자 지식 중 제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주관적 지식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Raffaele and Simona, 2002)되며, 자기 확신(self-confidence)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정보처리단계를 이해하는데 객관적 지식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개념이다(Park and Lessig, 1981).
최근 취약해진 농업의 가격경쟁력의 새로운 대안으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우리 농업의 가격경쟁력은 UR협상 타결과 WTO농업협상, FTA 추진 등의 개방화 정책으로 인하여 갈수록 취약해 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안전성, 위생 등 품질경쟁력을 강화하는 친환경농업이 새로운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다(Seo and Hwang, 2014).
주관적 지식이 소비자의 정보처리단계를 이해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객관적 지식은 제품과 관련된 사실적인 정보가 실제로 소비자의 기억 속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정리되었는가와 관련된 개념(Bettman and Park 1980; Brucks, 1986)이며, 반면, 주관적 지식은 소비자가 그 제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 또는 확신으로 소비자가 실제로 축적한 정보의 양과는 차이가 있다(Alba and Hutchinson 1987; Rao and Monroe, 1988). 소비자 지식 중 제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주관적 지식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Raffaele and Simona, 2002)되며, 자기 확신(self-confidence)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정보처리단계를 이해하는데 객관적 지식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개념이다(Park and Lessig, 1981). 주관적 지식은 실제의 지식상태보다 소비자의 자신감이나 정보에 대한 확신을 더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Kim and Lee, 2002),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소비성향이나 탐색가능성을 예측하는데 객관적 지식보다 더 타당하다(Col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G. S., J. R. Lee, and K. H. Min. 200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rand Imag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dvertising Research. 69: 115-137. 

  2. Alba, J. W. and J. W. Hutchinson.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411-454. 

  3. Baggett, P. D. 1994.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Tennesse Univ. Ph. D. diss. 

  4. Baron, R. M. and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5. Bettman, J. R. and C. W. Park. 1980.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234-348. 

  6. Blackwell, R. D., P. W. Miniard, and J. F. Engel. 2001. Consumer Behaviour, 9th ed., Ft. Worth, Tx; Harcourt. 

  7. Brucks, M. 1986. A Typology of Consumer Knowledge Cont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 58-63. 

  8. Choi, I. J.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volvement, the Prior Knowledge of the Products, and Types of Advertisement. Yonsei Univ. Master's Thesis. 

  9. Choi, J. E. and Y. G. Kim. 2011.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rgarnic Food: A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towards Food Safet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4): 153-168. 

  10. Cole, C. A., G. Gaeth, and S. N. Singh. 1986. Measuring Prior Knowledg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 64-66. 

  11. Cowley, E. and A. A. Mitchell. 2003.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Knowledge on the Learning and Organization of Product Information.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3): 443-454. 

  12. Engel, J., R. Blackwell and P. Miniard. 1995. Consumer Behaviour. Fort Worth; Dryden Press. 224. 

  13. Gifford, K. and J. C. Bernard. 2006. Influencing Consumer Purchase Likelihood of Organic Food. International J Consumer Studies. 30(2): 155-165. 

  14. Ha, H. Y. 2010.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 Longitudinal Study, Korea Society of Consumer Studies. 21(4): 23-42. 

  15. Hair, J., B. Black, R. Babin, R. Anderson, and R. Tatham.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rentice Hall, New York. 

  16. Hwang, J. I. and J. O. Park. 2010. The Effects of Subjective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as Related to a Consumer's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9): 41-54. 

  17. Jin, H. J and S. H. Keum, 2011, The Effects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Eco-Friendly Foods.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16(3): 105-133. 

  18. Kang, M. J., K. T. Jung, and E. K. Shin. 2012. A Analysis on Relative Importance of Brand Image Evaluation Factor of Network Dental Clinic with AHP.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 655-673. 

  19. Keller and L. Kevin.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 Kim, E. Y. and Y. S. Lee. 2002. The Effects of Subjective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and Evaluation Rules for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9): 1378-1389. 

  21. Kim, G. W. and Y. S. Jang. 2013. The Influence of Consumer Knowledge on Seafoo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4(1): 91-103. 

  22. Lee. B. H., Y. D. Kwak, and T. H. Lee. 2014. Effect of Green Management Activities in Hotels on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or Effect of Eco- Friendly Attitude of Customers,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6(4): 121-137. 

  23. Padel, S. and C. Foster. 2005. Exploring the Ga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ur - Understanding Why Consumers Buy or Do not Buy Organic Food. Br Food J. 107(8): 606-625. 

  24. Park, C. W. and V. P. Lessig. 1981. Familiarity and its Impact on Consumer Decision Biases and Heuristics.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8(2): 223-231. 

  25. Park. S. Y. and M. C. Bae. 2013. The Study of Consumer Knowledge on Cultural Structure of Apartment Living: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Journal of Culture Industry. 13(3): 21-31. 

  26. Ping, Jr. and R. A. 2004. On Assuring Valid Measures for Theoretical Models Using Survey Dat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125-141. 

  27. Raffaele, Z. and N. Simona. 2002. Consumer Motivations in the Purchase Organic Food. Br Food J, 104(8): 643-653. 

  28. Rao, A. R. and K. B. Monroe. 198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Cue Utilization i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253-264. 

  29. Selnes, F. and K. Gronhaug. 1986.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Product Knowledge Contrasted.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3: 67-71. 

  30. Seo, H. S. and J. H. Hwang. 2014. A Study on Attribution of Purchas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Villages for Rural Tourism. Korean J Organic Agri. 22(1): 47-65. 

  31. Shin, Y. A. and G. S. Min. 2011. Analysis of Purchase Factors which are Effected by Apartment Brand Images.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9(1): 113-124. 

  32. Zanoli. R. and S. Naspetti. 2002. Consumer Motivations in the Purchase of Organic Food: a Means End Approach. Br Food J. 104(8): 643-6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