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 모델의 사회적 특성 지각과 광고 효과성
Effects of ad endorser's gaze directions on social perception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1, 2015년, pp.3 - 14  

강정석 (SK 텔레콤 고객중심경영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d endorser's gaze direction is a salient nonverbal cue that consumers use in responding to advertisements. The gaze direction influences consumers' social perceptions (e.g., attractiveness, credibility) of the endorser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e.g., advertising attitudes, brand attitu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8) 광고 브랜드 명 회상은 개방형 질문으로 측정하였다. 국내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는 두 명의 30대 남성 실험 보조자가 실험 참가자가 회상한 브랜드 명이 실제 광고 브랜드 명과 일치 하는지를 분리된 장소에서 각자 판단하였다. 이때 두명의 실험 보조자는 연구 목적을 전혀 몰랐으며 두명의 판단 일치도는 100%였다.
  • 이상의 결과가 나온 이유는 다음과 같은 가능성 때 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주의 깊은 실험용 광고 제작 과정(예. 중간 매력도의 모델 선정, 광고 요소의 배치)을 통해 실험의 내적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실험은 일반적으로 통제된 상황에서 진행되는 실험실의 실험 보다 내적 타당도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Dandurand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응시 방향이 소비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총 8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온라인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광고 모델의 시선이 광고모델의 주요 사회적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와 광고 효과성(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를 알아본 선행 연구(Simpson, Sturges, & Tanguma, 2008; 성영신, 장영, 신주리, 2006)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 , 2002)를 참조하여, 본 연구는 광고 모델의 시선을 모델의 정면 응시, 좌측 응시 그리고 우측 응시로 세분하여 실험 조건(독립변인)으로 조작하였다. 이와 같은 광고모델의 시선 세분화를 통해 본 연구는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cerebral emotional asymmetry hypothesis)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 가설(예.
  • 이와 같은 본 실험의 방법적 한계를 극복하고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조건의 실험 참가자 반응 차이를 명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본 연구와 동일하게 중간 정도의 매력도를 가진 모델을 활용해서 실험실 연구를 다시 진행하는 것이다.
  • 선행 연구는 세 종류의 광고 모델 응시 조건에 무선적으로 배정된 실험 참가자 간 (1) 광고 모델과 맥주 제품의 이미지 일치성(Kamins & Gupta, 1994), (2)맥주 제품 관여도(Suh & Yi, 2006) 그리고 광고 회의 주의(Obermiller & Spangenberg, 1998)의 차이가 광고 모델의 응시 방향에 따른 모델의 사회적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에 혼입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와 같은 혼입 변인의 영향력을 점검하기 위해서 본 실험에 참가한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본 실험 실시 6개월 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참가자 중 총 49명(전체 본 실험 참가자의 32.
  • 본 연구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그와 관련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무명 광고 모델의 시선 변화라는 비언어적 단서를 활용해서 모델에 의해 유발된 긍정 감정(예. 선호도)이나 부정 감정(예. 기만감)이 광고 평가나 광고 브랜드 평가로 전이되는 현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그러나 유명인을 광고 모델로 활용하는 경우, 유명인 광고 모델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학습된 강한 감정이 모델의 시선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광고 평가나 광고 브랜드 평가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Erdogan, 1999).

가설 설정

  • 가설 3-3. 광고 브랜드 명 회상의 정확성은 정면 응시 조건에서 가장 높고, 좌측 응시 조건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 가설 3-2. 광고 브랜드 태도는 모델의 정면 응시 조건에서 가장 높고, 우측 응시 조건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 가설 3-1. 광고 태도는 모델의 정면 응시 조건에서 가장 높고, 우측 응시 조건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 가설 1-1. 모델 매력도는 광고 모델의 정면 응시 조건에서 가장 높고, 우측 응시 조건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 가설 1-2. 모델 선호도는 광고 모델의 정면 응시 조건에서 가장 높고, 우측 응시 조건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 모델의 역할은 무엇인가? 광고 모델은 소비자가 광고에 주목하게 만들며(MacInnis, Moorman, & Jaworski, 1991), 광고 모델에 의해서 유발된 긍정 감정을 광고 브랜드로 전이시키고(Erdogan, 1999), 광고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데(Freiden, 1984)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광고 연구자들이 광고 효과성을 높이는 것으로 기대되는 매력도와 신뢰성과 같은 광고 모델의 특성을 중심으로 광고 효과에 있어서 광고 모델의 역할을 연구해왔다.
소비자가 광고 모델을 매력적으로 느끼고 좋아할수록 얻는 이점은 무엇인가? 소비자가 광고 모델을 매력적으로 느끼고 좋아할수록, 광고 태도, 광고 브랜드 태도 그리고 광고 브랜드 구매 의향과 같은 광고 효과성이 높아진다(Cronley et al., 1999; Petroshius & Crocker, 1989).
광고 모델의 시선을 통해 얻은 소비자의 해석 내용은 어떤 것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소비자의 해석 내용(예. ‘광고 모델이 소비자인나에게 진실을 전달하려고 한다’)은 광고 모델의 사회적 특징에 해당되는 매력도(Kampe et al., 2001)와 신뢰성(Burgoon & Hale, 1988)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hearn, M., Gruen, T. W., & Jarvis, C. B. (1999). If looks could sell: Moderation and mediation of the attractiveness effect on salespers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6(4), 269-284. 

  2. Allison, T., Puce, A., & McCarthy, G. (2000). Social perception form visual cues: Role of the STS reg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7), 267-278. 

  3. Boush, D. M., Friestad, M., & Rose, G. M. (1994). Adolescent skepticism toward TV advertising and knowledge of advertiser tactic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1), 165-175. 

  4. Brumbaugh, A. M. (1993). Physical attractiveness and personality in advertising: More than just a pretty fa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0(1), 159-164. 

  5. Buck, R. & VanLear, C. A. (2002).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Distinguishing symbolic, spontaneous, and pseudo-spontaneous nonverbal behavior. Journal of Communications, 52(3), 522-541. 

  6. Burgoon, J. K. (1993). Interpersonal expectations, expectancy violations, and emoti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12(1/2), 30-48. 

  7. Burgoon, J. K. & Hale, J. L. (1988). Nonverbal expectancy violations: Model elaboration and application to immediacy behaviors. Communication Monographs, 55(1), 58-79. 

  8. Calder, A. J., Lawrence, A. D., Keane, J., Scott, S. K., Owen, A. M., Christoffels, I., & Young, A. W. (2002). Reading the mind from eye gaze. Neuropsychologia, 40, 1129-1138. 

  9. Cronley, M. L., Kardes, F. R., Goddard, P., & Houghton, D. C. (1999). Endorsing products for the money: The role of the correspondence bias in celebrity advertising.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6(1), 627-631. 

  10. Dandurand, F., Shultz, T. R., & Onishi, K. H. (2008). Comparing online and lab methods in a problem-solving experiment. Behavior Research Methods, 40(2), 428-434. 

  11. D'Argembeau, A. & Van der Linden, M. (2005). Influence of emotion on memory for temporal information. Emotion, 5(4), 503-507. 

  12. Drake, R. A. (1984). Lateral asymmetry of personal optimis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8, 497-507. 

  13. Drake, R. A. (1987). Conceptions of own versus others' outcomes: Manipulation by monaural attentional orientation.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7(3), 373-375. 

  14. Erdogan, Z. B. (1999). Celebrity endorsement: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4), 291-314. 

  15. Fein, S. (1996). Effects of suspicion on attributional thinking and the correspondence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164-1184. 

  16. Fein, S., Hilton, J. L., & Miller, D. T. (1990). Suspicion of ulterior motivation and the correspondence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753-764. 

  17. Forgas, J. P. & East, R. (2008). On being happy and gullible: Mood effects on skepticism and the detection of de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4(5), 1362-1367. 

  18. Freiden, J. B. (1984). Advertising spokesperson effects: An examination of endorser type and gender on two audienc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5), 33-41. 

  19. Freimuth, M. & Wapner, S. (1979). The influence of lateral organization on the evaluation of painting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0(2), 211-218. 

  20. Holbrook, M. B. & Batra, R. (1987).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404-420. 

  21. Homer, P. M. (1990).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Some additional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1), 78-86. 

  22. Hood, B. M., Macrae, C. N., Cole-Davies, V., & Dias, M. (2003). Eye remember you: The effects of gaze direction on face recognition in children and adults. Developmental Science, 6(1), 67-71. 

  23. Horai, J., Naccari, N., & Fatoullah, E. (1974). The effects of expertis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upon opinion agreement and liking. Sociometry, 37(4), 601-606. 

  24. Hovland, C. I., Janis, I. L., & Kelley, H. H. (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sychological Studies of Opinion Chan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5. Janiszewski, C. (1990). The influence of nonattended material on the processing of advertising claim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3), 263-278. 

  26. Kamins, M. A. & Gupta, K. (1994). Congruence between spokesperson and product type: A matchup hypothesis perspective. Psychology & Marketing, 11(6), 569-586 

  27. Kampe, K. K. W., Frith, C. D., Dolan, R. J., & Frith, U. (2001). Reward value of attractiveness and gaze. Nature, 413(6856), 589. 

  28. Kensinger, E. A. (2007). Negative emotion enhances memory accur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4), 213-218. 

  29. Kloth, N., Altmann, C. S., & Schweinberger, S. R. (2011). Facial attractiveness biases the perception of eye contact.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4(10), 1906-1918. 

  30. Krugman, H. E. (1972). Why three exposures may be enough.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2(6), 11-14. 

  31. Langton, S. R. H., Watt, R. J., & Bruce, V. (2000). Do the eyes have it? Cues to the direction of social atten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2), 50-59. 

  32. MacInnis, D. J., Moorman, C., & Jaworski, B. J. (1991). Enhancing and measuring consumers'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to process brand information from ads. Journal of Marketing, 55(4), 32-53. 

  33. Mason, M. F., Hood, B. M., & Macrae, C. N. (2004). Look into my eyes: Gaze direction and person memory. Memory, 12(5), 637-643. 

  34. Mason, M. F., Tatkow, E. P., & Macrae, C. N. (2005). The look of love: Gaze shifts and person perception. Psychological Science, 16(3), 236-239. 

  35. McGuire, W. J. (1985).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G. Lindzey & E. Aronson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Special Fields and Applications, New York: Random House, 233-346. 

  36. McLaughlin, J. P. (1986). Aesthetic preference and lateral preferences. Neuropsychologia, 24(4), 587-590. 

  37. Mead, A. M. & McLaughlin, J. P. (1992). The roles of handedness and stimulus asymmetry in aesthetic preference. Brain and Cognition, 20, 300-307. 

  38. Merckelbach, H. & Van Oppen, P. (1989). Effects of gaze manipulation on subjective evaluation of neutral and phobia-relevant stimuli. Acta Psychologica, 70, 147-151. 

  39. Moriarty, S. E. (1986). Creative advertising: Theory and practice. New Jersey: Prentice-Hall. 

  40. Obermiller, C. & Spangenberg, E. R. (1998).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consumer skepticism toward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7(2), 159-186. 

  41. Ohanian, R. (199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9(3), 39-52. 

  42. Petroshius, S. M., & Crocker, K. E. (1989). An empirical analysis of spokesperson characteristics on advertisement and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3), 217-225. 

  43. Roman, S. (2007). The ethics of online retailing: A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Ethics, 72(2), 131-148. 

  44. Silvera, D. H. & Austad, B. (2004). Factors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ment advertisemen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8(11/12), 1509-1526. 

  45. Simpson, P. M., Sturges, D. L., & Tanguma, J. (2008). The eyes have it, or do they? The effects of model eye color and eye gaze on consumer ad response. Journal of Applied Business and Economics, 8, 60-71. 

  46. Sorum, K. A., Grape, K. M., & Silvera, D. (2003). Do dispositional attributions regarding peer endorsers influence product evalua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4, 39-46. 

  47. Strick, M., Holland, R. W., & Van Knippenberg, A. (2008). Seductive eyes: Attractiveness and direct gaze increase desire for associated objects. Cognition, 106, 1487-1496. 

  48. Stromwall, L. A., Hartwig, M., & Granhag, P. A. (2006). To act truthfully: Nonverbal behavior and strategies during a police interrogation. Psychology, Crime & Law, 12, 207-219. 

  49. Suh, J. & Yi, Y. (2006). When brand attitudes affect the consumer satisfaction-loyalty re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6, 145-155. 

  50. Sung, Y., Jang, Y., & Shin, J. (2006).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eye-gaze direction and gender of celebrity endorser (유명인 모델과 소비자의 성별 일치성 및 모델의 시선 대상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70, 119-146. 

  51. Toris, C. & DePaulo, B. M. (1985). Effects of actual deception and suspiciousness of deception on interpersonal perce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5), 1063-1073. 

  52. Van der Waldt, D. L. R., Schleritzko, N. E. A., & Van Zyl, K. (2007). Paid versus unpaid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ing: An exploration.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1, 185-191. 

  53. Vrij, A., Akehurst, L., & Knight, S. (2006). Police officers', social workers', teachers' and the general public's beliefs about deception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11, 297-312. 

  54. Yi, Y. (1990). Cognitive and affective priming effects of the context for print advertisements. Journal of Advertising, 19(2), 40-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