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2, 2015년, pp.176 - 183  

서원호 ((주)아워홈 식품연구원) ,  김영권 ((주)아워홈 식품연구원) ,  장성호 ((주)아워홈 식품연구원) ,  백형희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haracterize the aroma properties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obtained by using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the volatile flavor and aroma-active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SD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편 편의 식품에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구운 불고기향을 반응향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하기 위하여,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gas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 법을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반응온도가 구운 불고기 반응향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온도에 따른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 활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때 피크면적 비와 함량 비의 상관계수는 1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anley CH. Process flavor. pp. 139-154. In: Source Book of Flavors. Reineccius GR (ed).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1994) 

  2. Manley CH, Ahmedi S. The development of process flavors. Trends Food Sci. Tech. 6: 46-51 (1995) 

  3. Manley CH. Process flavors and precursor systems: commercial preparation and use. pp. 16-25. In: Thermally Generated Flavors: Maillard, Microwave, and Extrusion Processes. Parliment TH, Morello MJ, McGorrin RJ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1994) 

  4. Manley CH, Choudhury BH, Mazeiko P. Thermal process flavorings. pp. 283-322. In: Food Flavorings. Ashurst PR (ed). Aspen Publishers, Gaithersburg, ML, USA (1999) 

  5. Camire ME, Belbez EO. Flavor formation during extrusion cooking. Cereal Food. World 41: 734-736 (1996) 

  6. Izzo HEV, Ho CHT. Ammonia affects Maillard chemistry of an extruded autolyzed yeast extract: Pyrazine aroma generation and brown color formation. J. Food Sci. 57: 657-659 (1992) 

  7. Kim KW, Baek HH. Development of a burnt beef flavor by reaction flavor techn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45-1052 (2003) 

  8. Baek HH, Kim CJ, Ahn BH, Nam HS, Cadwallader KR.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of a beeflike process flavor from extruded enzyme-hydrolyzed soybean protein. J. Agr. Food Chem. 49: 790-793 (2001) 

  9. Kim KW, Seo WH, Baek HH.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burnt beef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extrus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21-627 (2006) 

  10. Kang IH. Taste of Korea. Daehan Textbook Co., Seoul, Korea. pp. 178-179 (1987) 

  11. Cho IH, Kim TH, Kim Cho SM, Lee HJ, Kim YS.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ulgogi. Food Sci. Biotechnol. 11: 303-309 (2002) 

  12. Cho IH, Lee HJ, Kim YS.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ulgogi prepared by different heating procedures. Food Sci. Biotechnol. 14: 428-432 (2005) 

  13. Ko HS, Kim TH, Cho IH, Yang JY, Kim YS, Lee HJ. Aroma active compounds of bulgogi. J. Food Sci. 70: c517-c522 (2005) 

  14. van den Dool H, Kratz PD. A generalization of the retention index system including linear temperature programmed gas-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11: 463-471 (1963) 

  15. Ho CT, Chen Q. Lipids in food flavors: an overview. Vol. 558, pp. 2-18. In: Lipids in Food Flavors. Ho CT, Hartman TG (eds). ACS Symposium Series, New York, NY, USA (1994) 

  16. Ba HV, Oliveros MC, Ryu KS, Hwang IH. Development of analysis condition and detec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cooked hanwoo beef by SPME-GC/MS analysis. Korean J. Food Sci. An. 30: 73-86 (2010) 

  17. Tressl R, Rewicki D. Heat generated flavors and precursors. pp. 305-325. In: Flavor Chemistry: Thirty Years of Progress. Teranishi R, Wick EL, Hornstein I (ed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NY, USA (1999) 

  18. Mottram DS. The chemistry of meat flavor. pp. 5-26. In: Flavor of Meat, Meat Products and Seafood. Shahidi F (ed).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London, UK (1998) 

  19. Rssner J, Velioek J, Pudil F, Davidek J. Strecker degradation product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s and their amides. Czech J. Food Sci. 19: 41-45 (2001) 

  20. Schrader J. Microbial flavor production. Vol. 558, pp. 507-574. In: Flavors and Fragrances. Berger RG (ed). Springer, New York, NY, USA (2007) 

  21. Weenen H, Van Der Van JGM. The formation of Strecker aldehydes. Vol. 558, pp. 183-195. In: Aroma Active Compounds in Foods. Takaoka GR, Gntert M, Engel KH (eds). ACS Symposium Series, New York, NY, USA (2001) 

  22. Cerny C, Grosch W. Evaluation of potent odorants in roasted beef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Z. Lebensm. Unters. For. 194: 322-325 (1992) 

  23. Lindsay RC. Flavors. pp. 723-765. In: Food Chemistry. Fennema OR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1996) 

  24. Jousse F, Jongen T, Agterof W, Russell S, Braat P. Simplified kinetic scheme of flavor formation by the Maillard reaction. J. Food Sci. 67: 2534-254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