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의 로스팅법에 따른 보리차의 향 특성
Effects of barley roasting methods on the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5, 2018년, pp.464 - 473  

정우영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수정 (샘표식품 주식회사) ,  김병구 (샘표식품 주식회사) ,  허병석 (샘표식품 주식회사) ,  백형희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의 로스팅법이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세 종류의 로스팅법(에어, 드럼과 혼합)으로 로스팅하였다. 로스팅한 보리로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법을 이용하여 보리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및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에서는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에어 로스팅과 혼합 로스팅 순으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의 경우에도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로스팅법에서 퓨란류와 피라진류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는 페놀류의 함량이,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는 피롤류의 함량이 높았다.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로 과이어콜, 2-아세틸피라진, 푸르푸릴알코올, 2-메톡시-4-바이페놀, 감마-뷰티로락톤, 푸르푸랄 및 3-에틸-2,5-다이메틸피라진 등이 동정되었다. 보리의 로스팅법은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에 영향을 주었으며 생보리와 자숙보리 모두 드럼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가 가장 강했고, 혼합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는 약하였다. 특히, 에어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는 과이어콜과 2-메톡시-4-바이닐페놀 같은 페놀류 향 활성 화합물의 향 강도가 높았다. 에어 로스팅법은 로스팅 시간(약 5분)이 드럼 로스팅(35-55분) 보다 짧아 시간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다른 로스팅법에 비해 탄 향을 나타내는 페놀류의 함량이 높아서 보리차의 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드럼 로스팅법은 캐러멜향 및 고소한 향 특성을 갖는 퓨란류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보리차의 향미 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보리보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하면 향의 강도가 더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asting methods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boricha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gas chromatography (GC)-mass spectrometry and GC-olfactometry. The barley roasting methods tested were air roasting (AR), drum roastin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로스팅법에 따른 보리차의 휘발성 성분의 변화를 비교하고, GC-olfactometry-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GC-O-AEDA)를이용하여 로스팅법에 따른 보리차의 향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보리차 제조 시의 효율적인 보리 로스팅법을 찾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휘발성 향기성분의 농도는 추출 시 내부표준물질로 사용한 3-헵탄올의 피크 면적 대비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피크 면적을 피크 면적비(peak area ratio)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해 정량하였다. 이 때 피크 면적비와 중량비의 상관계수(response factor)는 1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차란 무엇인가? 보리차는 보리를 볶은 후 물에 우려 먹는 음료로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음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보리차는 주로 가정에서제조하여 먹었지만 1984년에는 보리를 이용한 청량음료가 개발되어 판매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가공식품(다류, 액상차)으로제조되어 유통되고 있다(Yoon과 Kim, 1989).
생보리와 자숙보리의 로스팅 시, 휘발성 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보리의 로스팅법은 무엇인가? 로스팅한 보리로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법을 이용하여 보리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및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에서는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에어 로스팅과 혼합 로스팅 순으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의 경우에도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로스팅법에서 퓨란류와 피라진류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는 페놀류의 함량이,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는 피롤류의 함량이 높았다.
보리차의 향기성분이 생성되는 과정은? 향은 차의 특성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가열된 식품에서 매우 중요하다(Harding 등, 1978; Yang 등,2013). 보리차는 보리를 볶는 로스팅 과정에서 열분해 및 메일라드 반응에 의해 대부분의 향기성분이 생성된다(Collins, 1971). 향은 보리차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제조업자마다 원료 및 로스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좋은 품질의 보리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로스팅 공정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erny C, Grosch W. Precursors of ethyldimethylpyrazines isomers and 2,3-diethyl-5-methylpyrazine formed in roasted beef. Z. Lebensm. Unters. For. 198: 210-214 (1994) 

  2. Collins E. Steam volatile components of roasted barley. J. Agr. Food Chem. 19: 533-535 (1971) 

  3. Fors SM, Olofsson BK. Alkylpyrazines, volatiles formed in the Maillard reaction. I. Determination of odour detection thresholds and odour intensity functions by dynamic olfactometry. Chem. Senses 10: 287-296 (1985) 

  4. Harding RJ, Wren JJ, Nursten HE. Volatile basic compounds derived from roasted barley. J. I. Brewing 84: 41-42 (1978) 

  5. Hofmann T, Schieberle P. Evaluation of the key odorants in a thermally treated solution of ribose and cysteine by aroma extract dilution techniques. J. Agr. Food Chem. 43: 2187-2194 (1995) 

  6. Joung WY, Kim SJ, Kim BG, Hurh BS, Baek HH. Effect of roasting degree of barley on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Korean J. Food Sci. Technol. 50: 123-131 (2018) 

  7. Koetz R, Neukom H. Formation of cyclopentanedione by alkaline degradation of carbohydrates. Carbohyd. Res. 42: 365-368 (1975) 

  8. Lee MJ, Kim SE, Kim HJ, Lee SW, Yeum DM.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55-261 (2013) 

  9. Maga JA, Katz I. Simple phenol and phenolic compounds in food flavor. Crit. Rev. Food Sci. 10: 323-372 (1978) 

  10. Mayer F, Czerny M, Grosch W. Sensory study of the character impact aroma compounds of a coffee beverage. Eur. Food Res. Technol. 211: 272-276 (2000)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oduction of food and food additives.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Accessed Sep. 25, 2017. 

  12. Murkovic M, Bornik MA. Formation of 5-hydroxymethyl-2-furfural (HMF) and 5-hydroxymethyl-2-furoic acid during roasting of coffee. Mol. Nutr. Food Res. 51: 390-394 (2007) 

  13. Murkovic M, Pichler N. Analysis of 5-hydroxymethylfurfural in coffee, dried fruits and urine. Mol. Nutr. Food Res. 50: 842-846 (2006) 

  14. Nebesny E, Budryn G, Kula J, Majda T. The effect of roasting method on headspace composition of robusta coffee bean aroma. Eur. Food Res. Technol. 225: 9-19 (2007) 

  15. Nowakowski DJ, Woodbridge CR, Jones JM. Phosphorus catalysis in the pyrolysis behaviour of biomass. J. Anal. Appl. Pyrol. 83: 197-204 (2008) 

  16. Pamela DC, Franca AS, Oliveira LS, Augusti R. Discrimination between defective and non-defective Brazilian coffee beans by their volatile profile. Food Chem. 106: 787-796 (2008) 

  17. Peleg H, Naim M, Zehavi U, Rouseff RL, Nagy S. Pathways of 4-vinylphenol formation from ferulic acid in model solutions of orange juice. J. Agr. Food Chem. 40: 764-787 (1992) 

  18. Sanz C, Ansorena D, Cid C, Bello J. Optimizing headspace temperature and time sampling for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ground roasted Arabica coffee. J. Agr. Food Chem. 49: 1364-1369 (2001). 

  19. Seo JS, Jun JG.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34-339 (1981) 

  20. Shimoda M, Shiratsuchi H, Nakada Y, Wu Y, Osajima Y. Ident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esame seed oil. J. Agr. Food Chem. 44: 3909-3912 (1996) 

  21. Yang J, Baldermann S, Watanabe N. Recent studies of the volatile compounds in tea. Food Res. Int. 53: 585-599 (2013) 

  22. Yoon SK, Kim WJ.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75-582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