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계열학과 국가역량체계(NQF)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Reform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511 - 4519  

이성희 (삼육보건대학교 뷰티헤어과) ,  안경민 (삼육보건대학교 뷰티헤어과)

초록

국내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NQF)의 개선안 마련을 위해 해외 국가별 자격체계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국 내외 자격수준체계는 Level 8을 도입 또는 시행, 수정 중에 있다. 미용계열의 자격체계 개선을 위해 고등학교부터 석 박사과정까지 미용계열 학과의 각 교육과정에 준하는 자격증과 자격명칭의 개발과 더불어 미용계열에는 없는 산업기사 및 피부 네일 메이크업과정을 위한 기능장 자격증이 신설되어야 한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해 미용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자격을 취득하여 능력이 존중받는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 hav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national certifications and qualifications systems in overseas countries in order to come up with improvement alternatives to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NQF). Most national certifications and qualifications systems at home and abroad have introduced, i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차별화를 위해 국가별 자격체계의 총체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아니라 국내 미용 산업 분야의 향후 자격제도 측면에서의 방향과 신규 자격종목 도입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가별 NQF의 운영 현황과 국내의 미용계열 자격체계 및 현황, 국가별 자격체계 분석 자료 등에 대한 종합적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미용계열 학과 자격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자격체계의 구축 과정은? ’고 명시하고 있다. 국가자격체계의 구축 과정은 탐색, 개념화, 설계, 시험, 시행, 재검토 등의 6단계로 정의하고 있다[6, 7]. NQF는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고 학습의 결과물을 역량 수준에 따라 체계화하는 틀이며 이를 기반으로 학위와 자격증 등의 학습결과를 상호 인정하고 연계하여 교육자격과 직업자격, 현장경험을 포함하여 개인의 능력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8].
국가자격체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가자격체계의 구축 과정은 탐색, 개념화, 설계, 시험, 시행, 재검토 등의 6단계로 정의하고 있다[6, 7]. NQF는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고 학습의 결과물을 역량 수준에 따라 체계화하는 틀이며 이를 기반으로 학위와 자격증 등의 학습결과를 상호 인정하고 연계하여 교육자격과 직업자격, 현장경험을 포함하여 개인의 능력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8].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란 자격기본법 제2조1항에 의하면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위하여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분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체제이자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학교교육과 자격 제도, 직업훈련을 상호연계가 가능하도록 체계화하는 것이다. NQF는 NCS에 따라 편성·운영되는 교육·훈련과정을 규정된 수준으로 이수한 사람에게 국가기술자격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NCS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NQF의 연계개념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and Implications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Korea Social Policy Review, Vol. 19, No.4, pp.10-13, 2012. 

  2. Y. Y. Choi, The 50t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Policy Forum - Application Plan of Labor Market in NQ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4, 2014. 

  3. OECD, Changing qualification System: Bridges to Lifelong Learning. OECD, in Paris, 2007. 

  4. Cedefop, Changing qualifications: A review of qualifications policies and practices, Luxenbourg: Publications Office if the European Union, 2010. 

  5. H. M. Kim, Build-up Trend of Foreign NQ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3. 

  6. Tuck, R., An introductory guide to NQFs, Geneva: ILO., 2007. 

  7. Bjorna8vold, Jens and Mike Coles, Added Value of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s in Implementing the EQF, European Qualifications Framework Series: Note 2,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0. 

  8. J. Y. Jo, H. J. Ho, Policy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NQ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p.1-2, 2013. 

  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Demonstration Project Seminar for NQF, 2015. 

  10. BMBF(Bundesministerium fur Bildung und Forschung). Grund-und Strukturdaten 2005, 2005. 

  11. J. H. Yun, Qualifications in German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0. 

  12. D. J. Kim,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completing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Cours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yongji University, 2012. 

  13. D. L. Lee, NQF governance of Foreign and Implica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3. 

  14. M. K. Kim,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in the France and Czec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0. 

  15. The Qualifications and Credit Framework(QCF) and higher education, 2010 [Internet], http://www.qcda.gov.uk(April, 01, 2015) 

  16. Qualifications and Credit Framework[Internet],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Qualifications_and_Credit_Framework(Feb., 24, 2015). 

  17. New Zealand Qualifications Framework[Internet], NZQF, http://www.nzqa.govt.nz/studying-in-newzealand/understand-nz-quals/nzqf(Feb., 24, 2015). 

  18. B. W. Son, J. S. Kim, K. W. Lee, J. T. Kim, Study on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s in the Engl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0. 

  19. D. J. Kim, J. H. Park, B. O. Son, J. H. Yun, A study on the operation of foreign qualificatio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0. 

  20. BiBB(Bundesinstitut fur Berufsbildung), "Wie entstehen Ausbildungsberufe?" 2003, 2003. 

  21. European Commission, Learning Opportunities and Qualifications In, http://ec.europa.eu/ploteus/search/site?f%5B0%5Dim_field_entity_type%3A97(Jun, 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