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공간별 미세먼지농도 비교 데이터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Airborne Dust Concentration Data of Indoor Rooms on a Building Model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4, 2015년, pp.55 - 62  

이상익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이진국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ational concern on the inhalable fine dust is continuing to increase. In addition to the toxic properties of the fine dust itself, it can be more dangerous tha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ince the dust pollution is hard to be detected by human sense. Although the information on outdoo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때문에 시각화 범위를 여러 공간으로 넓혀 개별 공간들의 미세먼지농도를 비교 및 상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넓은 공간단위에서 미세먼지농도의 분포가 어떠한지를 전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단순 측정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이 아니라 개별 공간들의 상대적인 오염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인접한 공간들을 동시에 측정 및 시각화한다. 또한 이를 대상공간의 도면상에 시각화하여, 미세먼지농도 분포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하며 동시에 실내 미세먼지 오염과 공간의 건축 환경 사이의 관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의 목적은,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주자가 느끼거나 측정하기 어려운 실내 미세먼지농도를 각 넓은 범위에서 시각화하기 위한 하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제안 하고 구현함으로써, 수치뿐만 아닌 대상공간의 도면이나 건물모델과 함께 파악 및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현된 시각화 시스템의 특징 및 주안점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실내 미세먼지환경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 측정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이 아니라 개별 공간들의 상대적인 오염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인접한 공간들을 동시에 측정 및 시각화한다.
  • 그러나 광학식 센서의 특성상 입자분리가 어려우며 중량법 등 다른 측정방식에 비해 아직은 정확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값을 중량법 등을 표준 측정방법으로 사용한 법규 및 가이드라인에서의 권고기준 및 대기 미세먼지농도 데이터와 직접 비교하기보다는 측정값을 시간별, 공간별로 시각화하여 상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농도의 정밀한 측정이나 데이터 분석 자체가 아닌, 데이터의 측정 및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공기환경을 파악하거나 실별 측정값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화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구현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용이한 광산란 측정방식 기반의 센서(Sharp Optical Dust Sensor, GP2Y1010AU0F)를 사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센서의 제어는 Arduino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 (3) 시각화할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제어 창을 통해 시간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세먼지농도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실외 대기의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는 기상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반면 실내의 미세먼지 오염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일부 기기를 통해 얻는 대략적인 수치 이외에는 없으며, 이마저도 특정 공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다수의 미세먼지농도센서 및 제어기기를 활용하여 실내 공간 별 미세먼지농도 값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방법을 개발 및 구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산란법이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 , 2010). 광산란법은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입자분리가 어렵고 오차율이 높은 편이다. 특히 광산란법을 통한 측정값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강우량이 적을 경우 심하다(Kim et al.
실내 미세먼지 데이터의 측정부터 시각화까지의 과정을 두 단계로 분리하면? 실내 미세먼지 데이터의 측정부터 시각화까지의 과정은 두 단계로 분리할 수 있다. 먼저 센서 제어, 측정신호의 수집, 결합할 대상공간의 도면생성 등 시각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가 있으며 이는 Arduino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미세먼지농도 측정값, 센서작동 시간, 센서위치 등이 있다. 측정값의 경우 수집하여 시각요소로 매핑하는것 뿐 아니라 축적된 데이터셋으로부터 시각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처리단계를 거쳐야 한다. 다음 단계인 데이터 매핑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상호작용 가능한 형태로 시각화하는 프로그램 및 개발환경인 Processing 환경에서 데이터가 매핑될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 데이터를 할당하여 시각요소로 표현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는 데이터는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와 건물도면 데이터 두 종류가 있으며 각 데이터 타입은 Processing 상에서 별도의 레이어에 매핑되어 시각화된 후 결합되어 시각화 결과물을 생성한다.
공기 중 미세입자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공기 중 미세입자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중량 포집법, 베타선 흡수법, 광산란법이 있다(Ki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irkorea. http://www.airkorea.or.kr/ 

  2. Arduino. http://www.arduino.cc/ 

  3. Bae, H. 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5), 346-354. 

  4. Cho, Y. S., Lee, H. S., Kim, Y. S., Lee, J. T., & Park, J. S. (2003).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Sungdong Area,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2(6), 665-676. 

  5. Kim, J. H., Oh, J., Choi, J. S., Ahn, J. Y., Yoon, G. H., & Park, J. S. (2014). A Study on the Correction Factor of Optic Scattering PM2.5 by Gravimetric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4(1), 41-47. 

  6. Kim, J. Y. (2011). Risk analysis of size-related airborne particulate matters in urban area.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ie University, Seoul. 

  7. Kim, S. J., Kang, H. S., Son, Y. S., Yoon, S. Y., Kim, J. C., Kim, K. S., & Kim, I. W. (2010). Compensation of Light Scattering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s in Subway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net, 26(5), 533-542. 

  8. Kim, S. J., Son, Y. S., Kang, H. S., Kim, J. C., Lee, J. H., Kim, K. S., & Kim, I. W. (2009). Compensation of Particulate Matter Measurement by Light Scattering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net, 2009(10), 613-615. 

  9. Kim, S. Y., & Eric Paulos (2010). inAir: Sharing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s and Visualization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10, 1861-1870. 

  10. Kim, Y. D. (2015. 3. 13.). Proposal of Enhanced Law on Fine Particle Filtering Criteria i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News1 Korea, http://news1.kr/articles/?2136168 

  11. Parallax Inc. PLX-DAQ. https://www.parallax.com/ 

  12. Processing. https://processing.org/ 

  13. Sharp, Datasheet of Optical Dust Sensor (gp2y1010au0f). https://www.sparkfun.com/datasheets/Sensors/gp2y1010au_e.pdf 

  14. Shin, M. K., Lee, S. I., Lee, H. S., & Lee. J. K. (2014).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Approach for Visualiztion of Indoor Environmental Data. Design Convergence Study, 13(4), 106-117. 

  15. Valavanidis, A., Fiotakis, K., & Vlachogianni, T. (2008).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Health: Toxicological Assessment and Importance of Size and Composition of Particles for Oxidative Damage and Carcinogenic Mechanism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26(4), 339-362.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Air quality guidelines for particulate matter, ozone, nitrogen dioxide and sulfur dioxide. Geneva: WHO Press. 

  17. Zuo, Y. X., & Kim, H. H. (2014). A Study on the Effectiv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Visualization-Focusing on the First Page of Weather Forecasting Application. Journal of Degital Design, 14(3), 84-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