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첨가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아로니아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602 - 611  

이아름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오은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정연정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노재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윤향식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기열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이기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엄현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막걸리 제조 시 아로니아의 첨가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후, 발효하면서 항산화 활성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는 생과와 마쇄한 형태로 첨가하였고, 쌀 함량의 10%, 30% 그리고 50%로 하였다. 막걸리의 pH는 발효 초기에 생과를 첨가한 시료가 3.9~4.2로, 마쇄하여 첨가한 시료(3.6~3.9)보다 높았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과로 첨가한 경우는 pH가 낮아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총산의 경우는 초기 발효에는 생과보다 마쇄한 시료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발효가 진행될수록 총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감소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1단 담금 시 11.4%로 나타났고, 2단 담금 6일 후에는 10~15%였으며, 특히, 아로니아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1단 담금 시 보다 낮은 에탄올 함량을 보였으며, 마쇄하여 첨가할수록 더 낮은 알코올함량을 보였다. 색도 중 a값(적색도)을 비교했을 때 생과 사용 시 천천히 a값이 높아져 마지막 날에는 생과 처리구 간 유의적으로 차이가 났지만, 마쇄한 경우는 처음부터 마지막 발효까지 높은 a값을 가져 생과를 처리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함량 측정과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는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였는데, 생과첨가군의 경우 초기에는 낮은 값을 가지다가 발효가 진행하며 급속히 증가하였고, 마쇄첨가군에서는 초기에서부터 높은 값을 가졌다. 또한 아로니아를 30% 첨가하여도 50%를 첨가한 것과 같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생과 30%를 첨가한 시료가 색, 쓴맛,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아 관능적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를 첨가한 기능성 막걸리의 특성을 보았을 때 아로니아를 마쇄한 형태보다 생과 형태로 30%를 첨가하는 것이 관능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onia melanocarpa (Rosaceae family), black chokeberry, has significantly higher anthocyanin,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ber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content of aroni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 such as fresh-type and crushed-ty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양갱(Hwang & Lee 2013)과 식빵(Yoon 등 2014), 설기떡(Park EJ 2014), 청포묵(Hwang & Nhuan 2014) 등에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한 연구와 최근 아로니아 막걸리를 제조 시 입국과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한 뒤, 안토시아닌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Lee 등 2014)가 진행되었지만, 보다 다양한 가공품 및 발효식품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첨가시기, 첨가량 및 첨가 방법에 따라 막걸리를 제조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과 색의 불안정 등이 나타남을 발견하여 이런 다양한 현상들을 고려한 아로니아를 첨가한 막걸리 발효 시 최적의 첨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는 무엇을 원료로 하는가?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주로 일명 탁주라고도 불리며, 쌀, 보리, 밀가루 또는 다양한 곡물과 누룩을 원료로 하고(Cho 등 2012), 이 누룩에 포함된 미생물 중 곰팡이의 효소에 의하여 전분이 당화되는 동시에 분해된 당을 효모가 이용하여 알코올로 전환하는 병행복발효주에 해당한다(Rhee 등 2003). 일반적인 막걸리는 유백색의 흐리고 탁한 빛깔을 가지며,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우러져 감칠맛과 청량감을 느낄수 있고(Park CK 2006; Lee 등 2010; Lee SW 2010), 생효모, 비타민 B군 및 lysine과 leuc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한 기능적 단백질 glutamic acid, proline, glutathion 등을 함유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Song & Park 2003).
막걸리 제조 시 아로니아를 생과와 마쇄한 형태로 첨가하였을 경우 pH는 어떤 양상을 나타냈는가? 아로니아는 생과와 마쇄한 형태로 첨가하였고, 쌀 함량의 10%, 30% 그리고 50%로 하였다. 막걸리의 pH는 발효 초기에 생과를 첨가한 시료가 3.9~4.2로, 마쇄하여 첨가한 시료(3.6~3.9)보다 높았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과로 첨가한 경우는 pH가 낮아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총산의 경우는 초기 발효에는 생과보다 마쇄한 시료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발효가 진행될수록 총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로니아에 포함된 짙은 자줏빛을 띠며 항산화물질, 천연색소로 사용 가능한 것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라고도 알려져 있으며(Wu 등 2008), 그 원산지는 북부 아메리카지역이지만, 현재 유럽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며,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Wu 등 2008; Hwang & Lee 2013). 색과 향이 좋아 잼, 와인, 주스, 차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식자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고 (Oszmianski & Wojdylo 2005), 아로니아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안토시아닌은 짙은 자줏빛을 띠며 항산화물질, 천연색소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그밖에 페놀산류, 플라보노이드류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은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Ohgami 등 2005), 항당뇨 효과(Jankowski 등 1999), 면역조절기능 (Gasiorowski 등 2000)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USA. pp. 176-180 

  2.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3.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0-1315 

  4. Cho HK, Lee JY, Seo WT, Kim MK, Ch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728-735 

  5. Gasiorowski K, Brokos B, Tabaka H. 2000. Evaluation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four compounds exerting antimutagenic effects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Cell Mol Biol Lett 5:469-481 

  6.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20-1226 

  7. Hwang ES, Nhuan DT.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161-169 

  8. Jankowski A, Niedworok J, Jankowska B. 1999. The influence of Aronia melanocarpa Elliot on experimental diabetes in the rats. Herba Polonica 45:345-353 

  9. Jin TY, Kim ES, Wang SJ, Wang M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09-314 

  10. Joung EJ, Paek NS, Kim YM. 2004.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Korean J Food Nutr 17:199-205 

  11. Kim BH, Eun BJ.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417-421 

  12.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a.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13. Kim GW, Lee JH, Lee SA, Shim JY. 2010. Brewing characteristics of grape-makgeolli. Food Eng Prog 16:263-269 

  14. Kim JS, Nam YJ, Kwon TW. 1996. Induction of quinine reductase by genistein, soybean isoflavone. Food Sci Biotechnol 5:70-75 

  15. Kim OS, Park SS, Sung JM. 2012b.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693-1700 

  16. Kim SH, Park JM, Yoon HS, Song DN, Song IG, Eom HY. 2013.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added paprika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45:578-582 

  17.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li. Korean J Food Nutr 22:606-611 

  18.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6-62 

  19. Lee JH, Park AR, Choi DW, Kim JD, Kim JC, Ahn JH, Lee HY, Choe M, Choi KP, Shin IC, Park HJ. 2011.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4 Korean wild sannamuls. Korean J Medicinal Crop 19:111-116 

  20. Lee SA, Kim GW, Hwang ES, Shim JY. 2014.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aronia makgeolli. Food Engineering Progress 18:374-381 

  21.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06-212 

  22. Lee SJ, Kwon YH, Kim HR, Ahn BH. 2007.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Food Sci Biotechnol 16:374-380 

  23.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71-79 

  24. Lee SW. 2010. Brands of Korean liquor makgeolli. Korean J Marketing 44:53-64 

  25. Lu Y, Foo LY. 2000.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68: 81-85 

  26. Luchsinger WW, Cornesky RA. 1962. Reducing power by the dinitrosalicylic acid method. Anal Biochem 4:346-347 

  27. Mikulic-Petkovsek M, Schmizer V, Slatnar A, Stampar F, Veberic R. 2012. Composition of sugar, organic acid, and total phenolics in 25 wild of cultivated berry species. J Food Sci 77:C1064-C1070 

  28. NTSTSI. 2005.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p. 195-198 

  29. Ohgami K, Ilieva I, Shiratori K, Koyoma Y, Jin X, Yoshida K, Kase S, Kitaichi N, Suzuki Y, Tanaka T, Ohno S. 2005.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onia extract on rat endotoxininduced uveit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6:275-281 

  30.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 809-813 

  31. Park CK. 2006. Changes in pH, total titratable acidity, and microbial cell numbers of takju seed mashes during brewing. Theses collection, Chung-Ju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32.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96-302 

  33. Park E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646-653 

  34. Rhee SJ, Lee CYJ, Kim KK, Lee CH. 2003.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242-247 

  3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152-159 

  36.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i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88-293 

  37.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746-768 

  38.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47-854 

  39. Urquiaga I, Leighton F. 2000.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55-64 

  40.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7846-7856 

  41. Yoon HS, Yu R, Noh JG, Kim YG, Kim SH, Choi SU, Han NS, Eom HJ.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ffed snack using miscellaneous cereals and grain crops. Korean J Food Nutr 27:962-970 

  42. Yoon JM, Cho MH, Hahn TR, Paik YS, Yoon HH. 1997.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211-2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