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윤리 요인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about Ethical Issue and Contents on Their Job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8, 2015년, pp.236 - 257  

전오진 (한국갈등관리연구원) ,  박선화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식 (호서대학교 노인복지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윤리적 조직풍토, 윤리적 민감성 그리고 도덕적 고충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소진 그리고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충남지역의 사회복지사 253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 소속기관의 윤리적 조직 풍토 인식이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지만, 소진과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했다. 둘째, 윤리적 민감성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소진과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직접적인 경험으로 유발되는 도덕적 고충이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소진이나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사회복지조직의 윤리적 조직풍토 조성을 위해서는 청렴교육과 운영자의 윤리경영의식을 높여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 제고를 위한 청렴교육 및 감수성 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ethical climate, ethical sensitivity, and moral distress influenc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First,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ethical climate in their organization enhanced job satisfaction and lowered tur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윤리적 조직풍토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Victor와 Cullen[23]는 윤리적 기준(이기주의, 박애주의, 원칙주의)과 분석수준(개인, 조직, 사회)에 따라 9가지 유형의 윤리적 조직풍토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자기이익형은 각 개인들이 자신의 독점적 자기이익을 고려하는 유형이며, 회사이익형은 회사의 이익이 최우선되는 유형이다. 효율형은 집단의 주요 관심사가 시스템에서 각 구성원들이 자원을 유용하게 사용하는가 하는 것으로서 조직 활동 등 시스템의 효율성이 우선시되는 유형이다. 우정형 풍토는 작업 집단의 규범이 조직적 맴버십의 관여 없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강조하는 유형이며 팀이익형 풍토는 모든 사람이 팀 또는 응집력있는 집단으로서 서로 함께 일하는 것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사회적 책임형은 조직행동의 결과가 조직외부의 고객과 공중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시하는 유형이며, 개인적 도덕형은 각 구성원들이 자신의 개인적 도덕신념에 입각하여 윤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형이며, 규칙과 절차형은 조직내의 의무규정과 절차를 우선시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법과 강령형은 조직외부의 통제기구를 중요시하는 유형이다[9]. Victor와 Cullen은 9개 윤리적 조직풍토 유형에 각각 4개의 문항을 구성하여 36문항의 윤리적 풍토 설문지(Ethical Climate Questionnaire : ECQ)를 개발하였다.
윤리적 조직풍토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윤리적 조직풍토(Ethical Climate) 개념을 본격적으로 제기한 Victor와 Cullen[23]에 따르면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가, 그리고 윤리적 이슈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한 공유된 지각”(p. 51)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윤리적인 조직 환경 조성이 필요한 이유는? 최근 사회복지시설의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이나 수용자 인권 유린 사례에서 보듯이 사회복지시설의 비윤리적 행위가 개인의 비위 행위 차원을 넘어서 조직차원에서 얼마나 용인되고 비호되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윤리적인 조직 환경 조성은 개인의 비윤리적 행위를 억제하고 조직적인 비윤리적 행위를 해소하여 높은 수준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윤리적 조직풍토 조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4)

  1. S. Banks, "Critical Commentary : Social Work Ethics,"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38, pp.1238-1249, 2008. 

  2. S. S. Manning, "The Social Worker as Moral Citizen : Ethics in Action," Social Work, Vol.42, No.3, pp.223-230, 1997. 

  3. 이강희,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사회복지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10권, 제2호, pp.59-84, 2013. 

  4. 이세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1호, pp.53-76, 2008. 

  5. 주석진, "학교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윤리적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7권, 제2호, pp.45-70, 2010. 

  6. 정기원,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 : 비판적 사고 모형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pp.189-211, 2003. 

  7. 최명민, "사회복지사 윤리적 민감성 검사도구 (SWEST)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2호, pp.5-28, 2008. 

  8. 주석진, 조성심, "학교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윤리관련특성요인이 윤리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1호, pp.21-40, 2012. 

  9. 최상훈, 김정아, 권경자,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윤리풍토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55-82, 2011. 

  10. 오승환, "사회복지시설의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바람직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7권, 제4호, pp.91-122, 2015. 

  11. 강성경, "이중관계와 관련된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교육",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2권, pp.31-49, 2010. 

  12. 오승환, 박경일, "윤리경영이 조직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8권, pp.45-75, 2014. 

  13. 강병노, 김한욱,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윤리경 영모델개발을 위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3호, pp.105-139, 2012. 

  14. 양옥경, 최명민, "사회복지기관 윤리경영 자가점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2권, 제2호, pp.43-77, 2010. 

  15. 최소연, "사회복지시설의 조직윤리에 관한 연구 : 윤리적 리더십, 조직윤리풍토, 조직유효성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5권, 제4호, pp.313-344, 2013. 

  16. 김동원,l 조남신, "의료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과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1권, 제2호, pp.221-244, 2012. 

  17. 조운희,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문화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제36권, pp.235-262, 2011. 

  18. 김용민,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전문적 능력이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125-153, 2011. 

  19. 조성희, 성정현,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종사자의 윤리의식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259-281, 2014. 

  20. D. C. Menzel, "Ethics Induced Stress in the Local Government Workplace",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22, No.4, pp.523-536., 1993. 

  21. R. Deady and J. McCarthy, "A Study of The Situations, Features, and Coping Mechanisms Experienced by Irish Psychiatric Nurses Experiencing Moral Distress,"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Vol.46, No.3, pp.209-220, 2010. 

  22. J. Schluter, S. Winch, K. Holzhauser, and A. Henderson, "Nurses' Moral Sensitivity and Hospital Ethical Climate: A literature review," Nursing ethics, Vol.15, No.3, pp.304-321, 2008 

  23. B. Victor and J. B. Cullen, "A Theory and Measure of Ethical Climate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Policy, Vol.9, pp.51-71, 1987. 

  24. 김호정, "윤리풍토 인식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 경상남도 행정조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6권, 제4호, pp.255-285, 2007. 

  25. D. R. Denis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 Native's Point of View on a Decade of Paradigm War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3, pp.619-654, 1996. 

  26. E. D. Raile, "Building Ethical Capital : Perceptions of Ethical Climate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73, No.2, pp.253-262, 2012. 

  27. B. Victor and J. B. Cullen, "The Organizational Bases of Ethical Work Climat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3, pp.101-125, 1988. 

  28. D. M. May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thical Climate and Culture," Benjamin Schneider, Karen M. Barbera (eds.),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9. J. R. Rest, "Morality," in Fravell, J. H. & E. M. Markma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ognitive Development. N. Y. : John Wiler & Sons, pp.556-629, 1983. 

  30. S. R. Sirin, M. M. Brabeck, A. Satiani, and L. Rogers-Serin, "Validation of a Measure of Ethical Sensitivity an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Previous Multicultural and Ethics Courses on Ethical Sensitivity," Ethics & Behavior, Vol.13, No.3, pp.221-234, 2003. 

  31. M. J. Bebeau, J. R. Rest, and C. M. Yamoor, "Measuring Dental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49, pp.225-235, 1985. 

  32. K. Weaver, J. Morse and C. Mitcham, "Ethical Sensitivity in Professional Practice :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5, pp.607-618, 2008. 

  33. C. Ulrich, P. O'Donnell, C. Taylor, A. Farrar, M. Danis, and C. Grady, "Ethical Climate, Ethics Stres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5, No.8, pp.1708-1719, 2007. 

  34. K. Lutzun, A. Johansson, and G. Nordstrom, "Moral Sensitivity : Some Differences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Nursing Ethics, Vol.7, No.6, pp.520-530, 2000. 

  35. 최도림, 조영선, "윤리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0 권, 제2호, pp.61-84, 2011. 

  36. S. D. Hunt and S. J. Vitell, "The General Theory of Marketing Ethics: A Retrospective and Revision, Ethics in Marketing," N. Craig Smith and John A. Quelch, (eds.) Homewood, IL: Richard D. Irwin, pp.775-784, 1992. 

  37. J. R. Spark and S. D. Hunt, "Marketing Researcher Ethical Sensitivity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Exploratory Investig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62 (April 1998), pp.92-109, 1998. 

  38. 최명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0권, pp.182-215, 2005. 

  39. A. Jameton, Nursing Practice: The Ethical Issue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84. 

  40. A. Jameton, Dilemmas of Moral Distress: Moral Responsibility and Nursing Practice, Clinical Issues Perinat Womens Health Nurs, 1993. 

  41. M. L. Raines, "Ethical Decision Making in Nurses : Relationships among Moral Reasoning, Coping Style, and Ethics Stress," JONAS Healthc Law Ethics Regul., Vol.2, No.1, pp.29-41, 2000. 

  42. D. C. Wyld and C. A. Jones,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 Ethical Work Climate Construct and Models of Ethical Decision Making - An Agenda for Research,"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6, pp.465-472, 1997. 

  43. P. O'Donnell, A. Farrar, K. Brintzenhofeszoc, A. P. Conrad, M. Danis, C. Grady, C. Taylor, and M. C. Ulrich, "Predictors of Ethical Stress, Moral 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Health Care Social Workers," Social Work in Health Care, Vol.46, No.3, pp.29-51, 2008. 

  44. D. C. Menzel, "Ethics Stress in Public Organizations," Public Productivity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pp.70-83, 1996. 

  45. A. K. Nathaniel, "Moral reckoning in nursing,"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8, pp.419-438, 2006. 

  46. B. T. Linda, "Moral Distress in Perinatal Nursing," Journal of Perinatal and Neonatal Nursing, Vol.14, No.2, pp.36-43, 2000. 

  47. M. Corley, P. Minick, R. K. Elswick, and Jacobs, Mary, "Nurse Moral Distress and Ethical Work Environment," Nursing Ethics, Vol.12, No.4, pp.381-390, 2005. 

  48. M. C. Corley, "Nurse Moral Distress: A Proposed Theory and Research Agenda," Nursing Ethics, Vol.9, No.6, pp.636-650, 2002. 

  49. J. Joseph and S. P. Deshpande, "The Impact of Ethical Climate on Job Satisfaction on Nurses," Healthcare Management Review, Vol.22, No.1, pp.76-81, 1997. 

  50. R. L. Sims and T. L. Keon, "Ethical Work Climate as a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6, No.11, pp.1095-1105, 1997. 

  51. S. P. Deshpande, "The Impact of Ethical Climate Types on Facets of Job Satisfac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5, pp.655-660, 1996. 

  52. H. C. Koh and E. H. Y. Boo,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 A Study of Managers in Singapore,"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29, pp.309-324, 2001. 

  53. C. H. Schwepker, "Ethical Climate's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alesfor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4, pp.39-52, 2001. 

  54. C. H. Schwepker and M. D. Hartline, "Managing the Ethical Climate of Customer-Contact Service Employee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7, No.4, pp.377-397, 2005. 

  55. N. Y. Kim and Graham Miller, "Perceptions of the Ethical Climate in the Korean Tourism Industry,"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82, pp.941-954, 2008. 

  56. M. L. Ambrose, A. Arnaud, and M. Schminke,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and Ethical Climate : The Influence of Person - Organization Fit on Job Attitude," J. of Business Ethics, Vol.77, pp.323-333, 2008. 

  57. R. Stewart, S. D. Volpone, D. R. Avery, and P. McKay, "You Support Diversity, but are You Ethical? Examin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Diversity and Ethical Climate Perception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00, pp.581-593, 2011. 

  58. 이학종, 이종건, "조직구성원의 윤리 풍토에 대한 지각과 조직효율성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기업윤리연구, 제2권, pp.107-129, 2000. 

  59. 김난영, "관광산업 조직윤리풍토가 종사원의 직 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 연구, 제19권, 제4호, pp.87-104, 2007. 

  60. 한필구, 전병호, 강병구, "조직의 윤리풍토와 협조적 노사관계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산업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267-289, 2009. 

  61. 노윤구, 정면숙, 이영숙, "병원조직의 윤리풍토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13-524, 2013. 

  62. 이상수, 이승용, 정인서, "기업윤리풍토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 인사관리연구, 제32집, 제2권, pp.1-21, 2008. 

  63. S. E. Hart, "Hospital Ethical Climates and Registered Nurses'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7, No.2, pp.173-177, 2005. 

  64. F. M. Parker, R. B. Lazenby, and J. L. Brown, "The Relationship of Moral Distress, Ethical Environment and Nurse Job Satisfaction," Online Journal of Health Ethics, Vol.10, No.1, http://aquila.usm.edu/ojhe/vol10/iss1/2, 2013. 

  65. 이경우, 윤리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조직풍토의 매개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66. L. K. Trevino, K. D. Butterfield, and D. L. MaCabe, "The Ethical Context in Organizations : Influences on Employee Attitudesand Behaviors," Business Ethics Quarterly, Vol.8, No.3, pp.447-476, 1998. 

  67. J. P. Mulki, J. F. Jaramillo, and W. B. Locander, "Effect of Ethical Climate on Turnover Intention : Linking Attitudinal - and Stress Theory,"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78, No.4, pp.559-574, 2008. 

  68. J. B. DeConinck, M. B. DeConinck, and D. Banerjee, "Outcomes of an Ethical Work Climate among Sales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4, No.4, pp.1-8, 2013. 

  69. 김용순, 권문호, "여행사에서의 윤리적 풍토와 이직의도 : 신뢰와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496-505, 2011. 

  70. G. Luria and D. Yagil, "Procedural Justice, Ethical Climate and Service Outcomes in Restau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27, pp.276-283, 2008. 

  71. J. B. Babin, J. S. Boles, and D. P. Robin, "Representing the Perceived Ethical Work Climate Among Marketing Employees," J.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3, pp.345-358, 2000. 

  72. L. L. Olson,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the Ethical Climate of their Work Setting,"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0, pp.345-349, 1998. 

  73. 이은희, 김경호,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제16권, 제2 호, pp.167-193, 2008. 

  74. 박연희, 주미연, 박미정,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광주?전남지역 노인복지시설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241-262, 2009. 

  75. 김준환,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6. 윤혜미, 박병금,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279-301, 2004. 

  77. 이동수,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요인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6권, 제2호, pp.129-149, 2009. 

  78. P. D. Wittmer, "Ethical Sensitivity in Management Decision : Developing and Testing a Perceptual Measure Among Management and Professional Student Group," Teaching Business Ethics, Vol.4, pp.181-205, 2000. 

  79. S. A. Yetmar and K. K. Eastman, "Tax Practitioners' Ethical Sensitivity : A Model and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26, pp.271-288, 2000. 

  80. A. B. Hamric and L. J. Blackhall, "Nurse- Physician Perspectives on the Care of Dyi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 Collaboration, Moral Distress, and Ethical Climate," Crit Care Med., Vol.35, pp.422-429, 2007. 

  81. A. J. E. Veer, A. L. De Francke, A. Struijs, and D. L. Willems, "Determinants of Moral Distress in Daily Nursing Practice :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50, No.1, pp.100-108, 2013. 

  82. K. B. DeTienne, B. R. Agle, J. C. Phillips, and Marc-Charles, Ingerson, "The Impact of Moral Distress Compared to other Stressors on Employee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10, No.3, pp.377-391, 2012. 

  83. S. H. Hamaideh, "Moral Distress and its Correlates among Mental Health Nurses in Jord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Vol.23, pp.33-41, 2014. 

  84.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Vol.2, pp.99-113, 1981. 

  85. F. A. Shoorideh, T. Ashktorab, F. Y. Yaghmaei and H. A. Majd, "Relationship Between ICU Nurses' Moral Distress with Burnout and Anticipated Turnover," Nurs Ethics, Vol.22, pp.64-76, 2015. 

  86. L. S. Meltzer and L. M. Huckabay,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Futile Care and its Effect on Burnou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3, No.3, pp.202-208, 2004. 

  87. 한수정, "간호사가 지각하는 도덕적 고뇌와 이직 의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276-284, 2012. 

  88. E. W. Brewer and L. F. Clippard,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 Services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3, No.2, pp.169-186, 2002. 

  89. 공계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4호, pp.23-48, 2010. 

  90. D. J. Schleicher, S. D. Hansen, and K. E. Fox, "Job Attitudes and Work Values," In S. Zedeck (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3, pp.137-1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91. 최소연, 장현숙,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사의 업무관련특성과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3권, pp.297-318, 2012. 

  92. D. S. Menzel, "The Ethical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 Managers,"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5, No.3, pp.247-261, 1995. 

  93. J. B. Cullen, B. Victor, and J. W. Bronson, "The Ethical Climate Questionnaire : a Assessment of its Development and Validity, Psychological Reports, Vol.73, pp.667-674, 1993. 

  94. J. B. DeConinck, "The Impact of a Corporate Code of Eth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Sales Mangers' Ethical Judgments and Reaction to Unethical Behavior,"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Vol.13, pp.23-31, 2003. 

  95. J. B. DeConinck, "The Effect of Ethical Climate and Moral Intensity on Marketing Managers' 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Vol.14, No.1, pp.129-137, 2004. 

  96. J. B. DeConinck, "The Influence of Ethical Climate on Marketing Employers' Job Attitudes and Behavior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3, pp.348-391, 2010. 

  97. I. Beeri, R. Dayan, E. Vigoda-Gadot, and S. Werner, "Advancing Ethics in Public Organizations : The Impact of an Ethics Program on Employees' Perceptions and Behaviors in a Regional Council,"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12, No.1, pp.59-78, 2013. 

  98. K. Luzen, Moral Sensitivity : a Study of Subjective Aspects of the Process of Moral Decision Making in Psychiatric Care, Doctoral dissertation, Karolinska Institute, Huddinge University Hospital, Stockholm. 1993. 

  99. J. M. Wilkinson, "Moral Distress in Nursing Practice : Experience and Effect," Nursing Forum, Vol.23, No.1, pp.16-29, 1987. 

  100. M. C. Corley, "Moral Distress in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4, pp.280-285, 1995. 

  101. M. C. Corley, R. K. Elswick, and M. Gorman and T. Cl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ral Distress Scale," J. of Advanced Nursing, Vol.33, pp.250-256, 2001. 

  102. A. B. Hamric, C. T. Borchers, and E. G. Epstein,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oral Distres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JOB Primary Research, Vol.3, No.2, pp.1-9, 2012. 

  103. J. Sirilla, Moral Distress in Nurses Providing Direct Patient Care on Inpatient Oncology Units, Doctoral dissertation of Ohio State University, 2013. 

  104. W. B. Schaufeli and D. Enzmann,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London: Taylor & Francis, 1998. 

  105. 강정희, 김철웅, "말라크 소진 측정도구 (Maslach Burnout Inventory)의 적용가능성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1-37, 2012. 

  106. T. S. Kristensen, M. Borritz, E. Villadsen, and K. B. Christensen,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Burnout," Work and Stress, Vol.19, pp.192-207, 2005. 

  107. C. E. Michaels and P. E. Spector, "Causes of Employee Turnover :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7, No.1, pp.53-59, 1982. 

  108. 국가인권위원회,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3. 

  109. 권혜림, 주재진, "경찰조직의 윤리풍토와 직무 만족관계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한국경찰학회보, 제16권, 제4호, pp.3-26, 2014. 

  110. B. Victor and J. B. Cullen, "A Theory and Measure of Ethical Climate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Policy, Vol.9, pp.51-71, 1987. 

  111.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도서출판 청람, 2013. 

  112. M. Jaafarpour and A. Khani, "Evaluation of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their Moral Sensitivities and Well-Being,"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Vol.6, No.10, pp.1761-1764, 2012. 

  113. 최명민,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윤리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4호, pp.381-402, 2009. 

  114. 모지환, 이중섭, 문영주, "관료적 조직풍토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공직 비윤리행동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권, 제9호, pp.271-30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