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감정 영상 시청 시의 뇌파 비교
Comparison of EEG during Watching Emotional Video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8 no.5, 2015년, pp.599 - 609  

김슬기 (Dept. of media Engineer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소영 (Dept. of media Engineer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강행봉 (Dept. of media Engineer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martphone usage has increased recently, so has smartphone addiction. Many of the smartphone users, however, do not even recognize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is experiment, smartphone user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smartphone addiction measure (S-measure) develop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기존 연구는 설문조사나 상담 등과 같이 심리, 통계 그리고 사회학적인 측면으로만 연구 되어왔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이를 뒷받침할만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서 일반군과 비교되는 고위험군의 특성인 불안, 우울 등과 같은 부정적인 성향[3,4,5]을 EEG(Electroencephalogram)를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이나 게임 중독에 초점을 맞췄던 기존연구들과는 다르게 근래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기존 연구는 설문조사나 상담 등과 같이 심리, 통계 그리고 사회학적인 측면으로만 연구 되어왔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이를 뒷받침할만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 본 실험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 감정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나타나는 EEG의 신호 차이를 보고, 그 특징을 추출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FP1, FP2 (전두엽 부분)의 세타 대역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정서불안을 나타내며 특히 분노와 공포 영상이 기쁨과 슬픔 영상보다 부정적인 감정으로, 고위험군이 일반군 보다 이를 더 강하게 느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Lee, H. Ahn, S. Choi, and W. Choi, “The SAMS: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System and Verification,” Journal of Medical Systems, Vol. 38, No. 1, pp. 1-10, 2014. 

  2. C. Jenaro, N. Flores, M.M. Vela, F.G.L. Gil, and C. Caballo, “Problematic Internet and Cell-phone Use: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Health Correlate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Vol. 15, No. 3, pp. 309-320, 2007. 

  3. H. Gim Y. Jang, E. Jeong, and S. Ry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onstrual Level,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ve Us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10, No. 2, pp. 47-67, 2012. 

  4. B. Kim, E. Ko, and H. Choi, “A Study on 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4, No. 3, pp. 67-98, 2013. 

  5. K. Hwang, Y. Yoo, and O. Ch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0, pp. 365-375, 2012. 

  6. J. Lee and H. Kang, “EEG and ERP based Degree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7, No.11, pp. 1325-1334, 2014. 

  7. Y. Liu, O. Sourina, and M.K. Nguyen, “Real-time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and its Applications,” Transactions on Computational Science XII, Vol. 12, pp. 256-277, 2011. 

  8. Y. Lin, C. Wang, T. Jung, T. Wu, S. Jeng, J. Duann et al.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in Music Listening,”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57, No. 7, pp. 1798-1806, 2010. 

  9. D.O. Bos,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 The Influence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i, University of Twente, pp.1-17, 2006. 

  10. A.T. Sohaib, S. Qureshi, J. Hagelbäck, O. Hilborn, and P. Jerčić. "Evaluating Classifiers for Emotion Recognition using EEG," Proceeding of Foundations of Augmented Cognition, pp. 492-501, 2013. 

  11. NIA,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NIA IV-RER-11051, 2011. 

  12. H. Kang and C.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1, No. 2, pp. 563-580, 2012. 

  13. D. Nie, X. Wang, L. Shi, and B. Lu,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during Watching Movies,” Proceeding of 5th International IEEE/EMBS Conference, pp. 667-670, 2011. 

  14. M. Soleymani, M. Pantic, and T. Pun, "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in Response to Videos," IEEE Transactions on Affective Computing, Vol. 3, No. 2, pp. 211-223, 2012. 

  15. A.C. Conneau and S. Essid. "Assessment of New Spectral Features for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Proceeding of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p. 4698-4702, 2014. 

  16. Russell and A. Jame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9, No. 6, pp. 1161-1178,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