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중산층 성인의 영양소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s in middle income adults based on data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4, 2015년, pp.364 - 370  

김지명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남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산층 성인 남녀의 영양상태를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에너지,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칼륨, 티아민, 나이아신, 비타민 C섭취 수준은 남녀 모두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섭취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중산층 남성의 경우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 수준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중산층 여성의 철분 섭취량은 고소득층 보다 낮고 저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1,000 kcal 당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중산층 남성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은 고소득층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중산층 여성의 경우 이들 영양소 섭취량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 보다 유의적인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 특히 중산층 여성에 대한 영양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소득 계층별 영양정책 수립에 있어, 성별에 대한 차이를 고려한 맞춤 복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in middle-class adults compared with low income or high income adul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Methods: Data from th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A total of 7,082 adults aged from 30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중산층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섭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OECD나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사용되는 지표인 가구소득에 따라 고소득층과 중소득층, 저소득층으로 나누어 중소득층을 중산층으로 간주하고, 남녀 중산층 성인의 식생활 및 식품섭취 양상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남녀 성별에 따라 성인 중산층의 식생활 및 식품섭취 양상이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30~64세 성인 남녀 중 가구의 소득 4분위수 자료를 활용하여 중상과 중하로 분류된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하였고 이들의 식생활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남녀 성별에 따라 성인 중산층의 식생활 및 식품섭취 양상이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30~64세 성인 남녀 중 가구의 소득 4분위수 자료를 활용하여 중상과 중하로 분류된 계층을 중산층으로 정의하였고 이들의 식생활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중산층 성인 남녀의 영양상태를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정책 마련에 있어 간과되기 쉬운 중산층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상당수의 중산층 성인 남녀에서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핍자 분율이 높음을 알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산층에 대한 정의를 소득 수준으로만 분류하여 중소득층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실제 ‘중산층’이라는 의미가 가지는 사회계층적 개념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향후 사회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기타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지표나 체감 중산층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 중산층들은 본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7%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실제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체감 중산층의 비율은 이보다 낮아 51.4%만이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산층의 59.3%는 스스로 저소득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2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은 소득 수준 뿐만 아니라 여유로운 생활과 삶의 질, 사회적 기여 수준과 시민의식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 한 가지 지표로 외식 횟수와 비용이 포함되었다.
OECD에서는 가구소득 기준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산층’에 대한 개념조차 명확하지 않아, 연구에 따라 소득, 의식, 학력, 문화생활 등의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중산층을 정의하고 있다. OECD에서는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미만, 50~150%, 150%이상으로 구분하여 빈곤층, 중산층, 상류층으로 정의하고 있다.1 최근 OECD 기준을 적용한 통계청 기준에 따른 공식 한국인 중산층의 비율은 69.
OECD 기준을 적용한 한국인 중산층의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OECD에서는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미만, 50~150%, 150%이상으로 구분하여 빈곤층, 중산층, 상류층으로 정의하고 있다.1 최근 OECD 기준을 적용한 통계청 기준에 따른 공식 한국인 중산층의 비율은 69.7%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실제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체감 중산층의 비율은 이보다 낮아 5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A trend and implication of Korean middle class. Dajeon: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2013. 

  2. Hyundai Research Institute (KR). Are you a middle class? VIP report 14-20. Seoul: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4. 

  3. Hyundai Research Institute (KR). Phenomenon of estrangement between diminishing middle-class and the middle-class according to OECD standard. VIP report 13-41. Seoul: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3. 

  4. Jang HK. Evaluation of obesity and nutritional status by age among low-income women aged over 20-using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5; 25(2): 246-260. 

  5. Ahn SH, Son SM, Kim HK. A study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aged over 50-based on 2005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4): 463-478. 

  6. Lee J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different income level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2): 161-171. 

  7. Lim YS, Cho KJ, Nam HJ, Lee KH, Park H.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57-267. 

  8. Yang EJ, Bang HM.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2008; 41(1): 65-76. 

  9. Hwang JY, Ru SY, Ryu HK, Park HJ, Kim WY. Socioeconomic factors relating to obesity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 women in low income families residing in Seoul. Korean J Nutr 2009; 42(2): 171-182. 

  10. Shim JS, Oh K, Nam CM.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Korean J Nutr 2008; 41(2): 174-183. 

  11. Yang YJ.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30-40. 

  12. Choi HJ, Kim HS, Lee UW. Difference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by income level: using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 Serv Manag Rev 2014; 8(4): 47-54. 

  13. Rose D, Oliveira V. Nutrient intakes of individuals from foodinsufficient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1997; 87(12): 1956-1961. 

  14. Yoon JS, Jang H. Diet quality and food patterns of obese adult women from low income classes: Based on 2005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06-715. 

  15. Lee HS, Chang MJ. Effect of family type on the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4): 934-941.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