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상하지 협응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pper and Lower Limb Coordinated Exercise of PNF for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3 no.1, 2015년, pp.9 - 16  

조혁신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노현정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effects of upper and lower limb coordinated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 stroke and hospitalized and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NF 상하지 협응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PNF 상하지 협응 운동은 FICSIT-4, FSST, TUG, TWT3M 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 본 연구는 PNF의 패턴을 결합하여 사지 분절간 협응을 체계화 한 상하지 협응 운동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향후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진단 후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PNF 상하지 협응 운동을 적용하여 정적 균형능력과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증상은 무엇인가? 뇌졸중의 증상은 손상 위치, 크기, 원인에 따라 다양하며 마비, 실조, 반맹, 시각 및 인지 결손, 실어증, 운동 장애, 감각 결손, 기억력 장애의 문제 등과 같은 신경학적 결손이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Lundy-Ekman, 2013).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활동의 제한과 움직임 범위의 감소로 근 약화, 관절 가동 범위의 감소, 강직, 구축, 정렬의 변화 등에 의해서 근육 단면적 감소, 근 섬유의 단축, 운동 단위 수의 감소와 같은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되어 운동 조절 능력이 상실된다(Shumway-Cook & Woollacott, 2012).
균형 기능의 감소가 야기하는 점은? 균형조절은 신체의 정렬 상태를 맞추어 주어 신체를 바로 세움으로써 기능적 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Ahn, 2013). 균형 기능의 감소는 일상생활동작 회복 지연, 움직임 감소,낙상 증가 등의 문제점을 야기 시키는 한편, 기립이나 보행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Peters et al, 2014)
뇌졸중의 증상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뇌졸중의 증상은 손상 위치, 크기, 원인에 따라 다양하며 마비, 실조, 반맹, 시각 및 인지 결손, 실어증, 운동 장애, 감각 결손, 기억력 장애의 문제 등과 같은 신경학적 결손이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Lundy-Ekman, 2013).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활동의 제한과 움직임 범위의 감소로 근 약화, 관절 가동 범위의 감소, 강직, 구축, 정렬의 변화 등에 의해서 근육 단면적 감소, 근 섬유의 단축, 운동 단위 수의 감소와 같은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되어 운동 조절 능력이 상실된다(Shumway-Cook & Woollacott,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GC. Effects of Resistive and Resistive Power Exercise of using Thera-band on Gait,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in Patients with Stroke.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3. 

  2. Blennerhassett JM, Jayalath VM. The four square step testis a feasible and valid clinical test of dynamic standing balance for use in ambulant people post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8;89(11):2156-2161. 

  3. Cho HS. The Effect of Coordinative Pattern Exercise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for Balance and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Daejeon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0. 

  4. Choi JW.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in Hemiplegic Patients with Strok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3. 

  5. Dietz B. Let's sprint, let's skate : Innovationen im PNF-Konzept. Heidelberg. Springer. 2009. 

  6.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002;83(8):1138-1144. 

  7. Jeong WS, Jeong JW, Kim CK, et al. Effect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Balancing through Sprinter Patterns of PNF.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1;11(3):281-292. 

  8. Jonsdottir J,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1):1410-1405. 

  9. Kim DJ.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Seoul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10. Kim JM, Yi CH, Yang HS. Effect of PLS (Posterior Leaf Spring) on Standing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999;6(1):15-22. 

  11. Kim TY.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 sprinter/skater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6;4(1):71-79. 

  12. Kwon KH, Jung YW, Bae SS. Effect of Lower Extremity Pattern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7;5(2):21-35. 

  13. Lee JS. Effect of Sprinter Pattern in PNF and Functional Weight Bearing Exercise on Weight Bearing and Bala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2. 

  14. Lee MK, Lee JS, Jeong WS, et al.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Hemiparetic.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9;7(1):9-16. 

  15. Lundy-Ekman L. Neuroscience :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4th ed. Seoul. Elsevier. 2013. 

  16. Pa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0;89(2):304-310. 

  17. Peters S, Ivanova TD, Teasell R, et al. Is the Recovery of Functional Balance and Mobility Accompanied by Physiological Recovery in People With Severe Impairments After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14;28(9):847-855. 

  18. Ragnarsdottir M. The concept of balance. Physiotherapy. 1996;82(6):368-375. 

  19. Rossiter-Fornoff J, Wolf S, Wolfson L, et al. A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of the FICSIT common data base static balance measures. Journal of Gerontology. 1995;50(6):291-297. 

  20. Roth EJ.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Medical Complications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2001;32(2):523-529. 

  21. Shim JK, Park JB, Kim MJ, et al. Motor Variability and Synergy Research through Uncontrolled Manifold Analysi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011;22(4):127-142. 

  22.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23.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2013. 

  24. Verrel J, Pologe S, Manselle W, et al. Coordination of degrees of freedom and stabilization of task variables in a complex motor skill: extertise-related defferences in cello bowing.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13;224(3):323-334. 

  25. Winward CE, Halligan PW, Wade DT. Somatosensory recovery: A longitudinal study of the first 6 months after unilateral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7;29(4):293-2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