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통합건강증진사업 방문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자신감
Job Performance and Self Confidence by Visiting Nurses who are engaged in the Consolid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Gangwon-Provinc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2, 2015년, pp.190 - 202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양순옥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엄선옥 (송곡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visiting nurses' job performance and self confidence by career and number of visiting households. Methods: The subjects were 120 visiting nurses fully in charge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working in 18 community health care centers, who were 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04) 실제적으로 방문간호사가 담당하는 방문 가구 수에 따른 방문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자신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정책과 역할변화에 따른 방문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자신감을 일인당 방문가구 수와 경력별로 파악하고, 적합한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무엇인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이란 단위사업별로 나열된 보건소 사업을 건강영역별, 생애주기별로 재구성하여 통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는 보건소 건강증진 국고보조사업을 통합하며, 국고 지원 재원의 용도를 포괄적으로 정하여 지자체의 예산편성 및 집행의 자율성 보장, 지역 여건 등을 반영한 우선순위를 정함으로 사업 분야 및 사업량을 결정할 수 있는 책임성을 위임하는 것으로 지자체별 성과 및 과정 평가를 도입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4).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주요 내용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이란 단위사업별로 나열된 보건소 사업을 건강영역별, 생애주기별로 재구성하여 통합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는 보건소 건강증진 국고보조사업을 통합하며, 국고 지원 재원의 용도를 포괄적으로 정하여 지자체의 예산편성 및 집행의 자율성 보장, 지역 여건 등을 반영한 우선순위를 정함으로 사업 분야 및 사업량을 결정할 수 있는 책임성을 위임하는 것으로 지자체별 성과 및 과정 평가를 도입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4).
방문건강관리사업에 투입되는 계약직 전문인력 중 간호사의 비율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방문건강관리사업에 투입되는 계약직 전문인력은 2013년 12월 말 현재 2,368명으로 그 중에 간호사가 87.3%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OHW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4). 방문간호사는 취약계층의 건강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욕구에 따라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형평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방문건강관리사업정착에 주도적 역할을 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Y. H., Kim, S. S., Yang, S. O., & Yi, S. E.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9(2), 177-187. 

  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Buerhaus, P. I., Donelan, K., Ulrich, B. T., Norman, L., Desroches, C., & Dittus, R. (2007). Impact of the nurse shortage on hospital patient care: Comparative perspectives, Health Affairs, 26(3), 853-862. 

  4. Chang, S. O., Kim, S. K., & Kim, M. S. (2010). Inferences on connec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intui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1, 107-125. 

  5. Goodman, C., Ross, F., Mackenzie, A., & Vernon, S. (2003). A portrait of district nursing: Its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7(1), 97-108. 

  6. Kim, C. J., Lee, W. H., Lee, C. Y., Kweon. B. E., Kim, C. S., Moon, S. M., & Kang, K. H. (2004). An analysis of the work of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178-186. 

  7. Kim, J. H., Lee, T. J., & Yim, E. S. (2011). Effects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on health promotion and employmen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8. Lee, I. S., Jung, H. S., Park, E. O., Moon, H. J., Lee, J. W., & Oh, H. S. (2010). Study on development of a job manual for both experienced and novice nurses to enhance family-based case management in a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Act on community health (1995). Retrieved July 22, 2011, from http://www.moleg.go.kr.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4). 2014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guid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1. Park, E. O. (2009). Task analysis of visiting staff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needs-based program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2. Park, J. S. & Oh, Y. J. (2014).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81-393.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381 

  13. Park, K. M. (2004). Evalu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for the vulnerable family in urba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1), 55-66. 

  14. Kang, Y. S., Park, Y. I., Song, M. S., Yang, S. O., Ryu, J. S., Park, I. H., ...Han, Y. R. (2013). Understanding and prospects of visiting health care.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15. Public Health Policy Division of Gangwondo. (2014). [Current workforce for the visiting nurses of customizing health care.] Unpublished raw data. 

  16. Ryu, H. S., Park, E. S., Park, Y. J., Han, K. S., & Lim, J. Y. (2003). A workload analysis of a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a health center in Seou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1018 -1027. 

  17. Ryu, H. S., Suk, M. H., Hwang, R. I., & Chin, D. L. (2005). A prelimina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 recipients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visiting nursing service pathway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6(4), 381-391. 

  18. So, A. Y. & Hong, M. S. (2005). Analysis of health and social nee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ordin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9(2), 188-203. 

  19. Song, M. S., Ahn, O. H., Kim, Y. H., Kim, H. S., & Bae, H. I. (2009). Estimation of optimal workload for the visiting nurses of customizing health care through the job analysi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Yang, S. O., Shin, K. R., Kim, O. S., Kim, H. Y., Kim, K. H., & Kim, E. H. (2004). Analysis of time taken for visiting nursing activities by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2), 177-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