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BLS of Clinical Nurses Who Work at Small-medium Sized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3, 2012년, pp.446 - 455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전명희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basic life support (BLS) and identify the reason why clinical nurses lack confidence to initiate BLS at the cardiac arrest scene.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with questionnair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중소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조사함으로써 종합병원 이외의 다양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BLS 준비정도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BLS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확인하고자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BLS 지침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확인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BLS 역량 강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BLS 지침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확인함으로써 중소병원 간호사의 BLS 역량 강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울과 충청지역에 위치한 중소병원, 한방병원 및 노인병원 등 총 10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39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 z BLS 자신감: 자신감은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의미한다(Bandura, 1977). 본 연구에서는 심정지 환자에게 BLS을 시행함으로써 수반되는 심리사회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극복하고,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수행하는 확신으로 본 연구진이 개발한 6문항으로 구성된 BLS 자신감 척도의 점수를 의미한다.
  • 본래 수행의도의 측정은 실제 심정지 상황 시 간호사의 수 행정도를 관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직접 관찰 및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이를 대신할 만한 설문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심층 논의를 거쳤다. 중환자실과 응급실 현장 근무 경험이 풍부한 본 연구자의 심층 논의와 문헌 검토를 통해 3개의 질문을 도출하였지만, 문항수가 적어 신뢰도가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S란? •  BLS: 심정지가 의심되는 사람을 발견한 구조자가 심정지 확인, 응급의료체계연락, 기본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황성오, 2007),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국제연락위원회(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 ILCOR)와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에서 발표한 “2000 심폐소생술 지침”과 “2005 심폐소생술 및 응급심장치료 지침“ 및 엄동춘 등 (2008)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BLS 지침에 의한 기본 심폐소생술을 의미한다.
BLS 교육의 목적은? BLS 교육은 BLS 지식과 기술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심정지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도움을 주겠다는 확신 및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Jelinek, et. al.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BLS 지침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확인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BLS 역량 강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를 확인한다. 둘째,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 사이의 상관성을 확인한다. 세째,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네째, 중소병원 간호사들이 BLS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국립국어원 (2009). 표준국어대사전(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서울: 두산동아. 

  2. 김순심 (2006).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실기교육 프로그램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대구. 

  3. 김윤신 (2011). 일부 초등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4. 김은수 (2010).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 및 지식과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지연, 김동욱, 안원식, 신터전, 박재현 (2004). 심폐소생술 전공의 교육 현황과 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마취통증의학과를 중심으로-. 대한마취과학회지, 46, 424∼429. 

  6. 대한중소병원협회 (2010). 중소병원의 명칭에 대한 규정. 서울: 대한중소병원 협회. 

  7. 류현욱 (2009). 의과대학 졸업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수행능력과 관련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대구. 

  8. 백보현 (2011). 병원의 만성적인 인력부족 환자 안전까지 위협한다. 돈보다 생명을, blog.daum.net/bogun1004/277accessed March 15, 2012 

  9. 신지훈 (2009). 공항 지상 근무자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응급구조학회, 13(3), 29-40. 

  10. 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원, 최규일, 김윤정 (2009).임상 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및 술기 수행능력의 6개월 전후 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496-504. 

  11. 엄동춘, 전명희, 황지영, 최지예 (2008).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 일 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138-146, 

  12. 오수일, 한상숙 (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13.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지영, 유기철 (2009).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505-509. 

  14. 이정은, 고봉연 (2001).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한 최초 반응자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평가.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19(2), 269-278. 

  15. 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기 (2003). 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평가-간호과와 비간호과를 대상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7(1), 43-54. 

  16. 피혜영 (2010). 전화상담원 도움이 심폐소생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응급구조학회지, 14(2), 5-12. 

  17. 홍영표. (2010). 최초반응자로서 경찰공무원의 응급처치교육실태와 현장응급처치능력 향상방안. 국립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공주. 

  18. 홍정석, 안력, 김선휴,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 (2009).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지, 20(6), 609 - 614. 

  19. 황성오 (2007). 2006년 공용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보건복지부. 

  20. Abella, B. S., Alvarado, J. P., Myklebust, H., Edelson, D. P., & Barry, A., O'Hearn, N., et al. (2005).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 305-310. 

  21.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2. Brenner, B. (1994). Willingness of male homosexuals to perform mouth-to-mouth resuscitation. Resuscitation, 27(1), 23-30. 

  23. Brenner, B. E., & Kauffman, J. (1993). Reluctance of internists and medical nurses to perform mouth-to-mouth resuscitatio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3(15), 1763-1769. 

  24. Chew, K. S., Yazid, M. N. (2008). The willingness of final year medical and dental students to perform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n Asian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 301-309. 

  25. Field, J. M., Hazinski, M. F., Sayre, M. R., Chameides, L., Schexnayder, S. M., Hemphill, R., et al. (2010). Part 1: Executive Summary: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122, S640-S656. 

  26. Jelinek, G. A, Gennat., H., Celenza, T., O'Brien, D., Jacobs, I., & Lynch, D. (2001). Community attitudes towards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Western Australia. Resuscitation, 51(3), 239-246. 

  27. Kim, S. J., Choi, S. H., Lee, S. W., Hong, Y. S., & Cho, H. (2011). The analysis of self and tutor assessment in the skill of basic life support (BLS) and endotracheal intubation: Focused on the discrepancy in assessment. Resuscitation, 82(6), 743-748. 

  28. Lauder, G. R., Mcquillan, P. J., & Sear, J. W. (1992). Basic life supporttraining. Anaesthesia, 47, 1000-1001. 

  29. Oermann, M. H., Kardong-Edgren, S. E., & Odom-Maryon, T. (2011). Effects of monthly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CPR psychomotor skill performance. Resuscitation, 82(4), 447-453. 

  30. Taniguchi, T., Omi, W., & Inaba, H. (2007). Attitudes toward the performance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Japan. Resuscitation, 75(1), 8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