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무기력 행동
A Study on Nursing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Helplessness behavio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2, 2015년, pp.244 - 256  

윤현경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urrent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degree and propertie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lethargic behaviors in students of the college of nursing. Methods: A total of 332 nursing students were enrolled and responded for data collection from Octo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학습된 무기력과 무기력 행동의 정도와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된 무기력과 무기력 행동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된 무기력이란 무엇인가? 학습된 무기력이란 부정적인 결과나 고통스러운 자극을 회피하기 위해 일련의 행동을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제에 거듭 실패함으로써, 더 이상 부정적인 상황을 통제하려는 노력 자체를 포기하는 현상을 말하며(Abramson, Seligman, & Teasdale, 1978), 수동성과 학습의 결여, 공격성의 감소, 열등, 문제해결의 효율성 저하 및 기대와 행동을 쉽게 포기하는 인내성의 부족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졌다(Kim, 2012; Pina, Luana, Caterina, & Sevastiano, 2015). 또한 학습된 무기력이 증가하면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가 저하되어 학교생활의 적응이 어려워지며(Choi & Park, 2013; Lee, 2010), 자기평가 절하, 불안, 좌절감, 우울증에 시달리고(Kang & Kim, 2004; Nurmi, Aunola, Salmela-Aro, & Lindroos, 2003),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며(Jeon& Lim, 2010), 자살 충동에 시달리게 된다(Gencoz, Vatan, Walker, & Lester, 2008; Lee & Bong, 2013)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어 간호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그와 관련된 신체적·정신적 문제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심리적인 무기력을 양산하는 가장 큰 원인이 교우관계와 학업성적이라고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 결여, 통제력 결여, 과시욕 결여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교우관계에 대한 어려움을 느낄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및 부정적 인지와 수동성, 지속성 결여 영역에서는 교우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낄수록, 책임감 결여 영역에서는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대학생의 심리적인 무기력을 양산하는 가장 큰 원인이 교우관계와 학업성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이 다른 전공의 학생들과는 달리, 임상실습과 병행하는 수업에 따른 부담과 더불어 국가고시 합격이라는 목표를 향한 일련의 과정 등의 다양한 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부담감으로 인해 교우관계를 다지는 시간보다는 시험, 과제, 학업에 집중하고 있기 떄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여유롭게 교우들과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과 성적으로 취업의 길이 달라지므로 경쟁을 해야 하는 사회적 현상(Hwangri, 2013)과도 관련이 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ee와 Park (2014)의 연구에서 교우관계에 만족할수록 통합성이 높고 학업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팀별과제나 팀별 학습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학습과정에서 팀원 간의 협동심이나 배려심이 중요하다고 느끼기는 하나 어렵고 힘들어 하는 Choi & Park (2013)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학습된 무기력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학습된 무기력이란 부정적인 결과나 고통스러운 자극을 회피하기 위해 일련의 행동을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제에 거듭 실패함으로써, 더 이상 부정적인 상황을 통제하려는 노력 자체를 포기하는 현상을 말하며(Abramson, Seligman, & Teasdale, 1978), 수동성과 학습의 결여, 공격성의 감소, 열등, 문제해결의 효율성 저하 및 기대와 행동을 쉽게 포기하는 인내성의 부족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졌다(Kim, 2012; Pina, Luana, Caterina, & Sevastiano, 2015). 또한 학습된 무기력이 증가하면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가 저하되어 학교생활의 적응이 어려워지며(Choi & Park, 2013; Lee, 2010), 자기평가 절하, 불안, 좌절감, 우울증에 시달리고(Kang & Kim, 2004; Nurmi, Aunola, Salmela-Aro, & Lindroos, 2003),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며(Jeon& Lim, 2010), 자살 충동에 시달리게 된다(Gencoz, Vatan, Walker, & Lester, 2008; Lee & Bong, 2013)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어 간호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그와 관련된 신체적·정신적 문제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ramson, L. Y., Seligman, M. E., & Teasdale, J. D.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49-74. http://dx.doi.org/10.1037//0021-843x. 87.1.49 

  2. Bae, J. H. (2008).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hool learning history, and motivational variables on learned helpless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3. Cho, H. O. (2011). The influence of learned helpless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The mediating effects of isolation and empat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4. Choi, J. & Cha, B. K. (2014). Factors affecting learned helplessness in undergraduate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8(3), 509-521.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509 

  5. Choi, J. H. & Park, M. J. (2013).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339-34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339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 A flexible s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Retrieved June, 12, 2015, from http://www.coe.fsu.edu/content/ download/51987/428157/file/Faul2007.pdf 

  7. Gencoz, F., Vatan, S., Walker, R., & Lester, D. (2008). A brief research note: helplessness, hopelessness, and haplessness as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 A cross-cultural study. Journal of Death and Dying, 67, 315-318. http://dx.doi.org/10.2190/OM.57.3.f 

  8. Hong, S. S. & Park, M. J. (2014).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369-377.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2.369 

  9. Hwangri, R. (2013).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tress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ng, 26(2), 215-226.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215 

  10. Jung, H. Y. & Kwon, J. O. (2013). A study on the stress, self-esteem, and mental-heal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4), 191-204.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4.191 

  11. Jeon, M. A. & Lim, S. Y. (2010). A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tion Association, 35(1), 1-19. http://dx.doi.org/10.5430/jnep.v3n11p152 

  12. Jun, K. A. & Park, J. H. (2010). A study on effec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helplessness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7(1), 57-81. 

  13. Kang, H. W. & Kim, Y. H.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ess, result and learned helplessnes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5(4), 883-897. 

  14. Karabulut, N., Aktas, Y. Y., & Alemdar, D. K. (2015).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o nursing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Kontakt, 17(1). 9-15. http://dx.doi.org/10.1016/j.kontakt.2015.01.003 

  15. Kim, N. Y., Jung, D. Y., & Park, H. J. (2008). A study on perceived stress and dietary habi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181-188. 

  16. Kim, J. H. (2012).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job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6(2), 139-160. 

  17. Kim, J. Y. (2014).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on learned helplessness-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resili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8. Lee, M. J. & Bong, M. M. (2013). Learned helplessness in school during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1), 77-105. 

  19. Lee, K. H. (2010).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26-34. 

  20. Lee, K. Y., Choi, S. Y., Shin, S. C., & Jang, S. H. (2010).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eenager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9(1). 251-270. 

  21. Lee, M. H. & Park, M. S. (2014).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4), 863-872.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2.863 

  22. Lee, E. K. & Park, A. A. (2013) Ego-resilienc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293-303. http://dx.doi.org/10.5932/ JKPHN. 2013.27.2.293 

  23. Lee, E.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4. Nurmi, J., Aunola, K., Salmela-Aro, K., & Lindroos, M. (2003). The role of success expectation and task-avoidance in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ree studies on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correlat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8(1), 59-90. http://dx.doi.org/10.1016/S0361-476X(02)00014-0 

  25. Pina, F., Luana, S., Caterina, B., & Sebastiano, C. (2015).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learned helplessness : the role of school self-efficacy. School Mental Health, http://dx.doi.org/10.1007/s12310-015-9151-2 

  26. Schleider, J. L., Velez, C. E., Krause, E. D., & Gillham, J. (2014).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anxiety early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attrivutional styl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8(1), 71-81. http://dx.doi.org/10.1007/s10608-013-9573-9 

  27. Sligman, M. E. P. (1975). Helplessness. San Francisco: W. H. Freeman. 

  28. Shin, G. M (1990). On the development of a learned helpless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9. Son, Y. J., Choi, E, Y., & Song, Y.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Medicine, 18(4), 345-352. 

  30. Woo, J. H. (2005).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 1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