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재배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Cultiva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8, 2015년, pp.1234 - 1240  

박명수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소지선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경진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열수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분석하였다. 흰민들레 부위별 시료의 열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0.25%, 34.53%, 66.25%로 뿌리> 잎>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 Folin-Denis 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50.54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잎(41.11 mg/g), 뿌리(10.27 mg/g) 순으로 나타났다.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에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꽃(35.26 mg/g), 잎(28.91 mg/g), 뿌리(8.28 mg/g)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분석한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꽃, 잎 및 뿌리 열수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91.04%, 88.22%, 38.58%로 꽃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 400 mg/kg 첨가 시 위암 세포주(AGS), 폐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암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위암 세포주(AGS)에서 꽃(40.34%), 잎(44.56%), 뿌리(95.12%)의 순으로, 대장암 세포주(HCT-116)에서 꽃(39.56%), 잎(48.55%), 뿌리(95.11%)의 순으로, 폐암 세포주(A-549)에서 꽃(17.52%), 잎(23.57%), 뿌리(88.15%)의 순으로 모든 암세포주들에 대하여 꽃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향후 국내 흰민들레 재배면적 확대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raxacum coreanum Nakai is a wild medicinal plant commonly consumed in Korea due to its health beneficial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contents of polyphenolics and flavonoids as well as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 coreanum Nakai we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민들레는 다양한 개발 가능성을 지닌 유용식물자원으로 널리 알려진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부위별 함유 성분에 따른 다양한 기능성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하고 있고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고 있는 흰민들레의 꽃, 잎 및 뿌리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 검증을 통해 유효 생리활성 성분이 많은 부위를 탐색하여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흰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열수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분석하였다. 흰민들레 부위별 시료의 열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0.
  • 0%)의 순으로 보고되었다(31). 이에 기존의 암 치료 방법과는 다른 효과적인 천연 항암 소재로의 개발을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사망률이 높은 폐암, 위암 및 대장암 세포주를 구입하여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다. 위암 세포주(AGS), 폐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흰민들레 부위별 열수 추출물 첨가 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흰민들레란 무엇인가?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Nakai)는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해살이풀인 민들레의 한 품종으로 오랫동안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포공영(浦公英)이란 한약재로 알려진 민들레는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열을 내리고 해독과 이뇨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이나 종기를 낫게 하고 간과 담낭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민들레의 생리활성 효능은 무엇인가? 잎에도 고미 성분과 chlorogenic acid, chicoric acid 등의 폴리페놀과 luteolin과 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quercetin, luteolin 및 chicor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8,10). 이러한 성분들과 함께, 항염증(9), 항산화(11), 항암(12), 항당뇨(13), 면역 관련 활성(14), 위장 보호 효과(15), 항균작용(16)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국내외에서 연구되어 왔다.
흰민들레 부위별 시료의 열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흰민들레 부위별 시료의 열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0.25%, 34.53%, 66.25%로, 뿌리잎>잎>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Han 등(1)이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에서 꽃, 잎, 뿌리에서의 추출수율을 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an EK, Lee JY, Jung EJ, Jin YX, Chung C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80-1586. 

  2.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 Byers T, Perry G. 1992.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Annu Rev Nutr 12: 135-159. 

  4.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71: 952-958. 

  5. Namiki M. 1990.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6.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7.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3): 60-67. 

  8. Williams CA, Goldstone F, Greenham J.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121-127. 

  9. Schutz K, Carle R, Schieber A. 2006. Taraxacum-A review on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J Ethnopharmacol 107: 313-323. 

  10. Budzianowski J. 1997. Coumarins, caffeoyltartaric acids and their artifactual methyl esters from Taraxacum officinale leaves. Planta Med 63: 288-289. 

  11. Kim SJ, Oh DH. 2007.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containing different icariin quantity. J Fd Hyg Safety 22: 359-364. 

  12. Han SH, Hwang JK, Park SN, Lee KH, Ko KI, Kim KS, Kim KH. 2005.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4-89. 

  13. Yoon TJ. 2008.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root of Taraxacum officinale in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ponses in mice. Korean J Food & Nutr 21: 275-282. 

  14.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79-85. 

  15.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 255-259. 

  16. Kim KH, Chun HJ, Han YS.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24: 114-118. 

  17. Tina H, Tanya H. 1993. Medicinal herbs. Dorling Kindersley Publishers Ltd., London, UK. p 101-102. 

  18. Song HN. 2013.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 rapid pattern analysis of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via surface acoustic wave (SAW) based electronic nose sensor in the GC system. Korean J Food Preserv 20:554-563. 

  19. Song HN. 2013. Quality analysis for recycle of the drained soybean boiling water discarded in the mass production of fermented soy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525-531. 

  20.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1518-1520. 

  21. Lee YS, Ahn DS, Joo EY, Kim N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yneilesis palm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71-1477. 

  22.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In Post 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materials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Inc., Tokyo, Japan. p 241-251. 

  23. Ferreres F, Gomes D, Valentao P, Goncalves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 114: 1019-1027. 

  24.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Y,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25. Miliauskas G, Venskutonis PR, van Been T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7. Park SJ, Song SW,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 Ahn JH, Yoon WB, Lee HY. 2009.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3-988. 

  28. Lim AK, Kim JO, Jung MJ, Jung HK, Hong JH, Kim DI. 2008.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31-1237. 

  29. Koh YJ, Cha DS, Choi HD, Park YK, Choi IW.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83-289. 

  30. Kang MJ, Shin SR, Kim KS.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 253-259. 

  3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201000000 (accessed May 2015). 

  32. Lee JJ, Shin DH, Park SE, Kim WI, Park DI, Choi YH, Hong SH. 2008. Euphorbiae humifusae sensitizes apoptosis of TRAIL-resistant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cells. J Life Sci 18: 120-128. 

  33. Jeong MH, Kim SS, Ha JH, Jin L, Lee HJ, Kang HY, Park SJ, Lee H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of Acer mono by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43-1252. 

  34. Chon SU, Bae CH, Lee SC. 2012.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Korean J Plant Res 25:232-239. 

  35. Baba K, Abe S, Mizuno D. 1981. Antitumor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correlation between antitumor activity and timing of administration. Yakugaku Zasshi 101: 538-543. 

  36. Hano K, Akashi A, Yamamoto I, Narumi S, Horii Z, Ninomiya I. 1965. Antitumor activity of 4 (or 5)-aminoimidazole- 5(or 4)-carboxamide derivatives. GANN Jpn J Cancer Res 56: 417-420. 

  37.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 Biol Pharm Bull 22: 602-605. 

  38.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l Pharm Bull 22: 606-610. 

  39. Kim DH. 1995. Antitumor activity of fractions of Taraxaci Herba synergistic effect with anticancer drugs. M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40. Lee SJ, Chung HY, Lee IK, Yoo ID.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15-8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