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3, 2015년, pp.233 - 252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under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and find out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on the side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middle schoo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탐구 활동에 필요한 물리적 환경을 구축하고 탐구 절차와 방법에 대한 전략을 지도하는 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본 연구는 12종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중 2개 이상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통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제공해야 할 교육정보서비스의 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이를 위하여 2009개정교육과정에 의하여 개발된 12종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각 단원별 탐구 활동과 수행 평가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 연구 결과 탐구의 본질적인 기능인 추론·분류·해석·비교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탐구 주제가 부족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수업 활동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가 탐구 수업을 의도적으로 설계하여 진행하는 방안과 학생이 흥미를 갖는 탐구 과제를 찾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주의에 따르면 개인은 무엇을 통하여 지식과 의미를 생산하는가? 구성주의에 따르면 개인은 탐구와 참여 그리고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상황 맥락을 통해서 스스로 지식과 의미를 생산한다(Lee 2011, 151).그리고 정보 탐구를 통한 사고능력 향상은 모든 학생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이고 자연스러운 학습 기술이다(Callison and Preddy 2006, 225).
정보 탐구를 통한 사고능력 향상이란? 구성주의에 따르면 개인은 탐구와 참여 그리고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상황 맥락을 통해서 스스로 지식과 의미를 생산한다(Lee 2011, 151).그리고 정보 탐구를 통한 사고능력 향상은 모든 학생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이고 자연스러운 학습 기술이다(Callison and Preddy 2006, 225). 따라서 탐구 활동은 학생이 새로운 학교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의 본질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탐구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적절한 탐구 상황을 제시하고, 조사, 토의, 논술, 체험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가? 그리고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에게 탐구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적절한 탐구 상황을 제시하고, 조사, 토의, 논술, 체험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정보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2012, 31-32). 따라서 사회 교과의 탐구 과제는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교육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조민 2008,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찬빈. 2009.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Kim, Chan-Bin. 2009. An Analysis on the Pursuit Activity within the highschool Economy Textbook.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김창환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좋은책 신사고.(Kim, Chang-Hwan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Joeunchaek Sinsago.) 

  3. 김창환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좋은책 신사고.(Kim, Chang-Hwan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Joeunchaek Sinsago.) 

  4. 김영순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두산동아.(Kim, Young-Soon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Doosan Dong-A.) 

  5. 김영순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두산동아.(Kim, Young-Soon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Doosan Dong-A.) 

  6.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2. Social Studies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7. 교육부. 2013.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3. Gene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8. 교육부. 2014. 제2차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 계획. 세종: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s for the School Libraries in Korea: 2014-2018. Sejong: Korea Ministry of Education.) 

  9.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2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 결과 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of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The Evaluation Report of Libraries' Management in 2012.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0. 류재명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천재교과서.(Yoo, Jae-Myung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CheonJae Textbook.) 

  11. 류재명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천재교과서.(Yoo, Jae-Myung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CheonJae Textbook.) 

  12. 박명규, 한상완. 2005.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167-194.(Park, Myung-Kyu and Han, Sang-Wan. 2005.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67-194.) 

  13. 송기호. 201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활용능력 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9-50.(Song, Gi-Ho. 2011.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29-50.) 

  14. 송기호. 2014. 사서교사를 위한 통합정보활용교육론. 대구: 태일사.(Song, Gi-Ho. 2014.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Daegu: Taeilsa.) 

  15. 송기호, 김태수. 2008. 교과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5(3): 41-64.(Song, Gi-Ho and Kim, Tae-Soo. 2008. "A Study of the Themat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 with Curricul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41-64.) 

  16. 신동령. 2010.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활동의 활용 실태 및 적합성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Shin, Dong-Ryoung. 2010. Inqui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Focusing on History Educat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옥일남. 2012.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분석. 시민교육연구, 44(1): 51-90.(Ok, Il-Nam. 2012. "Understanding of Inquiry Activity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4(1): 51-90.) 

  18. 이간용. 2005. 초등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 44(3): 151-171.(Lee, Khan Yong. 2005.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of the Inquiry Tasks in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44(3): 151-171.) 

  19. 이진석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지학사.(Lee, Jin-Syek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Jihaksa.) 

  20. 이진석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지학사.(Lee, Jin-Syek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Jihaksa.) 

  21. 장정인. 2009. 중등 사회과 교과서 정치 영역의 탐구 과제 분석: 행위능력 요구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5(1): 107-138.(Jang, Jung-In. 2009. "An Analysis on Inquiry Task On the Political Are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5(1): 107-138.) 

  22. 전민제. 2011. Bloom의 교육목표분류에 근거한 2007개정 고 1 사회 교과서 일반사회 영역의 탐구 과제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Jeon, Min-Je. 2011. An 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Section of the High School First-Year Social Studies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23. 조민. 2008.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탐구 활동의 분석: 10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Cho, Min. 2008. An Analysis on the Inquiry Activ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of Tenth Grade.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24. 조영달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미래엔.(Cho, Young-Dal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Mirae-n.) 

  25. 조영달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미래엔.(Cho, Young-Dal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Mirae-n.) 

  26. 최성길 외. 2014a. 중학교 사회 1. 서울: 비상교육.(Choi, Seong-Gil et al. 2014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Seoul: VisangEducation.) 

  27. 최성길 외. 2014b. 중학교 사회 2. 서울: 비상교육.(Choi, Seong-Gil. et al. 2014b.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2. Seoul: Visang Education.) 

  28.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7. The Subjects Curriculum Standar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29. Callison, D. and Preddy, L. 2006. The Blue Book: on Information Age Inquiry, Instruction and Literacy.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30. Lee, Virginia S. 2011. "The Power of Inquiry as a Way of Learning." Innovative Higher Education, 36: 149-1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