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산율 예측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출산력 시나리오 분석
Scenario Analysis of Fertility in Korea using the Fertility Rate Prediction Model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4, 2015년, pp.685 - 701  

김기환 (고려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전새봄 (고려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의 급격한 고령화 속도와 맞물려 국가경쟁력 및 사회보장 시스템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각종 출산장려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저출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정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정책개발의 근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건부 순위별 출산율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의 출산정책 효과를 파악하였다. 조건부 순위별 출산율을 사용하면 순위별 출산율을 사용하는 것보다 합계출산율의 변화와 효과를 명확히 산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순위별 출산율의 시나리오에 따라 합계출산율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정부의 셋째 아 출산지원 정책으로 도달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 및 둘째 아 또는 첫째 아의 출산지원을 하였을 때 도달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가임여성(15-49세)을 고려하여 합계출산율에 따른 출생아수를 함께 제시하여 실질적인 출생아수의 증가를 유도하는 정책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unprecedented rapid pace of population aging is a significant factor degrad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of Korea.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maternity incentives to alleviate the low birth problem; however, the policy se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 수준 및 출산 현상에 관한 연구 중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이란? 출산수준 및 출산현상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크게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미시적 접근은 주로 개인의 출산행위나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인과관계를 통제 및 증진시킴으로써 예상되는 출산력을 연구한다 (Eun, 2001; Kim, 2007). 반면, 거시적 접근은 외부 정책 효과를 반영하기보다는 출산율의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출산력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향후 출산력의 수준을 예측한다 (Choi, 2004; Kim 등, 2006; Park과 Chun, 2004). 출산율 예측을 일반화로그 감마(generalized log gamma; GLG) 모형, PK 모형 등을 이용하여 연령별 출산율 예측까지 확장한 연구 (Jun, 2006; Yoon과 Kim, 2011)도 있었으며 Eom과 Kim (2013)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혼인관계를 반영한 연령별 출산 예측 모형을 제안한 바 있다.
저출산이 국가적 이슈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아젠다로 인식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저출산은 생산인구 감소의 근본적인 원인이며,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이슈라 할 수 있다. 출산력은 장기적 관점에서 인구의 증가 및 변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므로 국가의 존속을 위해서는 출산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이다.
한 국가의 출산력을 논의할 때 대표적인 출산지표는 무엇인가? 한 국가의 출산력을 논의할 때 대표적인 출산지표는 연령별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 ASFR)을이용한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이다. 특히, 시간에 따른 출산력 추이 및 변동을 살피기 위해서는 코호트합계출산율(cohort total fertility rate)보다는 기간합계출산율(period total fertility rate; PTFR)이 주로 사용되며, t년도 기간합계출산율은 해당년도의 연령별출산율을 이용하여 식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kema, L., Raftery, A. E., Gerland, P., Clark, S. J., Pelletier, F., Buettner, T. and Heilig, G. K. (2011). Probabilistic projections of the total fertility rate for all countries, Demography, 48, 815-839. 

  2. Brass W. (1964). Uses of census or survey data for the estimation of vital rates. Paper prepared for the African Seminar on Vital Statistics, Addis Ababa 14-19 December 1964. Document No. E/CN.14/CAS.4/V57. United Nations, New York. 

  3. Brass, W. (1985). Advances in methods for estimating fertility and mortality from limited and defective data. 

  4. Choi, K. (2004). Causes of the recent fertility drop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7, 35-59. 

  5. Coale, A. J. and McNeil, D. R. (1972). The distribution by age of the frequency of first marriage in a female cohor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7, 743-749. 

  6. Eom, J. M. and Kim, K.-W. (2013). A study on forecasting total fertility rate using female first marriage rat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 1261-1272. 

  7. Eun, K.-S. (2001). Age at marriage, marriage cohort and first birth interv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5, 105-113. 

  8. Goldstein, J. R., Sobotka, T. and Jasilioniene, A. (2009). The end of "Lowest-Low"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5, 663-699. 

  9. Greville, T. N. E. (1981). Moving-weighted-average smoothing extended to the extremities of the data. I. Theory, Theory,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1981, 39-55. 

  10. Jun, K.-H. (2006). Developmen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 53-88. 

  11. Kaneko, R. (2003). Elaboration of the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as the generalized log gamma distribution: A new identity and empirical enhancements, Demographic Research, 9, 223-262. 

  12. Kim, C.-S. (2007).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0, 97-116. 

  13. Kim, T.-H., Lee, S.-S. and Kim, D.-H. (2006). Fertility differentials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population census data,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 1-23. 

  14. Kohler, H. P., Billari, F. C. and Ortega, J. 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 641-680. 

  15. Kohler, H. P., Billari, F. C. and Ortega, J. A. (2006). Low fertility in Europe: Cause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The baby bust: Who will do the work, 48-109. 

  16. Lutz, W., Scherbov, S., Cao, G. Y., Ren, Q. and Zheng, X. (2007). China's uncertain demographic present and future,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37-59. 

  17. Lutz, W., Skirbekk, V. and Testa, M. R. (2006). The low-fertility trap hypothesis: Forces that may lead to further postponement and fewer births in Europe,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167-192.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Critical research projects over the next five years in low fertility aging society. 

  19. Park, S. H. and Chun, D. W. (2004). Trends of child birth in older maternal age(1985-2003),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17, 101-105. 

  20. Park, Y.-S., Park, S.-K., Choi, B.-S. and Kim, K.-W. (2009). A comparison of probability of death result using Beers's interpolation coefficient and the Greville's formul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 97-110. 

  21. Preston, S. H., Heuveline, P. and Guillot, M. (2001). Demography: measuring and modeling population process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7, 365. 

  22. Shiu, E. S. W. (1984). Minimum-Rz Moving-Weighted-Average Formulas, ARCH, Society of Actuaries, Chicago, 36, 489-500. 

  23. Sloggett, A, Brass, W., Eldridge, S. M., Timæus, I. M., Ward, P. and Zaba, B. (1994). Estimation of Demo- graphic Parameters from Census Data, Statistical Institute for Asia and the Pacific, Tokyo. 

  24. UN Population Division (1983). Manual X: Indirect Techniques for Demographic Estimation,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ST/ESA/SER.A/81, New York. 

  25. Yoon, J. Y. and Kim, K.-W. (2011). A comparison study for forecasting fertility rate by models and data typ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2901-2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