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남산의 공원
The Change and Transformation of Namsan(Mt.) Parks in Early Modern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4, 2015년, pp.124 - 139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산은 수도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여타의 다른 산과 달리 도심의 공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되는 시점인 대한제국기와 식민지기를 주요 배경으로 변화와 변용의 과정 및 내용을 살폈다. 남산이 공원이 되고 공원이 다시 종교시설로 변용되는 일련의 과정이, 실은 일본의 도시 식민지화 과정과 식민지적 공간 통치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일본이 왜성대공원(矮城臺公園)을 시작으로 경성공원(京城公園), 한양공원(漢陽公園)에 이르기까지 도성 안 남산을 모두 공원화한 것은 한성부에 대한 일본의 세력 확장과 관련한 것으로, 여기서 공원은 일본이 한성부를 점거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남산의 공원화는 단순히 위락과 여가시설의 확보가 아니라 공원 조성을 명분으로 한 타자의 공간 점유로 보아야 한다. 이 시기 남산의 공원 가운데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은 각각 경성신사(京城神社)와 조선신궁(朝鮮神宮)으로 변용되는데, 주체와 목적에 따라 그 양상은 점진적이기도 하고 폭력적이기도 하였다. 공원에 일본의 문화가 이식되고 공원이 지배자의 공간으로 치환되는 이러한 사실은 일본이 공원을 이용해 남산을 물리적으로 점거한 것과는 또 다른 공간 지배 양상을 의미한다. 즉 남산의 공원화가 한성부 내 일본의 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이후의 변용은 식민지 지배를 공간의 양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남산은 공원이라 불렸지만 실제로 공원으로 이용된 시간은 매우 짧았다. 그나마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될 수 있었던 것은 경성공원 일대의 산림자원 덕분인데, 그 배경에는 신사와 신궁을 위한 신원의 보존과 관리가 있다. 이 또한 식민 공간 통치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other mountains in Korea, Seoul Namsan(南山), which is one of the landmarks that represent the country's capital city, is perceived as a city park.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and the transformation of its place in Korean Emperor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산에 처음 등장한 근대공원은 무엇인가? 남산과 공원의 관계를 논하고자 한다면, 왜성대(倭城臺)공원과 한양(漢陽)공원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은 남산에 처음 등장한 근대공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때부터 남산을 공원으로 부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왜성대(倭城臺)공원과 한양(漢陽)공원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이들은 남산에 처음 등장한 근대공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때부터 남산을 공원으로 부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두 공원은 모두 근대기에 일본인의 주도하에 만들어졌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일본거류민의 휴식과 유락을 위한 곳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자신들의 종교시설인 신사(神社)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점도 일치한다. 그밖에 경성(京城)공원도 있었는데, 이 역시 일본이 지정한 것으로, 가장 광범위한 면적의 공원이었다.
오늘날의 남산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세월이 지나 오늘날의 남산은, 고밀도 개발도시 서울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녹색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풍부한 자연을 만끽하는 공간인 동시에, 도시의 라이프스타일이 지속되는 공간으로써 우리는 도시의 산을 순수자연에서 문화적인 자연으로 바꾸어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ishop, Isabella Bird(1897) Korea and Her Neighbors. Seoul: Yonsei University(1970) a photoprint. 

  2.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3. Gojongsidaesa(高宗時代史) Vol. 6. 

  4. Gaebyeok(開闢) Vol. 27. 

  5. Gyeongseongbu(1934-1941) Gyeongseongbusa(京城府史). 

  6. Gyeongseonggeoryumindannyeokso(1912) Gyeongseongbaldalsa(京城發達史). 

  7. Gyeongseongilbo(京城日報). 

  8. Hwangseongsinmun(皇城新聞). 

  9.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27) Joseonsingungjoyeongji(朝鮮神宮造營志). 

  10. Joseonchongdokbu(1915) Scale of 1:10,000 Topographic Map Collection of Joseon. Tokyo: Kashiwashobogabusikigaisha(1985) a photoprint. 

  11. Joseongeonchukakoe(1928) Joseon and Geonchuk(朝鮮と建築). Vol. 7 No. 5. 

  12. Joseonsingungsamuso(1919) Joseonsingunghoeyeopseo(朝鮮神宮繪葉書). 

  13. Maeilsinbo(每日申報). 

  14. Mayor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5) Yongsan Park.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5. Akihito Aoi(2005) Colonial Jinjya and The Japan Empire. Tokyo: Yoshikawabunkan. 

  16. Bae, Woo Sung(2014) The city wall and Hoehyeon area on Mt. Nams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oceeding of Symposium on the Heritage Value of Seoul City Wall. Seoul: 29-42. 

  17. Gang, Sinyong and Yunhwan Jang(2004) The History of Korean Urban Park in Modern era. Seoul: Daewangsa. 

  18. Keiji Aizawa(1928) On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jinjya. Joseon and Geonchuk 7(5): 26-31. 

  19. Kim, Baek-yung(2009) Colonial assimilationismand urban space - Joseon Shrine in Colonial Seoul, 1920-30s -.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11: 55-82. 

  20. Kim, Dea Ho(200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osun-Shingung in 1910-1920. Hanguksaron 50: 291-368. 

  21. Kim, Dea Ho(2009) The Relation of Chosun-Shingung and Local Society in 1910 - the early 1930.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lonial Modernity. Seoul: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73-184. 

  22. Kim, Dea Ho(2015) The change in the Northwest Mt. Namsan, the design of prospect and the maintenance of memory in the 20th century.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 15: 7-59. 

  23. Park, In-Jae and Jae-Keun Lee(2002)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k system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105-117. 

  24. Seo, Dongchun(2014) The Historical Study Building Activity and Urban Change in 1864 to 1910. Ph. D Thesis. Tokyo University. Japan. 

  25. Seo, Young-Ai(2015) Seoul Namsan as Historic Urban Landscape -From Multiple Perspective of Mountain, Park and City Wall-.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6. Seo, Young-Ai and Yong-Hoon Son(2012) A study on the idea of forest park in Kyong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in 191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23-31. 

  27. Seo, Young-Ai and Yong-Hoon Son(2013) The space use in the initial period of Namsan Park -Focus on the newspaper articles from 1883 to 191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28-37. 

  28.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2010) Gyeongseongbaldalsa (Korean translations).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29.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2013) Gyeongseongbusa (Korean translations) 2.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30. Son, Jeongmok(1982) A Study on the Social amd Economic History of Urban Areas in the Opening-port Period of Korea. Seoul: Iljisa. 

  31. Lee, Gyeong-geun(2010) Mountain of the City, Park in Korea, Reading the Park. Seoul: Namudosi. 

  32. Lee, Soo-Neon(2010)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Namsan-Park.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33. Lee, Soo Neon(2011) Study on the change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Namsan-Park from the late 1900s through the early 1980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0(6): 7-20. 

  34. Architectural Drawings in Japanese colonial era at National Archives of Korea(theme.archives.go.kr/next/plan/viewMain.do) 

  35. Kokugakuin University Digital Museum(http://k-amc.kokugakuin.ac.jp/DM) 

  36. The Database of Overseas Jinjya Sites(http://www.himoji.jp/himoji/database/db04) 

  37.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21) Scale of 1:10,000 Topographic Map Collection of Joseon. 

  38.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27) The City Map of Gyeongseongbu. 

  39.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35) The City Map of Gyeongseongbu. 

  40. http://map.naver.com 

  41. http://blog.naver.com/walkcity/101804267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