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시 대기 중 미세먼지 내 탄소성 입자의 농도 및 특성 : 2006~2007년 측정결과
Concentr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Compounds in PM10 over Seoul: Measurement between 2006 and 2007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1 no.4, 2015년, pp.345 - 355  

최나래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지이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창훈 (경인여자대학교 보건의료관리과) ,  이선영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승묵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aceous compounds in the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less than or equal to a nominal $10{\mu}m$ ($PM_{10}$) were analyzed for the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August 2006 to August 2007 at Jongro in Seoul. A total 18 dicarboxy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채취한 미세먼지에서 EC, OC 그리고 WSOC (water soluble organic carbon)를 분석하였고, 총 18종의 DCAs (dicarboxylic acids)와 levoglucosan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gas chromatograpy/mass spectrometry,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 하였다. 미세 먼지 내 탄소성분과 개별 유기성분 농도의 계절적 변동 추이와 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서울에서 채취된 미세먼지 유기성분의 농도 수준과 주요 기여원 및 대기 중 특성을 파악하고 외부 영향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먼지는 인체 유해성 및 시정장애, 생태계에의 영향, 기후변화 등 때문에 그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미세먼지 (PM10)는 크게 무기성분, 탄소성분 그리고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탄소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기성분은 미세 먼지 전체 질량의 20 ~ 80%을 차지하며 약 1,000여 종이 넘는 개별 유기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Ackerman et al.
먼지로 인한 악영향에 무엇이 있나? 먼지는 인체 유해성 및 시정장애, 생태계에의 영향, 기후변화 등 때문에 그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미세먼지 (PM10)는 크게 무기성분, 탄소성분 그리고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 중 미세먼지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성분 중, EC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기 중 미세먼지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성분은 크게 OC와 EC로 나눈다. EC는 주로 연소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며 한 번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 화학반응 또는 기체, 고체 간의 상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1차 인위적 배출원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된다 (Kim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ckerman, A.S., M.P. Kirkpatrick, D.E. Stevens, and O.B. Toon (2004) The impact of humidity above stratiform clouds on indirect aerosol climate forcing, Nature, 432, 1014-1017. 

  2. Agawal, S., S.G. Aggarwal, K. Okuzawa, and K. Kawamura (2010) Size distributions of dicarboxylic acids, ketoacids, ${\alpha}$ -dicarbonyls, sugars, WSOC, OC, EC and inorganic ions in atmospheric particles over Northern Japan: implication for long-range transport of Siberian biomass burning and East Asian polluted aerosols, Atmos. Chem. Phys., 10, 5839-5858. 

  3. Bi, X., B.R.T. Simoneit, G. Sheng, S. Ma, and J. Fu (2008) Composition and major sources of organic compounds in urban aerosols, Atmos. Res., 88, 256-265. 

  4. Choi, J.K., J.B. Heo, S.J. Ban, S.M. Yi, and Z.D. Zoh (201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aerosol in Incheon, Korea, Atmos. Environ., 60, 583-592. 

  5. Han, J.H., B. Bhang, M. Lee, S.C. Yoon, S.W. Kim, L. Chang, and K.S. Kang (2013) Semi-continuous measurements of $PM_{2.5}$ OC and EC at Gosan: Seasonal vari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high-concentration episode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 237-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 S.H. and Y.P. Kim (2015) Long-term Trends of the Concentrations of Mass and Chemical Composition in $PM_{2.5}$ over Seoul, J. Korean Soc. Atmos. Environ., 31, 143-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eo, J.B., P.K. Hopke, and S.M. Yi (2009)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in Seoul, Korea, Atmos. Chem. Phys., 9, 4957-4971. 

  8. Ho, K.F., S.C. Lee, J.J. Cao, K. Kawamura, T. Watanabe, Y. Cheng, and J.C. Chow (2006) Di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and dicarbonyls in the urban roadside area of Hong Kong, Atmos. Environ., 40, 3030-3040. 

  9. Hong, S.Y., J.J. Lee, J.Y. Lee, and Y.P. Kim (2008) Comparison of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in Seoul and other foreign mega-cities, Par. Aerosol. Res., 4,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J., S. Lee, H. Kim, D. Kim, H. Lee, and S. Oh (2014)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biomass-burning contribution to atmospheric carbonaceous aerosols in Daejeon, Korea, during the rice harvest period, Atmos. Environ., 89, 642-650. 

  11. Kawamura, K. and O. Yasui (2005) Diurn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dicarboxylic acids, ketocarboxycli acids abd dicarbonyls in the urban Tokyo atmosphere, Atmos. Environ., 39, 1945-1960. 

  12. Kawamura, K., H. Kasukabe, and L.A. Barrie (1996) Source and reaction pathways of dicarboxycli acid, ketoacids and dicarbonyls in arctic aerosols: one year of observations, Atmos. Environ., 30, 1709-1722. 

  13. Kim, H., J. Jung, J. Lee, and S. Lee (201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nd elemental carbon in $PM_{2.5}$ in Daejeon, J. Korean Soc. Atmos. Environ., 31, 28-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S., J.B. Huh, P.K. Hopke, T.M. Holsen, and S.M. Yi (2007)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PM_{2.5}$ and somg events in Seoul, Korea in 2003 and 2004, Atmos. Environ., 41, 6762-6770. 

  15. Kim, Y.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 535-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P. and M.J. Yeo (2013) The trend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criteria pollutants over Seou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 369-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Y.P., K.C. Moon, J.H. Lee, and M.J. Baik (1999) Concentra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in particles at Seoul and Cheju in Korea, Atmos. Environ., 33, 2751-2758. 

  18. KMA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vailable at http://www.kma.go.kr/weather/climate/past_cal.jsp (accessed 2015/04/20). 

  19. KOSIS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Available at http://www.kosis.kr/ (accessed Apr. 20, 2015). 

  20. Lee, J.Y., S.B. Lee, J.Y. Kim, H.C. Jin, H.B. Lim, and G.N. Bae (2014) Characteristics of gas- and particlephas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distribution in tunnels, J. Korean Soc. Atmos. Environ., 6, 519-5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OGAHA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3) Statistics city yearbook of Korea, 11-131100-00030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S.S. and S.Y. Cho (2011) Tracking sources and behavior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in fine particulate matter measured at an urban site in Korea, Atmos. Environ., 45, 60-72. 

  23. Park, S.S., M.S. Bae, J.J. Schauer, Y.J. Kim, S.Y. Cho, and S.J. Kim (2006) Molecular composition of $PM_{2.5}$ organic aerosol measured at an urban site of Korea during the ACE-Asia campaign, Atmos. Environ., 40, 4182-4198. 

  24. Pathak, R.K., T. Wang, K.F. Ho, and S.C. Lee (2011) Characteristics of summertime $PM_{2.5}$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in four major Chinese cities: Implications of high acidity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SOC), Atmos. Environ., 45, 348.325. 

  25. Rogge, W.F., M.A. Mazurek, L.M. Hildemann, G.R. Cass, and B.R.T. Simoneit (1993) Quantification of urban organic aerosols at a molecular level: identification, abundance and seasonal variation, Atmos. Environ., 27, 1309-1330. 

  26. SI (The Seoul Institute) (2010) Indicator in this transition, Seoul, Available at https://www.si.re.kr/indicator (accessed 2015/04/12). 

  27. Stone, E.A., S.C. Yoon, and J.J. Schauer (2011)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Gosan, Korea during springtime dust events, Aerosol. Air. Qual. Res., 11, 31-43. 

  28. Turpin, B.J. and J.J. Huntxicker (1995) Identific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episodes and quantit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concentrations during SCAQS, Atmos. Environ., 29, 3527-3544. 

  29. Yang, H., J. Xu, W.S. Wu, C.H. Wan, and J.Z. Yu (2004)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water-soluble organic aerosols at Jeju Island collected during ACE-Asia, Environ. Chem., 13-17. 

  30. Yang, L., M.B. Ray, and L.E. Yu (2008) Photooxidation of dicarboxylic acids-Part 2: Kinetics, intermediates and field observations, Atmos. Environ., 42, 868-880. 

  31. Zhang, T., J.J. Cao, J.C. Chow, Z.X. Shen, K.F. Ho, S.S.H. Ho, S.X. Liu, Y.M. Han, J.G. Watson, G.H. Wang, and R.J. Huang (2014) Characteriza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levoglucosan in fine particulate matter in Xi'an, China, J. Air. Waste. Manag. Assoc., 64, 1317-1327. 

  32. Zhang, T., M. Claeys, H. Cachier, S. Dong, W. Wang, W. Maenhaut, and X. Liu (2008)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the biomass burning contribution to Beijing aerosol using levoglucosan as a molecular marker, Atmos. Environ., 42, 7013-7021. 

  33. Zhang, Y.Y., L. Mueller, R. Winterhalter, G.K. Moortgat, T. Hoffmann, and U. Poeschl (2010) Seasonal cycle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pinene oxidation products, dicarboxylic acids and nitrophenols in fine and coarse air particulate matter, Atmos. Chem. and Phys., 10, 7859-7873. 

  34. Zhao, X., X. Wang, X. Ding, Q. He, Z. Zhang, T. Liu, X. Fu, B. Gao, Y. Wang, Y. Zhang, X. Deng, and D. Wu (2014) Compositions and sources of organic acids in fine particles ( $PM_{2.5}$ ) over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south China, J. Environ. Sci., 26, 110-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