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세 댓잎분말의 개발 및 색의 안정화
Development of Fine Bamboo Leaf Powder and Its Color Stabil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05 - 412  

김지명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준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color stable and fine bamboo leaf powder (BLP) as a functional green biomaterial, bamboo leaf (BL) purchased from Sasa borealis and cultivated in Damyang, Jeonnam was treated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BLP was evaluated. The four treatments comprised of boiling in water, in zinc chl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댓잎분말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댓잎의 염화아연, 식소다, 식초의 첨가량과 처리 시간을 달리하여 아린 맛을 줄이고 분쇄능을 개선하여 미세분말로 개발하고 댓잎분말의 녹색을 안정화하여 입자크기 분포, 이화학적 특성, 산에 대한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 댓잎의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항암활성이 알려짐에 따라 댓잎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미세분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분쇄능을 개선하고 녹색의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해 담양군에서 자란 조릿대 잎을 물, 염화아연 첨가, 식소다 첨가, 수세 후 식초 첨가 가열의 4단계로 가열처리하였고 건조 후 400 mesh체를 통과시켜 시판 댓잎 및 녹차 분말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2) Presents mean±SD and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댓잎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은 왜 식품에서 색 변화를 일으키는가? 클로로필은 구조적으로 산화와 산에 불안정하여 탈색이 되거나 산에서는 마그네슘이 수소로 치환되어 올리브색으로 누렇게 변하기 때문에 식품에 분말을 첨가하는 경우 색 변화가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때문에 이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완두콩이나 그린빈 통조림을 제조할 때 구리와 아연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Schwartz SJ & Lorenzo TV 1991, Tonucci LH & von Elbe JH 1992, LaBorde LF & von Elbe JH 1994), 댓잎의 클로로필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이나 댓잎분말을 미세화하여 가공성을 높이려는 연구는 전혀 되어있지 않다.
본초강목, 신농본 초경, 동의보감에 따르면 대나무의 댓잎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대나무는 세계적으로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개 90속의 1,500여종이며 우리나라에는 중국,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 도입된 외래종까지 포함해 모두 156종류가 있으며 왕대, 솜대, 죽순대 등 3종이고, 이 외에 이대를 비롯 조릿대, 갓대 등이 자생하고 있다(World Bamboo Fair Damyang Korea 2015). 대나무는 뿌리에서 잎까지 약용으로 활용도가 높으며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동의보감에 따르면 댓잎은 고혈압이나 노화방지에 좋으며 해독작용과 이뇨작용을 촉진하고 해열, 거담, 청량 등의 목적으로 폐렴 등에 사용하였다고 한다(Kim MJ 등 1996a, Yoon KH & Kim MK 2009). 또한 성장력이 우수하므로 생장속도가 빠르고 더운 지역에서 자라므로 원료의 공급이 원활하고 계절에 관계없이 녹색을 유지하는 댓잎의 활용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댓잎 분말 제조가 어려운 이유는? 댓잎은 클로로필을 함유하는 녹색식물로 댓잎의 채취 시기에 따라 녹색 정도와 밝기가 차이가 있고 질긴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이섬유소 함량은 많으나 댓잎 차를 만드는 수세와 건조 덖음의 과정을 거쳐서는 분쇄가 어려워 댓잎분말 자체를 제조하기 힘들다. 담양 지역 특산물인 떡이나 한과 등 제품을 제조할 때 댓잎분말을 사용하고자 하나 입자크기가 거칠고 가격도 비싸며 색이 안정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 

  2. Chung DK, Yu R.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1035-1038 

  3. Chung MJ, Lee SJ, Shin JH, Jo JS, Sung NJ. 1995. The components of the sap from birches, bamboos, and darae. J Korean Soc Food Nutr 24(5):727-733 

  4. Ferruzzi MG, Bohm V, Courtney PD, Schwartz SJ. 2002.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dietary chlorophyll derivatives determined by radical scavenging and bacterial reverse mutagenesis assays. J Food Sci 67(7):2589-2595 

  5. Gunawan MI, Barringer SA. 2000. Green colour degradation of blanched broccoli (Brassica oleracea) due to acid and microbial growth. J Food Procee Preserv 24(3):253-263 

  6. Hwang SJ, Kim DH. 2006. Effects of adding bamboo leaves powder on the quality of Jeolpyon. Korean J Food Cook Sci 22(6):869-874 

  7.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of Sasa borealis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586-582 

  8. Kim JM, Shin M. 2014. Effec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rice flour on the quality of gluten-free rice cupcakes. LWT - Food Sci Technol 59(1):526-532 

  9. Kim MJ, Byun MW, Jang MS. 1996a.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5(1):135-142 

  10. Kim MJ, Kwon OJ, Jang MS. 1996b.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Dongchimi. J Korean Soc Food Nutr 25(5):741-746 

  11. King VAE, Liu CF, Liu YJ. 2001. Chlorophyll stability in spinach dehydrated by freeze-drying and controlled low-temperature vacuum dehydration. Food Res Int 34(2):167-175 

  12. Koca N, Karadeniz F, Burdurlu HS. 2007. Effect of pH on chlorophyll degradation and colour loss in blanched green peas. Food Chem 100(2):609-615 

  13. LaBorde LF, von Elbe JH. 1994. Chlorophyll degradation and zinc complex formation with chlorophyll derivatives in heated green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2(5):1100-1103 

  14.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S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Nutr 19(1):1-7 

  15. Lu B, Wu X, Tie X, Zhang Y, Zhang Y. 2005. Toxicology and safety of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Part 1: Acute and subchronic toxicity studies on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Food Chem Toxicol 43(5):783-792 

  16. Medcalf F, Gilles KA. 1965.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6):558-568 

  17. Park SJ, Kim JM, Kim JE, Jeong SH, Park KH, Shin M. 2011.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powders from eight Korean varieties. Korean J Food Cook Sci 27(2):19-29 

  18. Protonotariou S, Drakos A, Evageliou V, Ritzoulis C, Mandala I. 2014. Sieving fractionation and jet mill micronization affect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wheat flour. J Food Eng 134:24-29 

  19. Schwartz SJ, Lorenzo TV. 1991. Chlorophyll stability during continuous aseptic processing and storage. J Food Sci 55(4):1059-1062 

  20. Servais C, Jones R, Roberts I. 2002. The influence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processing of food. J Food Eng 51(3):201-208 

  21. Tonucci LH, von Elbe JH. 1992. Kinetics of the formation of zinc complexes of chlorophyll derivatives. J Agric Food Chem 40(12):2341-2344 

  22. World Bamboo Fair Damyang Korea. 2015. Available from http://www.damyangbamboo2015.kr/en. Accessed June 2, 2015 

  23. Yoon KH, Kim M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chiffon-cake containing added bamboo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5):552-560 

  24. Zakikhani P, Zahari R, Sultan MTH, Majid DL. 2014. Extraction and preparation of bamboo fibre-reinforced composites. Mater. Design 63:820-8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