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모델학교 분석: 읍면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Focusing on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8 no.2, 2015년, pp.67 - 78  

김미주 (서울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WHO Health Promoting School easily applicable to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Methods: The study analyzed data of 11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selected from 85 health promoting schools, an initi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교육부 주도로 수행된 건강증진모델학교 85개 중 읍면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의 운영 실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학교특성을 반영한 단위학교 운영모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학생수 100명 미만의 소규모 초등학교 11개교의 2014년 결과보고서를 내용분석 대상 2차 자료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85개 건강증진모델학교 중 읍면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의 건강증진학교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986) 는 학교가 교육의 장소일 뿐 아니라 학생, 교직원 및 학부모의 건강교육은 물론이고 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하는 생활 터라는 건강증진학교(Health Promoting Schools, HPS) 개념과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WHO의 건강증진학교는 학교 공동체에 속한 모든 구성원들이 건강증진과 관련한 통합적이고 긍정적인 경험과 체계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장소로 정의되며, 건강한 학교 정책(healthy school policies), 학교 물리적 환경(the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학교 사회적 환경(the school's social environment), 지역사회연계 (community links), 개인 건강기술과 활동 능력(individual health skills and action competencies), 학교 건강서비스 (health services) 6개 영역으로 구성된다(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IUHPE], 2008).
WHO의 건강증진학교의 6개 영역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986) 는 학교가 교육의 장소일 뿐 아니라 학생, 교직원 및 학부모의 건강교육은 물론이고 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하는 생활 터라는 건강증진학교(Health Promoting Schools, HPS) 개념과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WHO의 건강증진학교는 학교 공동체에 속한 모든 구성원들이 건강증진과 관련한 통합적이고 긍정적인 경험과 체계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장소로 정의되며, 건강한 학교 정책(healthy school policies), 학교 물리적 환경(the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학교 사회적 환경(the school's social environment), 지역사회연계 (community links), 개인 건강기술과 활동 능력(individual health skills and action competencies), 학교 건강서비스 (health services) 6개 영역으로 구성된다(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IUHPE], 2008).
본 연구에서 건강증진모델학교를 연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 건강증진학교 운영 절차 및 그 실태를 파악한다 · 건강증진학교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 및 그 실태를 파악한다. ·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 분석결과를 기초로 읍면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단위 학교 운영모형을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bbie, E. R. (1973), Survey Research Methods, California: Wadsworth Publish Company. 

  2. Inchley J, Muldoon J, & Currie C. (2007). Becoming a health promoting school: Evaluating the proces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in Scot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2 (1), 65-71. 

  3. IUHPE (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2008). Achieving health promoting schools: Guidelines for promoting health in schools. Version 2 of the document formerly known as "Protocols And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4. Jang C. G. (2012).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system and projects in Korea from 1945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2), 143-146. 

  5. Kim M. J. (2013). Problems and solution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9(1), 65-75. 

  6. Kim M. J. (2014). A systematic re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health promoting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7(3), 169-180. 

  7. Kim Y. I. (1998). A study of the index development and measurement for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1(2), 189-201. 

  8. Lee A., Cheng F. F., Fung Y., & St Leger L. (2006).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contribute to the better health and wellbeing of young people? The Hong Kong experienc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6), 530-536. 

  9. Lee E. Y., Choi B. Y., Shin Y. J., Kim S. H., Sohn A. R., & Ahn D. H. (2009b).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ng school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87-101. 

  10. Lee E. Y., Choi B. Y., Sohn A. R., & Ahn D. H. (2009a).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s by schoo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85-96. 

  11. Lister-Sharp, D., Chapman, S., Stewart-Brown, S., & Sowden, A. (1999). Health promoting schools and health promotion in schools: two systematic review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3(22), 198-207. 

  12. Mitchell, J., Palmer, S., Booth, M., & Davies, G. P. (2000). A randomized trial of and intervention to develop health promoting schools in Australia: The south western Sidney study. Aust N Z J Public Health. 24(3), 242-246. 

  13. Mukoma W., & Flisher A. J. (2004).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review of nine stud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3), 357-368. 

  14. Park S. W. (2009).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4(2), 202-213. 

  15. Park Y. J. (2014).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6. Sohn, A. R., Kim, B. R., Kim, S. H., Shim, Y. J., Ahn, D. H., & Choi B. Y. (2008). Evaluating health promoting schools based on WHO standards in Yangpyung-gu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9(1), 1-15. 

  17. St Leger, L. H. (1999). The opportunities and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primary school in improving child health - A review of the claims and evidence. Health Education Research, 14, 51-69. 

  18. WHO (1986). Ottawa charter of health promotion. WHO, Geneva: Author. 

  19. WHO (1998). Health promoting schools: A healthy setting for living, learning and working. Geneva: Author. 

  20. WHO (2000). Local action: Creating health promoting school, WHO's information series on school health. Geneva: WHO, UNESCO, EDC. 

  21. Wong M. C., Lee A., Sun J., Stewart D., Cheng F. F., Kan W., et al. (2009). Comparative study on resilience level between WHO health promoting schools and other schools among a Chinese popul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4(2), 149-155. 

  22. Xin-Wei, Z., Li-Qun, L., Xue-Hai, Z., Jun-Xiang, G., Xue-Dong, P., Aldinger, C., et al. (2008). Health-promoting school development in Zhejiang Province, Chin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3(3), 220-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