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문위기도기 인후두튜브(SALT)를 이용한 기관내삽관 신속성과 용이성 비교: 마네킨을 이용한 연구
Comparis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speed and ease by using the supraglottic airway laryngopharyngeal tube: A manikin study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9 no.2, 2015년, pp.29 - 38  

윤성우 (남서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irway management ability by comparing the speed, angle of the neck, and confidence and ease of supraglottic airway laryngopharyngeal tube (SALT) and endotracheal intubation via direct laryngoscop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기관내삽관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SALT에 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SALT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ALT를 이용한 기관내삽관과 직접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삽관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비교하여, 직접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삽관이 어려운 상황에서 효과적인 전문 기도유지기 선택에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 성공적인 기도관리의 기본은 기관내삽관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며, 기관내삽관이 실패할 경우 환자의 예후가 불량해질 수 있고,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2]. 이에 본 연구는 기관내삽관 정확성과 신속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SALT를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인 전문기도유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두마스크 사용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문기도확보 기구 중 성문위기도기(Supra- glottic airway)는 성대와 기관 사이를 통과하지 않는 성문 외 삽관으로 사용하기 용이하고 신속한 적용이 가능하다. 후두마스크(Laryngeal mask airway, LMA)는 상대적으로 삽관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배우기가 쉽고[12], 후두튜브(Laryngeal tube suction, LTS)는 커프 압력의 변화가 적어 적절한 환기량과 효과적인 기도유지가 가능하며[13,14], 아이겔(I-gel)과 SLIPA(Streamlined liner of the pharynx airway)는 커프 없이도 안정적이고 적절한 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15,16]. 하지만 기도유지가 어려운 경우나 병원으로 장시간 이송, 기도분비물이 많은 환자, 성문이 좁아진 환자 등은 성문위기도기보다 기관내삽관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기도유지 방법으로 보고하고 있다[17].
기관내삽관이란 무엇인가? 기관내삽관은 응급환자의 초기 치료인 기도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2],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구강 및 비강을 통하여 기관으로 기관내관을 삽입하는 술기이다. 이는 전문기도 확보술 중 최선의 환기 보조기구로 정확한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을 폐로 전달할 수 있어[3], 기도를 확실하게 확보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4].
기관내삽관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관내삽관은 응급환자의 초기 치료인 기도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2],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구강 및 비강을 통하여 기관으로 기관내관을 삽입하는 술기이다. 이는 전문기도 확보술 중 최선의 환기 보조기구로 정확한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을 폐로 전달할 수 있어[3], 기도를 확실하게 확보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4]. 흔히 이용하는 직접 후두경을 사용한 기관내삽관은 기도확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술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기도흡인, 식도내 삽관, 치아손상, 폐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YL, Lee HY, Kim GW, Jo HS, Jung JH. Comparative study of prehospital airway devices tested using a manikin model: A comparison of the laryngeal mask airway classic(LMA classicTM), cobra perilaryngeal airway(Cobra PLATM) and the king laryngeal tube(King LTTM).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6):776-82. 

  2. Brandt L. The first reported oral intubation of the human trachea. Anesth Analg 1987; 66(11):1198-9. 

  3. Bradley JS, Billows GL, Olinger ML, Boha SP, Cordell WH, Nelson DR. Prehospital oral endotracheal intubation by rural basic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nals of Emerg Med 1998;32(1):26-32. http://dx. doi.org/10.1016/S0196-0644(98)70095-2 

  4. Suh GJ. Endotracheal intub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1998;9(4):560-70. 

  5. Matin LD, Mhyre JM, Shanks AM, Tremper KK, Kheterpal S. 3,423 Emergency tracheal intub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Anesthesiology 2011;114(1):42-8. http://dx.doi.org/10.1097/ALN.0b013e318201c415 

  6. Edwards ND, Alford AM, Dobson PM, Peacock JE, Reilly CS. Myocardial ischaemia during tracheal intubation and extubation. Br J Anaesth 1994;73(4):537-9. 

  7. Linko K, Paloheimo M, Tammisto T. Capnography for detection of accidental esophageal intubation. Acta Anesth Scand 1983; 27:199-202. http://dx.doi.org/10.1111/j.1399-6576.1983.tb01934.x 

  8. Kang YJ, Choi ES.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emergency care of paramedic in fire st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2):67-84. 

  9. Eun SJ, Kim H, Jung KY, Cho KJ, Kim Y. Prospective multi 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3):177-89. 

  10. Kim JH, Cho JS, Lim YS, Lee SB, Hyun SY, Kim JJ et al. The current state of airway management and ventilation at the prehospital stage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 Korean Soc Emerg Med 2011; 22(2):129-41. 

  1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tatstical yaerbook of resuce-aid. 2013:183. 

  12. Wiese CH, Bartels U, Bergmann A, Bergmann I, Bahr J, Graf BM. The current state of airway management and ventilation at the pre-hospital stage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no flow time" in a manikin study: A comparison between laryngeal tube and endotracheal tube. Wiener Klinische Wochenschrift 2008; 120(7):217-23. 

  13. Ocker H, Wenzel V, Schmucker P, Steinfath M, Dorges V. A comparison of the laryngeal tube with the laryngeal mask airway during routine surgical procedures. Anesth Analg. 2002;95(4):1094-7. http://dx.doi.org/10.1213/00000539-200210000-00057 

  14. Kurola J, Harve H, Kettunen T, Laakso JP, Gorski J, Paakkonen H et al. Airway management in cardiac arrest-comparison of the laryngeal tube, tracheal intubation and bag-valve mask ventilation in emergency medical training. Resuscitation 2004;61(2): 149-53. http://dx.doi.org/10.1016/j.resusci tation.2004.01.014 

  15. Levitan RM, Kinkle WC. Initial anatomic investigations of the I-gel airway: A novel supraglottic airway without inflatable cuff. Anaesthesia 2005;60(10):1022-6. http://dx.doi.org/10.1111/j.1365-2044.2005. 04258.x 

  16. Kim ST, Kang BR, Tak YJ.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easiness and speed of insertion of three surpraglottic airway devices: A manikin study. Korean J Emerg Med Ser 2012;16(2):23-30. 

  17. Kovacs G, Bullock G, Ackroyd-Stolarz S, Caine E, Patrie 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promoting airway management skill maintenance. Ann Emerg Med 2000;36(4):301-9. http://dx.doi.org/10.1067/mem.2000.109339 

  18. Bledsoe BE, Slattery DE, Lauver R, Forred W, Johnson L, Rigo G. C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effectively place and use the supraglottic airway laryngopharyngeal tube(SALT) airway?. Prehosp Emerg Care 2011;15(3):359-65. http://dx.doi.org/10.3109/10903127.2011. 561410 

  19. Ostermayer DG, Gausche-Hill M. Supraglottic airway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prehospital airway adjuncts. Prehosp Emerg Care 2014;18(1):106-15. http://dx.doi.org/10.3109/10903127.2013.825351 

  20. Anand VG, Girinivasan, Leelakrishna, Thavamani. Evaluation of the new supraglottic S.A.L.T to aid blind orotracheal intubation: A pilot study. Int J Crit Illn Inj Sci 2013;3(4):241-5. http://dx.doi.org/10.4103/2229-5151.124112 

  21. Si JW, Lee SB, Do BS. Comparison of the macintosh laryngo-scope and the glidescope $^{(R)}$ video laryngoscope in easy and simulated difficult airway scenarios: A manikin study. J Korean Soc Emerg Med 2009;20(6):604-8. 

  22. Son SH, Park SO, Baek KJ, Choi PC. Comparison of the macintosh laryngoscope and the disposcope endoscope in both normal airway and manual inline stabilization for suspected cervical spine injury patients: A simulation study using an airway training manikin.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1):45-50. 

  23. Shim GS. Comparison of video laryngoscope and direct laryngoscope on rapidity and accuracy in tracheal intubation by paramedic. Korean J Emerg Med Ser 2010; 14(1):5-18. 

  24. Jeong IM, Seo WG, Woo CH, Bae JY, Mun SH, Kim KM. Prediction of difficult intubation in patients with postburn sternomental contractures: Modified onah class. Korean J Anesthesiol 2009;57(3):290-5. 

  25. Robitaille A, Williams SR, Tremblay MH, Guilbert F, Theriault M, Drolet P. Cervical spine motion during tracheal intubation with manual in-line stabilization: Direct laryngoscopy versus GlideScope $^{(R)}$ videolaryngoscopy. Anesth Analg 2008;106(3): 935-41.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161769e 

  26. Kim GB, Choi HJ, Shin HC, Kim IS, Kim KU, Huh JT et al. A Clinical analysis and treatment of traumatic cervical spine patients. J Korean Neurosurg Soc 1999;28(4):460-9. 

  27. Choi UJ, Cho KJ. A comparis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the macintosh laryngoscope, the gum elastic bougie and the pentax airway scope in neck-stabilized manikin.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3):71-80. 

  28. Mallampati SR, Gatt SP, Gugino LD, Desai SP, Waraksa B, Freiberger DF. A clinical sign to predict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prospective study. Can J Anaesth 1985; 32(4):429-34. 

  29. Qasim Z. Towards evidence-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2. glidescop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 Med J 2011;28(2):165-6. 

  30. Kim HS, Nam HW, Kim YH. The maximal change of vital signs to laryngeal mask airway prosealTM (PLMATM) insertion or tracheal intubation after anesthetic induc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Korean J Anesthesiol 2002;43(2):1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