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들의 인지프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4, 2015년, pp.404 - 416  

박경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이준기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fram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nser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we also explored how they understood about the teaching methods suggested by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high school s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교사들은 효과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타당성과 가치를 기준으로 공급자의 입장에서 서술한 반면 학생들은 자신들이 기대하는 수업 방법을 중심으로 수요자의 입장에서 서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과에 대해 두 집단의 입장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효과적인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융합형 과학(이후 고등학교 과학으로 진술)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례층화표집(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방법으로 선정된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의 과학 교사(이하 ‘교사’로 서술) 348명과 고등학생(이하 ‘학생’으로 서술) 15,24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이 형성하고 있는 인지 프레임을 통해 고등학교 과학 수업을 어떻게 운영했을 때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만 특정한 교사와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을 받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을 진행할 때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그들이 고등학교 과학 수업과 연결시키고 있는 단어와 인지프레임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정신 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 프레임을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일정한 방법이나 분석틀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Lim, 2008; Chung et al.
  • 수업이 단편적이지 않고 여러 요인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수업을 형성하는 것처럼 인간의 인식도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들을 서로 연결시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것도 요소들이 나타내는 강도와 그들 간의 상호 관계 및 구조적 특성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배경으로 개발한 기준 프레임(standard frame)과 고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효과적인 과학수업에 대한 인지프레임(cognitive frame)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효과적인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배경으로 개발한 기준 프레임(standard frame)과 고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효과적인 과학수업에 대한 인지프레임(cognitive frame)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효과적인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과에 융합교육을 도입하면 무엇을 기반으로 학습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가? 융합교육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영역의 사고를 이끌어내기 위한 통합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과학 교과는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과학 교과에서 융합교육을 도입하면 융합적 지식, 과정, 본성을 기반으로 학습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와 동기 유발이 쉽고 학습자의 지적 발달에도 효과적이다(Baek et al., 2011).
시대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정책의 사례는? , 2013). 그러므로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Han and Lee, 2012), 미국의 과학 및 수학 교육의 강화를 위한 통합교육정책(STEM)과 영국의 과학과 혁신을 위한 투자계획 2004-2014 (Science and Innovation Investment Framework 2004-2014)이 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융합교육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영역의 사고를 이끌어내기 위한 통합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고등학교 과학 수업을 진행할 때 교사들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을 진행할 때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그들이 고등학교 과학 수업과 연결시키고 있는 단어와 인지프레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Y.S., Park, H.J., Kim, Y.M., Noh, S.G., Park, J.Y., Lee, J.Y., Jeong, J.S., Choi, Y.H., and Han, H.S.,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 149-171. (in Korean) 

  2. Cho, K.S., Chung, D.H., Seo, E.S., and Park, K.J., 2013,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geological field trip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 881-898. (in Korean) 

  3. Chung, D.H., Lee, J.K., Kim, S.E., and Park, K.J., 2013, An analysis on congruen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focus on Earth Science 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711-726. (in Korean) 

  4. Chung, D.H., Park, S.O., Yoo, H.H., and Park, J.J., 2014,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24, 561-576. (in Korean) 

  5. Doerfel, M.L. and Barnett, G.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6. Fullan, M., 200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4th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2 p. 

  7. Ha, H.J., Park, H.J., Kim, J.H., Son, J.W., and Kim, Y.J., 2012, Difficulties of biology teachers in teaching activities on the fusing "Science" in high school. Biology Education, 40, 267-277. (in Korean) 

  8. Han, H.S. and Lee, H.J., 2012,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 573-603. (in Korean) 

  9. Jeong, J.S. and Jin, J.K., 2012, Cross. Seoul: Woongjin Jisik House. 336 p. 

  10. Jung, J.S., Kim, D.W., Lim, J.K., Lee, Y.J., Kim, E.A., and Lim, S.M., 2012,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about fusing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 189-196. (in Korean) 

  11. Kwon, N.J. and Ahn, J.H., 2012, The science-arts convergence strategy analysis for scientific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bility. The Journal of Education, 32, 77-93. (in Korean) 

  12. Lim, C.H., 2008,.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new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earch of Science and Math Education, 31, 25-42. (in Korean) 

  13. Marsh, C.J. and Willis, G., 2006,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4th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416 p.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Handbook of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302 p. 

  15. Oh, P.S., 2013,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405-424. (in Korean) 

  16. Park, H.W. and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1377-1387. (in Korean) 

  17. Park, S.K., 2003, A discussion on an alternative foundation to conceptualize teacher professionalism as curriculum inquiry them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 75-92. (in Korean) 

  18. Park, S.O., Lim, H.S., and Chung, D.H., 2013,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cientists between science class and convergence class applicant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23, 1019-1034. (in Korean) 

  19. Powell, J.C. and Anderson, R.D., 2002, Changeing teachers' practice: Curriculum materials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in the USA.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7, 107-135. 

  20. Roehrig, G.H., Kruse, R.A., and Kern, A., 2007,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883-907. 

  21. Song, S.C., Hong, B.R., Kim, N.H., Han, H.J., and Shim, K.C., 2012,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 130-138. (in Korean) 

  22. Walker, D.F. and Soltis, J.F., 2009, Curriculum and aims. (5th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44 p. 

  23. Yeo, Y.S., 2012, Unified science and knowledge fusion. Korean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5, 209-232. (in Korean) 

  24. Yoon, H.J., Yoon, W.J., and Woo, A.J., 2011,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 757-77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