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ctual and Preferred Types of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725 - 733  

노태희 (서울대학교) ,  이재원 (서울대학교) ,  강석진 (전주교육대학교) ,  강훈식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들이 실시하는 과학 평가와 교사들이 지향하는 평가의 사례를 목적과 방법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등 과학교사 92명으로, 학교에서 교사가 실시했던 평가 사례와 구성주의적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전형적인 가상 상황에 대하여 교사가 지향하는 평가 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교사의 경력, 평가 관련 교육 경험의 유무,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 수준 등 교사의 특성 변인도 조사하였다. 교사들이 실시하는 과학 평가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는 총괄평가와 같은 전통적인 목적의 평가를 실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선다형 평가와 실험, 보고서, 논술형 평가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가 방법이었다. 전형적인 평가 상황에서 과학교사들은 다양한 유형의 구성주의적 평가 방법을 지향한 반면, 여전히 전통적 평가 목적에서는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때,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 수준이 높은 교사가 형성평가를 지향하는 비율은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 수준이 낮은 교사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ctual and preferred types of assessment with focus on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assessment. Participants were 92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sking science teachers about the types of assess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간 과정에서 가설을 어떻게 수정해갔으며 피드백을 통한 구체적 실천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수시로 조별 상담 등을 통해 확인해 가며 평가할 것입니다. 또한, 결과물이 나왔을 때 다른 사람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할 수 있는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평가할 것입니다.
  • 소집단에서 무임승차자가 발생하지 않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각자 실시하도록 함. 탐구 수행결과는 시간이 허락하는 한 조별로 발표하도록 하며 이때 주제선정, 탐구과정, 결과정리 등의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평가함.
  • 한편, 보고서 평가 중에는 토의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미리 조사해 오도록 하는 예비 보고서 평가도 일부 있었다(7회). 예비 보고서 평가는 토의 상황에서만 나타났는데, 토의 주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토의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예비 보고서 평가는 원활한 토의 진행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토의에 참여하는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도 추구하는 구성주의적 평가로 볼 수 있다.
  • 원자 모형의 변천을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자 모형 변천에 기여한 과학자들의 삶을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발표 자료를 만들어 발표하게 하였다.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발표 내용과 전달력 등을 기준으로 동료평가를 하고, 조사 자료의 충실성 및 발표의 전달력을 토대로 학생 과제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구성주의적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을 지닌 교사가 형성평가를 지향하는 비율이 높다는 결과도 교사의 구성주의적 평가에 대한 인식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구성주의적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운데,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연수는 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한계가 있다(Choi, 2001).
  •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들이 학교에서 실시하는 과학 평가의 실태와 전형적인 평가 상황에서 나타난 과학 평가의 지향을 평가의 목적과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고, 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른 차이도 조사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들의 실제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의 특징을 구성주의적 평가 방법과 목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즉, 중등 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사들이 실시한 대표적인 과학 평가 사례에 대하여 평가 목적과 방법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 이에 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기술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영재교육원에 추천할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필평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력을 평가하였다.
  • 평가의 대상은 결과 뿐 아니라 과정을 중요시 할 것입니다. 중간 과정에서 가설을 어떻게 수정해갔으며 피드백을 통한 구체적 실천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수시로 조별 상담 등을 통해 확인해 가며 평가할 것입니다. 또한, 결과물이 나왔을 때 다른 사람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할 수 있는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평가할 것입니다.
  • 8%)이 증가하였다. 즉, 토의 상황에서 교사들은 토의의 과정과 결과 뿐 아니라 학생들의 토의 참여도나 기여도도 평가의 중요한 목적으로 생각하였다.
  • 평가 목적은 주어진 주제를 정확히 파악한 뒤 올바른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느냐이다. 위의 과정에서 평가를 할 때는 교사의 주관에 따라 좋은 의견으로 평가받기도 아니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 4%로 적었다. 형성평가에 해당하는 평가 사례는 아래와 같이 학생의 과학 개념 이해나 과학적 사고를 내면화하기 위한 기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평가 활동을 교수-학습의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과학 개념의 이해, 흥미 유발, 협동성과 발표 능력의 향상 등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구성주의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가 학생 평가를 실시하는 이유는? 교사는 학생들의 성취도 확인, 포상, 동기 부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데, 크게 성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총괄평가와 학습 보조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형성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Hanna & Dettmer, 2004). 총괄평가도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구성주의적 평가로 기능할 수 있지만(Park, 2013a), 주로 평가 대상인 학생들의 성취 여부에 집중한다.
총괄평가와 다른 형성평가의 특징은 무엇인가? 총괄평가도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구성주의적 평가로 기능할 수 있지만(Park, 2013a), 주로 평가 대상인 학생들의 성취 여부에 집중한다. 반면, 형성평가는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에 주목하여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고 학습을 촉진시키므로 구성주의적 평가에 보다 가깝다고 볼 수 있다 (Black & William, 1998). 형성평가는 각 학생의 상황과 수준에 맞게 개별적으로 진단과 조언을 제공하므로 학생이 스스로 학습을 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선행연구에서도 형성평가는 학습 목표 달성과 과학 개념 이해 뿐 아니라 학습동기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Nam et al., 2005; Shavelson et al.
교사의 평가는 크게 어떻게 구분되는가? 교사는 학생들의 성취도 확인, 포상, 동기 부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데, 크게 성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총괄평가와 학습 보조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형성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Hanna & Dettmer, 2004). 총괄평가도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구성주의적 평가로 기능할 수 있지만(Park, 2013a), 주로 평가 대상인 학생들의 성취 여부에 집중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tjonen, P. (2014). Teachers' views of their assessment practice. The Curriculum Journal, 25(2), 238-259. 

  2. Baek, S.-G. (2000). Princip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Kyoyookbook. 

  3. Black, P. J.,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5(1), 7-73. 

  4. Brown, G. T. L. (2004).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11(3), 301-318. 

  5. Carless, D. (2005). Prospec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2(1), 39-54. 

  6. Chinn, C. A., & Me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7. Cho, H.-H., & Choi, K.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8. Cho, H.-M. (2001). An assessment tool from the view point of constructivism. The Journal of Education, 18, 183-197. 

  9. Choi, M. (2001). Teacher's understanding on constructivism and applying into their teaching: Case studies.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7(1), 5-28. 

  10. Davis, D. S., & Neitzel, C. (2011). A self-regulated learning perspective on middle grades classroom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4(3), 202-215. 

  11. Gremler, D. D. (2004).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in service research. Journal of Service Research, 7(1), 65-89. 

  12. Hanna, G. S., & Dettmer, P. A. (2004). Assessment for effective teaching: Using context-adaptive planning. Boston, MA: Pearson A&B. 

  13. James, M., & Pedder, D. (2006). Beyond method: assessment and learning practices and values. The Curriculum Journal, 17(2), 109-138. 

  14. Jeong, E., & Choi, W. (2014). A Survey on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68-181. 

  15. Jo, S.-S. (2003). The effect of corrective feedback typ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formative assessment.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16. Jonassen, D. H., Peck, K. L., & Wilson, B. G. (1999). Learning with technology: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17. Kang, D., & Yum, S. (20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formative assess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27-43. 

  18. Kim, C.-J. (2012). Portfolio instruc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Seoul: Kyoyookbook. 

  19. Kim, D.-J. (2005).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ir implementing practic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nam University. 

  20. Kim, S. (2002). A study on the teacher's competence for classroom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5(1), 67-85. 

  21. Kim, S.-W. (2007). A study on analysis and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science subjec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4), 53-73. 

  22. Kim, S.-W., & Hyun, M.-S. (2005).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general matter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9(2), 213-232. 

  23. Kim, Y.-.H., Yoon, K.-S., & Kwon, D.-K. (2010).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164-174. 

  24. Kwak, Y., Kim, C.-J., Lee, Y.-R., & Jeong, D.-S.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25. Lee, J. (2003). Study of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competenc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6.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EHRD] (1997).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otification No. 1997-15. 

  2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1).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8. Nam, J., Choi, J., Ko, M., Kim, J., Kang, S., Lim, J., & Kong, Y. (2005).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ability in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9(3), 311-320. 

  29. Nam, J.-H., Seung, E.-S., Um, J.-H., Kim, K.-H., & Choi, B.-S. (1999). Th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tatu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3(6), 720-727. 

  30. Noh, T., Yoon, J., & Kang, S. (2009).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352-360. 

  31. Oh, H.-S., & Lee, K.-Y. (2006). An exemplary analysis of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current secondary school science.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9(1), 405-424. 

  32. Park, J. (2013a). Resurgence of formative assessment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6(4), 719-738. 

  33. Park, J. (2013b). Self-rating of elementary teachers' student assessment litera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3), 357-376. 

  34. Park, S.-M. (1998). A theoretical and practical linkage between constructivism and performance assessment. Social Studies Education, 31, 339-356. 

  35. Park, Y. (2009). A study on teacher's practicing of formative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1(4), 51-79. 

  36. Popham, W. J. (2010). Unlearned lessons: Six stumbling blocks to our school's success. In C. T. Chauncey (Ed.), Strategic priorities for school improvement (pp. 9-16).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Education Press. 

  37. Sato, M., Coffey, J., & Moorthy, S. (2005). Two teachers making assessment for learning their own. Curriculum Journal, 16(2), 177-191. 

  38. Seo, J.-G. (200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science subject: Focused on experimental practice.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9. Seung, E., Nam, J., & Choi, B. (2000).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ssessments practic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aching for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20(3), 455-467. 

  40. Shapira-Lishchinsky, O. (2011). Teachers' critical incidents: Ethical dilemmas in teaching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3), 648-656. 

  41. Shavelson, R. J., Young, D. B., Ayala, C. C., Brandon, P. R., Furtak, E. M., Ruiz-Primo, M. A., Tomita, M. K., & Yin, Y. (2008). On the impact of curriculum-embedded formative assessment on learning; a collaboration between curriculum and assessment developer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21(4), 295-314. 

  42. Son, J.-S. (2011).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experiment and practice performance assessment in secondary schoo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3. Thomas, L., Deaudelin, C., Desjardins, J., & Dezutter, O. (2011). Elementary teachers' formative evaluation practices in an era of curricular reform in Quebec, Canada.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381-398. 

  44. Thorndike, R. M. (1997).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sychology and education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45. Tierney, R. D. (2006). Changing practices: Influences on classroom assessment.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3(3), 239-264. 

  46. von Glasersfeld, E. (1993). Questions and answers about radical constructivism. In Tobin, K. (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ress. 

  47. Wang, J.-R., Kao, H.-L., & Lin, S.-W. (2010). Preservice teachers' initial conceptions about assessment of science learning: The coherence with their views of learning sci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522-529. 

  48. Wilson, L. (1992). Children as evaluators. Teaching Pre K-8, 23(1), 64-67. 

  49. Winterbottom, M., Brindley, S., Taber, K., Fisher, L., Finney, J., & Riga, R. (2008). Conceptions of assessment: Trainee teachers' practice and values. The Curriculum Journal, 19(3), 193-213. 

  50. Yang, I.-H., Na, J.-C., Lim, S.-M., Lim, J.-K., & Choi, H.-D. (2008).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st items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the first term of the 5th grad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3), 221-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