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즈베키스탄 한방병원에서 진행한 한의약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Hospital-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using Korean Medicine in Uzbekistan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9 no.2, 2015년, pp.23 - 35  

이은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명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유영진 (자생한의원) ,  권동현 (한-우 한방친선병원) ,  이준석 (덕화한의원) ,  장보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윤진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유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박해모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고성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As part of the Korean Medicin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and Public Health Project, we implemented a obesity management program(OMP) using Korean medicine in Uzbekistan and its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 : We recruit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의약 ODA사업의 일환으로 한우 친선한방병원에서 수행한 한의약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비만인을 대상으로 비만 이침, 홍국 복용, 교육 등 한의약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7주간 수행하여 체중감소효과를 관찰하고, 식생활과 신체활동 습관의 변화와 변화된 생활습관을 지속시켜 정상체중을 유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프로그램이다. 2013년 10월부터 11월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10개월 후 2014년 8월에 해당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한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2013, 2014년도 「한의약 ODA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의 결과로 이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
  •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일부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기능식품(홍국) 복용, 비만 이침과 행동교정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한의약 비만관리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 추적조사를 통하여 한의약비만관리프로그램의 실천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이다. 연구의 기본설계는 [Fig.
  •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에 과체중 및 비만 주민의 비만관리를 위해 이침시술과 홍국복용, 그리고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비만관리프로그램을 결합해 제공함으로써 한의약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비만관리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으로 전체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체중관리를 적용할 때 정상인이나 일부 과체중 집단에게 예방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차의료 영역에 속한다16).
  • 비만사업의 성공자 기준을 설정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자가보고에 따른 비만관리 성공 및 실패자의 신체 지표를 통해 자가보고 성공자가 실제 지표상 변화를 유지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가보고에 따른 성공자는 19명(7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하게 지방조직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정의15)되며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다른 만성병들이 동반될 위험이 높은 의학적 상태로, 유전이나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무엇보다도 운동 부족, 잘못된 식생활 등의 생활습관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체내에 과잉 에너지가 피하에 축적되며16) 그렇기에 지역사회 기반 비만 예방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지적되어 왔다17,18).
비만의 발병원인은?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하게 지방조직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정의15)되며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다른 만성병들이 동반될 위험이 높은 의학적 상태로, 유전이나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무엇보다도 운동 부족, 잘못된 식생활 등의 생활습관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체내에 과잉 에너지가 피하에 축적되며16) 그렇기에 지역사회 기반 비만 예방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지적되어 왔다17,18).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도 국가별로 제출되고 있으며19,20), 건강 및 비만 상태에 대한 정확한 측정, 비만의 위험요인 스크리닝, 전문가에 의한 상담서비스, 지역보건관련 생활 지도자에 의한 정기적 추적관리 등을 강조한다20).
비만의 측정에서 체질량지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만의 기준은 무엇인가? 비만의 측정에서 체질량지수(BMI)는 역학적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어 온 비만 지표로 체질량지수는 성인에서 실제 체지방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체중(㎏)을 신장(meter)의 제곱으로 나누어 구한다(BMI=㎏/㎡).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만의 기준은 WHO에서 제시된 유럽 성인 대상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15)으로 하여 BMI 25㎏/㎡ 이상의 과체중 및 비만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허리둘레는 체지방분포 및 복부비만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허리둘레에 따라 동반질환의 위험도에 차이가 크므로 체중, 신장과 허리둘레의 신체계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sra A, Khurana 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developing countri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8; 93: S9-30. 

  2. Gupta N, Shah P, Nayyar S, Misra A. Childhood obesity and the metabolicsyndrome in developing countries. Indian J Pediatr. 2013;80: S28-37. 

  3. WHO. Director-General announces new initiative to end childhood obesity. Geneva. 2014. Retrieved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releases/2014/world-health-assembly67/en/ 

  4. WHO.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013-2020. 2013. 

  5.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우즈베키스탄 국가협력전략 2012-2015. 국무조정실. 2012. 

  6. World Health Organization - Noncommunicable Diseases (NCD) Country Profiles, Uzbekistan. 2014 Retrieved from http://www.who.int/nmh/countries/uzb_en.pdf?ua1 

  7. WHO. Overweight (body mass index > 25) (age-standardized estimate)Data by country.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gho/data/node.main.A897A?langen 

  8. WHO. Obesity (body mass index > 30) (agestandardized estimate)Data by country.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gho/data/node.main.A900A?langen 

  9. 이선동, 고성규, 장보형, 이은경, 박유리, 윤진원, 신헌태, 정명수, 이승언, 김계진. 한의약 ODA사업 2014 결과보고서. 상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2014 

  10. 고성규. 한의약 공적개발원조 종합계획수립. 보건복지부. 2014 

  11. 권동현, 류영진, 오승윤, 김호준. 한국-우즈베키스탄 친선 한방병원 내원환자의 비만 설문 조사. 한방비만학회지 2012; 12(2): 17-27. 

  12. Esteghamati A, Mazaheri T, Vahidi Rad M, Noshad 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 critical review. Int J Endocrinol Metab. 2015; 13(2):e19678. 

  13. Sui Y,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use of Chinese medicine and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obesity. Obesity reviews 2012; 13(5):409-30. 

  14. Cho SH, Lee JS, Thabane L, Lee J.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Obes (Lond). 2009;33(2): 183-96. 

  15.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2000. 

  16. Choi JM, Kim CB. Obesity management and scientific evidence. J Korean Med Assoc. 2011;54(3): 250-65 

  17. Gandjour A, Westenhofer J, Wirth A, Fuchs C, Lauterbach KW. Development process of an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J Qual Health Care 2001;13: 325-32. 

  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Internet].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2005 [updated 2005 June 14; cited 2008 Mar 24]. Available from: http://www.thecommunityguide.org/obesity/index.html. 

  19. Jensen MD, Ryan DH, Apovian CM, et al.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ety. J Am Coll Cardiol 2014; 63(25 Pt B): 2985-3023. 

  20. British Obesity and Metabolic Surgery Society. Commissioning guide: Weight assessment and management clinics (tier 3). 2014 

  21. Dung HC. Role of the vagus nerve in weight reduction through auricular acupuncture. Am J Acupuncture 1986; 14: 249-54. 

  22. Richards D, Marley J. Stimulation of auricular acupuncture points in weight loss. Aust Fam Physician 1998; 27: S73-S77. 

  23. Darbandi M, et al. Auricular or body acupuncture: which one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abdominal fat mass in Iranian men with obes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Diabetes Metab Disord. 2014; 13(1): 92. 

  24. Hsu CH, Wang CJ, Hwang KC, Lee TY, Chou P, Chang HH.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in obese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Womens Health (Larchmt). 2009; 18(6): 813-8. 

  25. Tan JY, Molassiotis A, Wang T, Suen LK. Adverse events of auricular therapy: a systematic re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 2014: 506758. 

  26. 식품의약품안전처. 홍국 기능성모노그래프. Retrieved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27. Heber D, Yip I, Ashley JM, Elashoff DA, Elashoff RM, Go VLW.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a proprietary Chinese red-yeast-rice dietary supplement. Am J Clin Nutr 1999;69: 231-6. 

  28. Liu L, Zhao SP, Cheng YC, Li YL. Xuezhikang decreases serum lipoprotein(a) and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Clin Chem 2003;49(8): 1347-52. 

  29. Wei W, Li C, Wang Y, Su H, Zhu J, Kritchevsky D. Hypolipidemic and anti-atherogenic effects of long-term Cholestin (Monascuc purpureus-fermented rice, red yeast rice) in cholesterol fed rabbits. J Nut Biochem 2003;14(6): 314-8. 

  30. Dyson PA. The therapeutics of lifestyle management on obesity. Diabetes Obe Metab 2010; 12(11): 941-6. 

  3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Washington DC: NIH; 1992. 

  32.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12. pp. 45-50, 80. 

  33. Wadden TA, Phelan S. Behavioral assessment of the obese patient. In: Wadden TA, Stunkard AJ, editors. Handbook of obesity treatment. New York: Guilford; 2002. p.186-208. 

  34. Shin SR.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ory efficacy promoting program and it's effect on adolescent smo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7. 

  35. Eiser RJ, Eiser C. Effectiveness of video for health education : a review. London, Health Education Authority. 1996. 

  36. Slavin RE. Educational Psychology: Theory into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1. 

  37. WHO. Nutrition labels and health claims: the global regulatory environment. 2004. 

  38. Dubnov-Raz G, Berry EM. Dietary approaches to obesity. Mount Sinai J Med 2010; 77: 488-98. 

  39. Kim KH, Oh SW, Kwon HT, Park JH, Choi HC, Cho BL. Alcohol Consumption and Its Relation to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in Healthy Male Koreans. Ann Nutr Metab 2012; 60: 52-61. 

  40. Laitinen J, Pietilainen K, Wadsworth M, Sovio U, Jarvelin MR. Predictors of abdominal obesity among 31-y-old men and women born in Northern Finland in 1966. Eur J Clin Nutr 2004; 58: 180-90. 

  41.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1977; 84: 191-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